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916 vote 0 2020.04.05 (01:07:31)

1155.png 1166.jpg 1177.jpg


    입체에 관측자를 추가하면 밀도가 된다. 

    물체가 가속도를 받으면 입체가 된다. 

    모든 정지한 물체도 실제로는 에너지가 통과하고 있다. 

    서로 맞물려 돌아가고 있다.

    그러므로 자연의 모든 존재는 다섯 차원을 가지고 있다.

    즉 다섯 개의 외부와의 연결점을 가지고 있다.

    다리가 하나이거나 둘이면 쓰러지고 셋이면 지구와 중력까지 포함하여 다리가 다섯이다.

    우주 안의 모든 존재는 다리가 다섯이다. 

    걷는 사람은 다리가 둘이지만 걸음으로 다리가 추가되어 있다.

    팽이는 다리가 하나지만 회전의 형태로 세차운동까지 다리가 추가되어 있다. 

    중력이 없는 우주공간에 던져놓아도 질량의 형태로 다리가 추가된다.

    반대로 외부에서 관계가 추가되면 그만큼 내부에서 나사가 하나씩 빠진다.

    마마보이처럼 엄마가 따라붙으면 뇌가 비어서 무뇌가 된다.

    하나를 얻으면 하나를 잃으며 관계는 언제나 다섯을 유지한다.

    우리는 공간을 3차원으로 이해하지만 의사결정의 중심이 되는 0차원 점에

    에너지를 포함해서 자체적으로 다섯이거나

    혹은 관측자를 포함해서 다섯이거나 항상 다섯을 유지한다.


    우주 안의 모든 운동은 W자로 성립한다. 

    오버핸드는 W고 언더핸드는 뒤집어진 W다.

    뱀은 S자다. 용수철은 나선이다.

    본질은 같다. S나 M이나 W나 나선이나 같은 각V+각V=W다.

    두 개의 각이 가운데 축을 공유하는 것이다.

    손가락 두 개가 걸린 것이며 톱니바퀴의 톱니 두 개가 걸린 것이다.

    서로의 주위를 도는 두 별이 쌍성계를 이룬 것이다.

    모래시계가 유리를 관통하듯이 유리도 모래시계를 관통한다.

    두 개의 각이 꼭지점 하나를 공유하며 서로를 관통하는 것이 존재의 본래 모습이다.

    점은 방향이 없고 선은 한 방향이며 각은 꼭지점을 가운데 놓고 두 방향이다.

    네개의 지점이 꼭지점을 공유하는 것이 존재다.

    두 개의 고리가 걸려서 돌고 있는 모습이다.

    그래서 우주의 크기가 처음 만들어졌다.

    차원은 공간을 이해하려는 것이다.

    공간은 크기가 있다.

    왜 크기가 있는가?

    왜 우주는 쪼그라들지 않고 간격을 벌리고 있는가?

    서로를 관통해서 그렇다.

    관통한다는 것은 서로를 밀어낸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유리는 모래를 양쪽으로 밀어내고 

    모래는 유리를 양쪽으로 밀어낸다. 

    두 힘이 서로를 관통하면 크기가 만들어진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4.06 (03:24:48)

"두 개의 각이 꼭지점 하나를 공유하며 서로를 관통하는 것이 존재의 본래 모습이다."

http://gujoron.com/xe/1187035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931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895
4773 라라랜드의 아부전략 image 3 김동렬 2017-03-13 13276
4772 서프는 당당하게 나아간다 김동렬 2004-06-24 13276
4771 인생의 의미 image 2 김동렬 2018-03-14 13275
4770 달마어 체계 김동렬 2006-06-05 13275
4769 진화는 일대일이다. image 김동렬 2014-10-23 13274
4768 상대어를 버리고 절대어를 훈련하라. image 6 김동렬 2012-01-26 13273
4767 정동영 기차태워 주랴? 김동렬 2007-05-12 13272
4766 힘든 시기를 견뎌내자 김동렬 2005-05-27 13270
4765 정당을 만든다면 2 김동렬 2010-02-17 13269
4764 노무현의 승부수 김동렬 2004-09-15 13266
4763 금주의 과제 - 부코스키 보고 image 3 김동렬 2012-12-02 13260
4762 Re..다음이 진보주의적? 김동렬 2002-10-02 13255
4761 노무현식 정치에 대한 냉정한 분석 김동렬 2005-11-01 13252
4760 피의 숙청이 필요하다 김동렬 2004-10-25 13247
4759 당신은 좀 깨져야 한다 4 김동렬 2009-04-23 13243
4758 신은 바보가 아니다 image 3 김동렬 2017-09-26 13241
4757 박근혜 부산경남을 따시키다 김동렬 2004-03-25 13241
4756 이부영 천정배는 1회용 소모품이다 image 김동렬 2005-01-03 13240
4755 노빠는 죄가 없소 image 김동렬 2003-12-17 13240
4754 스타일을 바꾸어 세상을 바루자 image 18 김동렬 2012-11-04 13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