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196 vote 1 2024.01.26 (20:31:43)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있다.' 엄마가 있으면 아빠도 있다.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없다.' 엄마가 있으면 다른 엄마는 없다. 부모는 둘이다. 부모는 하나다. 둘을 품은 하나다. 이것이 구조론의 대원칙이다.


    엄마 없이 내가 태어날 수는 없다. 아빠 없이 내가 태어날 수도 없다. 구조는 언제나 둘이 엮여서 함께 일어난다. 부모 외에 부모가 더 있을 수는 없다. 구조는 자리가 지정되며 한 칸에 하나만 들어간다.


    감각 있는 사람이라면 석가의 연기법이 열역학 1법칙 2법칙과 통한다는 사실을 간파할 수 있다.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있다. 1법칙에 따라 에너지는 형태를 바꾸므로 바꾸기 전과 후를 연결시켜야 한다.


    반드시 둘이다. 원인이 있으면 결과가 있다. 바뀐 후를 봤다면 보지 못했어도 바뀌기 전은 명백하다. 둘은 하나다.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없다. 2법칙에 따라 바뀌는 자리는 하나다. 대상을 특정해야 한다.


    사건은 둘로 시작되고 둘은 자리를 바꾸며 자리는 하나다. 우주 안의 모든 변화는 궁극적으로 자리바꿈이다. 우주 안에 다만 에너지의 방향전환이 있을 뿐이다. 우리는 이를 고리로 삼아 추론해야 한다.


    ###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없다. 자리는 하나다. 신이 있으면 귀신은 없다. 내세도 없고 천국도 없다. 이것이 있으면 저것이 있다. 관계는 둘이다. 신이 있으므로 내가 있다. 내가 있다는 사실이 신이 존재하는 증거다.


    신은 없다. 신이 없으므로 우주가 있다. 우주는 없다. 우주가 없으므로 내가 있다. 나는 없다. 내가 없으므로 의미가 있다. 석가는 자성이 없다고 했다. 내가 없다. 내가 없으므로 내것이 있다. 나의 자유의지가 있다.


    신이 있으므로 우주가 있고, 우주가 있으므로 내가 있고, 내가 있으므로 자유의지가 있다. 의미가 있다. 우리는 신과 우주와 나와 의미를 동시에 볼 수 없다. 나를 보면 우주는 사라지고 우주를 보면 신이 사라진다.


    신을 부정하는 사람은 우주를 보는 사람이다. 우주와 신을 동시에 볼 수 없다. 활과 화살을 동시에 볼 수 없다. 활을 보려면 화살을 볼 수 없고 화살을 보려하면 활을 볼 수 없다. 원인과 결과를 동시에 볼 수 없다.


    깨달은 사람이 그것을 본다. 궁수의 등 뒤에서 보는 사람이 전모를 본다. 높은 층위에서 내려다보는 사람은 궁수와 활과 화살과 과녁과 그것을 보는 자기자신까지 동시에 볼 수 있다. 메커니즘의 눈을 떠야 한다.


[레벨:11]큰바위

2024.01.27 (07:08:53)

문제는 눈을 떴다고 다 보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본다고 다 보는 게 아니라, 진짜 볼 수 있는 사람만 본다는 것. 

구조론은 보이지 않는 구조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기특하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76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711
6654 정몽준 폭탄’이 터졌지만 승리는 우리 것이다 김동렬 2002-12-19 17808
6653 [서프라이즈펌] 민새의 묘비명.. 놀램 2002-11-23 17805
6652 -인터넷시대의 카이사르 노무현- 김동렬 2002-12-18 17803
6651 시험에 든 한국의 민주주의 image 김동렬 2002-10-21 17801
6650 비트코인 혁명의 시대 살아남기 image 5 김동렬 2017-12-10 17797
6649 까마귀 날자 몽 돌아왔다. image 김동렬 2003-06-27 17769
6648 수고하셨습니다 동렬박사님 폴라리스 2002-12-19 17751
6647 한화갑의 내각제 논의 문제있다. 김동렬 2003-01-14 17732
6646 [서프펌] 읽는 순간 소름이 -_-;; 왕소름 2002-12-06 17715
6645 정동영 대박이다 image 김동렬 2004-01-12 17700
6644 구조론의 출발점 image 김동렬 2014-04-05 17696
6643 사슬과 고리 image 김동렬 2013-06-18 17690
6642 구조의 모형 image 1 김동렬 2011-06-28 17666
6641 대구에도 사람이 살고 있었네.. image 김동렬 2003-08-20 17665
6640 몽골은 왜 몰락했는가? 김동렬 2005-11-07 17650
6639 미늘은 시퍼렇게 날을 세운채 기다리고 있는데 김동렬 2003-05-23 17637
6638 Re..권영길때매 걱정이 태산이 됨 손&발 2002-12-04 17623
6637 성 정체성이 조작될 수 있는가? 김동렬 2002-10-26 17620
6636 강금실의 황금시대는 오는가? image 김동렬 2003-07-20 17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