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0759 vote 0 2011.11.14 (15:41:26)

 

06.jpg

 

밑바닥에 떨어진 과실을 모을 것이 아니라 높은데다 빨대를 꽂아야 한다. 개미처럼 한 푼 두 푼 악착같이 모아서 부자된 재벌은 없다. 상부구조인 국가이권에 빨대를 꽂아놓고 쪽쪽 빨아먹는 마이너스법으로 재벌된 사람은 많다. 재벌이 덩치를 키우는 이유는 상부구조인 국가를 완력으로 위협하여 손쉽게 빨대를 꽂을 목적이다. 답은 언제라도 상부구조를 마이너스하는데 있다.

 

 

 

05.JPG

 

 

맞서면 늘리고

늘리면 움직이고

움직이면 끊고

끊으면 통신하고

통신하면 동맹하라.

 

 

기본적으로 많은 것이 적은 것을 이기지만 상황에 따라 대응할 수 있다. 많은 것은 빠른 것으로 에워싸서 제압하고, 빠른 것은 센 것으로 잘라서 제압하고, 센 것은 복제하여 통신함으로써 양동작전으로 제압하고, 복제하는 것은 외부동맹으로 고립시켜 제압한다.

 

2로 1을 이기는 것이 구조론이다. 그냥 2로 늘리면 비용이 추가될 뿐 아니라 상대방도 2로 맞서므로 실패다. 포지션 겹침을 이루오 1로 2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시공간의 지점이 있다. 그 지점을 선점하여 탑 포지션을 차지하고 포지셔닝의 우위를 이루는 것이 2로 1을 이기는 방법이다. 다섯가지 방법으로 가능하다.

 

1) 양의 2 (물량공세를 통한 단순한 산술적 우위)

2) 시간의 2 (숨쉴틈없은 몰아붙이기로 판단할 틈을 주지 않는 시간공격)

3) 공간의 2 (넓은 곳을 차지하고 좁은 곳을 몰아넣는 공간공격)

4) 임무의 2 (두 개 임무 동시수행 - 본부의 지휘에 의한 양동작전)

5) 외부의 2 (그냥 외부 지원을 받음 - 가장 확실한 방법)

 

() 숫자압축 : 늘린 양의 2로 적의 1을 잡는다.

운동() 시간압축 : 끌어올린 스피드의 2로 적의 1를 잡는다.

() 공간압축 : 집중시킨 파워의 2로 적의 1을 잡는다.

입자(입체) 손발압축 : 지도부를 둔 동형복제 2로 적의 1을 잡는다.

(밀도) 머리압축 : 연대한 외부지원의 2로 적의 1을 잡는다.

 

 

07.jpg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3570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25851
4591 프랑스철학은 사기다 image 13 김동렬 2014-06-18 12903
4590 웃어라 한국인아 2 김동렬 2010-09-23 12903
4589 합리적인 의사결정이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7-11-24 12900
4588 노하우21의 탄생을 축하하며 김동렬 2004-09-09 12898
4587 허풍선이들과 싸우며 image 김동렬 2004-11-24 12897
4586 에너지는 큰 싸움에서 얻어진다 image 2 김동렬 2017-09-19 12893
4585 자연권이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7-09-04 12891
4584 구조론적 상황 image 1 김동렬 2017-03-29 12887
4583 생각에 옷을 입혀라 image 김동렬 2017-02-03 12887
4582 노무현대통령의 의제선정에는 뭔가가 있다 김동렬 2004-09-10 12886
4581 유시민의 국민정당이 성공하려면 김동렬 2002-09-24 12886
4580 진중권이 서프를 건드는 방식에 대해서 김동렬 2003-03-17 12877
4579 조응 - 예술이란 무엇인가? image 8 김동렬 2013-01-03 12872
4578 [단상] 자투리 이야기들 김동렬 2006-12-07 12871
4577 딜레마를 받아들여라 image 김동렬 2017-07-03 12869
4576 모든 것의 출발점 image 5 김동렬 2011-08-02 12866
4575 먼저 인간이 되자 image 8 김동렬 2018-01-06 12862
4574 에너지를 일으켜라 image 1 김동렬 2017-09-13 12860
4573 왜 철학하는가? image 김동렬 2017-04-18 12859
4572 구조론의 탄생 김동렬 2008-04-18 128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