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이미지 3.jpg

     


    동지가 지나고 며칠 사이에 해가 길어진듯 하다. 알아보니 오늘은 12월 초 가장 짧을 때보다 9분이 길어졌다. 체감으로는 훨씬 더 길어진듯이 느껴진다. 사실은 동지는 해가 가장 일찍 지는 날이 아니었다. 동지날은 5시 17분이 일몰이고 가장 짧은 12월 3일은 5시 13분이다. 동지는 오히려 4분이나 오후가 길어졌다. 


    12월 3일 5시 13분이 일몰시간이니 짐작으로는 동지날은 더 짧아져서 아마 5시경일 것이고 오늘은 5시 22분이 일몰시간이니 주말에 야외로 나가다보면 일주일 사이에 무려 20분쯤 오후가 길어진듯이 착각되는 것이다. 사실은 진작부터 오후가 길어지고 있었다. 물론 일출부터 일몰까지 계산하면 동지가 가장 낮이 짧다. 


    여름 해가 가장 긴 날은 7월 4일이다. 하지보다 무려 1분이 더 길다. 엉? 거의 차이가 없잖아. 뭔가 뒤죽박죽이다. 그렇다. 동지에 가장 밤이 길고 하지에 가장 밤이 짧은 것은 맞지만 늦잠을 자느라 아침해가 뜨는 것을 보지 못하니 오후시간만 기준으로 삼으면 7월 4일이 가장 하루가 길고 12월 3일이 가장 하루가 짧다. 


    그러므로 동지만 지나면 며칠 사이에 해가 쭉쭉 길어지는 것처럼 착각되는 것이다. 지구가 자전하는 속도는 일정하지만 북위 38도 부근에서는 여러가지 이유로 균시차가 발생하여 봄가을에 하루의 길이 변화가 심하고 동지와 하지에는 변화가 적다. 12월 초는 며칠씩 일몰시간이 같고 봄가을은 하루 2분씩 당겨진다. 


    피상적으로 아는 것과 제대로 아는 것은 항상 다르다. 메커니즘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정지해 있는 것은 역설이 없지만 움직이는 것은 항상 역설이 있다. 그러나 역설의 역설이 있으므로 세상은 그다지 무리없이 굴러간다. 대충 통밥으로 찍어도 대충 근처는 가지만 확실하지 않다. 확실하게 알려면 구조를 알아야 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1.01 (04:51:44)

"피상적으로 아는 것과 제대로 아는 것은 항상 다르다. 메커니즘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정지해 있는 것은 역설이 없지만 움직이는 것은 항상 역설이 있다."

http://gujoron.com/xe/1153821

프로필 이미지 [레벨:22]의명

2020.01.01 (09:17:58)

어쩐지!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상우

2020.01.01 (18:27:42)

해가 뜨는 시간도 동지가 2주 지난 1월 5~9일쯤이 가장 늦게 뜨지요. 밤의 길이가 길다는 것에 주목하면 해뜨는 시간도 동지가 가장 늦다고 착각합니다. 밀물과 썰물현상도 위도에 따라 다르더군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900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865
4695 마음의 지도 image 김동렬 2010-11-15 20747
4694 편집마감 image 김동렬 2010-11-16 24089
4693 신형 그랜저 유감 image 4 김동렬 2010-11-24 15920
4692 구조와 전쟁 1 김동렬 2010-11-28 13430
4691 포지셔닝 게임 image 1 김동렬 2010-12-02 13696
4690 역대 대통령 비교판단 5 김동렬 2010-12-06 17529
4689 전쟁의 법칙 image 1 김동렬 2010-12-07 15444
4688 구조론의 이론적 타당성 입증 image 2 김동렬 2010-12-08 14870
4687 부바키키효과 image 1 김동렬 2010-12-09 16338
4686 승리의 공식 image 김동렬 2010-12-16 17345
4685 성공의 비밀 6 김동렬 2010-12-28 13165
4684 삼국지 성공학 3 김동렬 2010-12-29 15033
4683 조조와 원소 1 김동렬 2010-12-31 14915
4682 마음의 구조를 내며 5 김동렬 2011-01-07 14486
4681 방향성의 제시 1 김동렬 2011-01-08 10688
4680 구조란 무엇인가? 2 김동렬 2011-01-10 14960
4679 인간은 왜 전쟁을 하는가? 8 김동렬 2011-01-12 14576
4678 전쟁과 평화 김동렬 2011-01-13 14858
4677 구조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11-01-16 12487
4676 언어의 구조 image 2 김동렬 2011-01-17 15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