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339 vote 0 2019.12.29 (23:17:40)

      
    이중의 역설    


    우리는 불이 빛난다고 생각한다. 틀렸다. 촛불은 밝은데 가스렌지 불꽃은 그다지 밝지 않다. 알콜램프 불도 마찬가지다. 불이 빛나는게 아니고 연소반응이 일어나기 전에 가열된 탄소가 빛을 내는 것이다. 에디슨의 전구에 필라멘트로 탄소가 쓰인 이유다. 우리는 나무가 탄다고 믿는다. 천만에. 나무는 타지 않는다. 목탄가스가 타는 것이다. 


    불에 의해 가열된 나무에서 나오는 목탄가스에 산소가 공급되면 연소반응이 일어난다. 뭘 그렇게 시시콜콜 따지느냐고 힐난할 법하다. 그러나 구조론은 진지한 이야기를 하는 곳이다. 대충 불이 빛난다고 해도 되지만 과학은 대충 하는게 아니다. 여러분이 뭔가 얻어갈 생각 없이 대충 넘어갈 요량으로 이 글을 읽는 것은 아닐 터이니 말이다.


    당신이 어떤 생각을 하든 일단 틀렸다. 당신이 어떤 판단을 하든 일단 틀렸다. 안다는 것은 맞다/틀리다, 옳다/그르다, 같다/다르다, 있다/없다, 이다/아니다의 다섯 가지 판단을 완성하는 것이다. 당신이 어떤 판단을 하든 이 다섯 가지를 모두 충족시키지 않았으므로 일단 틀린 것이다. 사람들은 다섯 중의 하나만 맞아도 대략 맞다고 쳐준다.


    그러나 이곳에서는 엄밀해야 한다. 다섯 중에 하나만 틀려도 틀린 것이다. 에디슨이 특허를 대충 딴 것은 아니다. 사실은 에디슨보다 먼저 전구를 발명한 사람이 여럿 있지만 실용적이지 못했다. 구조론은 처음부터 엄격하게 들여다보자는 원칙을 가지고 출발한다. 메커니즘을 정확히 알지 않으면 먼저 발명해놓고 에디슨에게 특허를 뺏긴다. 


    당신이 본 것은 잘못 본 것이고, 당신이 생각한 것은 잘못 생각한 것이고, 당신이 아는 것은 잘못 아는 것이고, 당신이 말한 것은 잘못 말한 것이고 당신이 한 것은 잘못한 것이다. 역설의 원리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당신은 무조건 틀리도록 세팅되어 있다는 점이다. 항상 틀리는 것은 아니다. 첫 번째는 무조건 틀리고 하나씩 보완해야 한다.


    보통사람의 보통생각은 보통 틀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상이 돌아가는 이유는 이중의 역설 때문이다. 역설에 대한 역설이다. 당신이 어떤 판단을 하면 상대방의 맞대응 때문에 일단 틀린다. 그러나 그것을 시정할 기회가 있다. 상대의 맞대응에 맞대응을 하면 된다. 특히 정치판에서는 전문가의 견해보다 대중의 생각이 잘 들어맞곤 한다. 


    문제가 제기되면 전문가는 판단한다. 그러므로 틀리는 것이다. 물론 전문가도 자기 전문분야에서는 잘 판단한다. 해봤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치는 새로운 이슈가 터지는 세계다. 늘 하던 일은 전문가들이 당연히 잘하지만 새로운 것이 대두되면 전문가는 무조건 오판한다. 박찬호가 메이저리그에 데뷔한 것은 한국에서 처음 있는 일이었다. 


    프로야구 전문가들이 죄다 틀렸다. 이런 식이다. 그러나 일반인은 바르게 판단한다. 분석하지 않기 때문이다. 일반인들은 축구에 박지성 있고, 골프에 박세리 있으니, 야구에도 박찬호 있어야 박자가 맞아도 삼박자가 맞잖아. 이런 식이다. 즉 경험으로 직관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문가는 경험으로 대충 짐작하는게 아니고 세밀하게 분석한다.


    전문가도 두 번은 틀리지 않는다. 그러나 새로운 이슈에는 늘 오판한다. 맞대응 때문이다. 환경의 맞대응이 있다. 그러므로 무슨 일을 하든 검증하는 절차를 밟아야 한다. 무뇌좌파가 정치실험에 실패하는 이유는 검증하지 않기 때문이다. 첫 번째 도전은 무조건 오판이라고 믿어야 한다. 틀리지만 일단 가봐서 경험을 쌓는다는 자세라야 한다.


    우리가 아는 것은 불이 빛난다는 것이고 나무가 탄다는 것이다. 틀렸다. 물론 이렇게 대충 알아도 밥 먹고 사는 데는 지장이 없다. 대충 불 주변에서 빛나고 나무 주변에서 탄다. 근처까지는 갔다. 그런데 통제가 안 된다. 왜 가스렌지 불은 밝지 않은지 의심한 적이 있는가? 의심하지 않았다면 넋 놓고 사는 것이다. 세상은 언제나 역설이다.   


    그러나 우리는 역설에 대해서 역설할 수 있다. 대응할 수 있다. 그러므로 포기하지 말아야 한다. 한 걸음 더 나아가야 한다. 우리는 옳은 길로 가지만 시련을 거쳐서 간다. 중간에 한 번 쓰러졌다 일어나서 간다. 그런 과정 없이 잘 가고 있다면 아직 본론에 이르지 않은 것이다. 조만간 크게 한 번 쓰러질 일이 있다. 그래도 극복하고 가야 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12.30 (05:06:41)

"그런 과정 없이 잘 가고 있다면 아직 본론에 이르지 않은 것이다."

http://gujoron.com/xe/1153258

프로필 이미지 [레벨:13]르네

2019.12.30 (08:35:22)

텅스텐이 필라멘트 재료로 쓰이기 전까지, 일본 교토에 있는 신사 石清水八幡宮(이와시미즈하치만구우)의 대나무를 탄소백열전구의 필라멘트의 재료로 썼었죠.

참고로 탄소화합물의 연소과정은

탄소화합물 → 기화 → 라디칼 형성 → 일산화탄소 → 이산화탄소

順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40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313
4692 세상을 바꾸는 기획 3 김동렬 2010-01-21 13105
4691 구조체의 판정 1 김동렬 2009-05-08 13103
4690 과학할 자격을 묻다 image 김동렬 2017-08-14 13101
4689 Re.. 개쌔끼들...다 죽여야한다. 미군개새끼 2002-11-25 13101
4688 노사모 새 집행부를 환영하며 김동렬 2004-10-07 13099
4687 신과 나 그리고 세계인격 김동렬 2008-09-20 13096
4686 "명계남이 옳소" image 김동렬 2005-01-13 13094
4685 무엇을 말하고 싶었는가? 8 김동렬 2010-09-10 13093
4684 펀생전 김동렬 2003-01-22 13091
4683 조광조가 그립다 김동렬 2004-05-11 13086
4682 그림정리 image 김동렬 2017-08-29 13085
4681 이상주의자가 되라 김동렬 2005-06-02 13085
4680 노무현의 그랜드디자인 김동렬 2005-10-26 13084
4679 고쳐 쓴 학문의 역사 1 김동렬 2006-01-19 13079
4678 논객인가 정치인인가..(인터넷 논객의 몰가치적인 정치적 글쓰기) 스피릿 2003-05-16 13078
4677 쇼트트랙의 성공사례 김동렬 2006-02-28 13075
4676 한국교육의 성공과 한계 2 김동렬 2011-04-24 13074
4675 구조론의 해법은? image 김동렬 2017-07-08 13072
4674 천재는 어떻게 발명되는가? image 1 김동렬 2014-10-19 13071
4673 진보는 오버해야 산다 김동렬 2006-06-03 13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