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이미지 3.jpg

     


    동지가 지나고 며칠 사이에 해가 길어진듯 하다. 알아보니 오늘은 12월 초 가장 짧을 때보다 9분이 길어졌다. 체감으로는 훨씬 더 길어진듯이 느껴진다. 사실은 동지는 해가 가장 일찍 지는 날이 아니었다. 동지날은 5시 17분이 일몰이고 가장 짧은 12월 3일은 5시 13분이다. 동지는 오히려 4분이나 오후가 길어졌다. 


    12월 3일 5시 13분이 일몰시간이니 짐작으로는 동지날은 더 짧아져서 아마 5시경일 것이고 오늘은 5시 22분이 일몰시간이니 주말에 야외로 나가다보면 일주일 사이에 무려 20분쯤 오후가 길어진듯이 착각되는 것이다. 사실은 진작부터 오후가 길어지고 있었다. 물론 일출부터 일몰까지 계산하면 동지가 가장 낮이 짧다. 


    여름 해가 가장 긴 날은 7월 4일이다. 하지보다 무려 1분이 더 길다. 엉? 거의 차이가 없잖아. 뭔가 뒤죽박죽이다. 그렇다. 동지에 가장 밤이 길고 하지에 가장 밤이 짧은 것은 맞지만 늦잠을 자느라 아침해가 뜨는 것을 보지 못하니 오후시간만 기준으로 삼으면 7월 4일이 가장 하루가 길고 12월 3일이 가장 하루가 짧다. 


    그러므로 동지만 지나면 며칠 사이에 해가 쭉쭉 길어지는 것처럼 착각되는 것이다. 지구가 자전하는 속도는 일정하지만 북위 38도 부근에서는 여러가지 이유로 균시차가 발생하여 봄가을에 하루의 길이 변화가 심하고 동지와 하지에는 변화가 적다. 12월 초는 며칠씩 일몰시간이 같고 봄가을은 하루 2분씩 당겨진다. 


    피상적으로 아는 것과 제대로 아는 것은 항상 다르다. 메커니즘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정지해 있는 것은 역설이 없지만 움직이는 것은 항상 역설이 있다. 그러나 역설의 역설이 있으므로 세상은 그다지 무리없이 굴러간다. 대충 통밥으로 찍어도 대충 근처는 가지만 확실하지 않다. 확실하게 알려면 구조를 알아야 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1.01 (04:51:44)

"피상적으로 아는 것과 제대로 아는 것은 항상 다르다. 메커니즘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정지해 있는 것은 역설이 없지만 움직이는 것은 항상 역설이 있다."

http://gujoron.com/xe/1153821

프로필 이미지 [레벨:22]의명

2020.01.01 (09:17:58)

어쩐지!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상우

2020.01.01 (18:27:42)

해가 뜨는 시간도 동지가 2주 지난 1월 5~9일쯤이 가장 늦게 뜨지요. 밤의 길이가 길다는 것에 주목하면 해뜨는 시간도 동지가 가장 늦다고 착각합니다. 밀물과 썰물현상도 위도에 따라 다르더군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3243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22547
4682 전쟁의 법칙 image 김동렬 2011-01-18 16411
4681 전투의 법칙과 전쟁의 법칙 김동렬 2011-01-21 14838
4680 편집용 image 김동렬 2011-01-23 18609
4679 복지 이야기 조금 12 김동렬 2011-01-25 12598
4678 전쟁의 역사 김동렬 2011-01-28 11746
4677 현대의 조직전 image 2 김동렬 2011-01-28 12907
4676 전쟁의 형태 image 1 김동렬 2011-01-31 16573
4675 징기스칸에서 스티브 잡스까지 image 김동렬 2011-02-02 12954
4674 조조의 리더십 image 김동렬 2011-02-02 17373
4673 손자병법과 로마교범 image 4 김동렬 2011-02-08 14314
4672 화성인 바이러스 철없는 아내편 image 6 김동렬 2011-02-08 22534
4671 손자병법 대 손빈병법 image 3 김동렬 2011-02-11 22141
4670 어떤 문답 1 김동렬 2011-02-13 15194
4669 깨달음의 구조 image 2 김동렬 2011-02-18 12228
4668 부처를 넘어서 image 5 김동렬 2011-02-23 14928
4667 모형을 사용하는 사유 5 김동렬 2011-02-25 13966
4666 낳음과 성장 image 1 김동렬 2011-02-25 15999
4665 진정한 창의 3 김동렬 2011-03-03 14986
4664 다섯 에너지 장 모형 image 5 김동렬 2011-03-07 14627
4663 연역모형의 완성 image 3 김동렬 2011-03-09 16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