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638 vote 0 2019.08.27 (22:28:36)

      

    수렴과 확산


    자연의 어떤 상태는 에너지의 확산상태다. 그러나 확산은 구조론이 아니다. 즉 자연의 어떤 상태는 사건이 일어나지 않은 상태다. 그것은 아무 것도 아니다. 어떤 계기로 균일한 계가 만들어져서 에너지가 수렴하면서 사건이 시작된다. 그리고 사건이 종결하면 에너지는 다시 확산된다. 균일한 계라는 것은 이런 것이다. 


    어떤 것이 있는데 그것을 어떤 집합이라고 하자. 거기에 외력이 작용하였다. 아무 반응이 없다. 그렇다면 그것은 아무 것도 아닌 것이다. 어떤 것이 있다고 전제를 깔았으므로 반응해야 한다. 반응이 없다면 논외다. 반응이 있다면 어디서 어디까지 반응했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반응이 일어난 범위가 닫힌 계가 된다.


    10명이 있는데 한 명만 반응했다면? 한 명은 균일하다. 왜냐하면 한 명이니까. 두 명이 반응했다면? 그 두 명이 균일하다. 개 한 마리와 고양이 한 마리와 사람 둘이 있었는데 이리오너라 하고 부르니까 사람 둘이 왔다. 사람 둘이 반응한 것이다. 그들은 균일하다. 동일한 조건에서 동일하게 반응해야 닫힌계가 되는 것이다. 


    커플이 있는데 강도가 그 중의 한 사람을 찔렀다. 나머지 한 사람이 본체만체 하고 있다면 그들은 커플이 아니다. 균일하지 않기 때문이다. 커플 중에 한 사람을 찌르면 당연히 나머지 한 사람도 반응해야 한다. 세 사람이 반응했다면 가족이다. 다섯 명이 반응했다면 그들은 농구단이요 열한명이 반응했다면 축구팀이다.


    사건은 균일한 계에서 촉발되며 사건이 촉발된 다음은 무조건 에너지가 수렴할 뿐이며 확산은 없다. 열한 명의 에너지는 모두 축구공 하나로 수렴되어 골로 결실을 이룬다. 그렇다면 확산은 무엇인가? 그것은 축구팀이 소집되지 않은 것이다. 스토브리그다. 시즌이 끝난 상황이다. FA 자격을 얻어 다른 팀으로 이적한다.


    자연의 어떤 상태는 에너지의 확산상태 곧 소집되지 않은 상태이며 외력의 자극에 의해 소집되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평소에 확산되어 있다가 비상벨이 울리면 병사들이 소집되어 연병장에 집합하면서 사건은 시작된다. 그리고 무조건 수렴된다. 사건이 종결되면 에너지는 다시 확산된다. 확산상태는 통제되지 않는다. 


    가을이 되면 풀은 열매를 맺고 죽는다. 씨앗은 흩어진다. 확산되는 것이다. 봉숭아가 열매를 터뜨리면 씨앗은 날아간다. 그때 씨방은 이미 죽어 있다. 죽은 다음 시체는 흩어진다.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 다음 일부는 땅속으로 들어가고 일부는 강물을 따라 흘러간다. 죽은 다음에야 확산되는 것이다. 사건은 종결되었다.


    씨앗은 살아있지만 모체는 죽었으며 그 단계에서 사건은 종결되었다. 확산된 씨앗이 다시 다른 곳에서 사건을 일으키지만 그것은 다른 사건이다. 하나의 사건 안에서 에너지는 무조건 수렴되며 확산은 없다. 사건의 진행 중에도 부분적으로 확산이 있지만 그 부분은 통제되지 않으므로 논외가 된다. 그것은 부스러기다.


    시합 중에 반칙을 저질러 퇴장된다면 확산이다. 잘못 쏘면 화살이 뒤로 날아가기도 한다. 오발이다. 그러한 통제되지 않은 부스러기는 논외다. 계가 불균일하면 깨진다. 그 경우 에너지가 확산된다. 그것은 사건의 실패이며 논외가 된다. 축과 대칭이 세팅되지 않고 구조가 망가져서 에너지가 확산되는 경우는 흔히 있다.


    그런 사건의 실패들은 논하지 않는다. 틀린 계산은 수학이 아니고 발표되지 않은 미완성작은 작품이 아니다. 망한 사건은 사건이 아니다. 존재는 관계를 맺어야 하는 것이며 망한 사건은 관계를 맺지 못한다. 깨진 도자기는 소비자와 관계맺지 못한다. 산에서 벌채된 나무가 내게로 와서 의자가 되어야 비로소 존재가 된다.


    목수가 만들다 만 망가진 의자는 존재가 없다. 의자가 아니다. 깨진 그릇은 그릇이 아니다. 존재가 아니다. 쓰레기다. 부스러기다. 관계를 맺지 못하기 때문이다. 만나지 못하고 관계맺지 못하면 사건을 일으키지 못하면 에너지를 감당하지 못하면 구조를 견디지 못하면 그것은 존재가 아닌 것이다. 확산은 존재가 아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zuna

2019.08.28 (01:43:38)

첫단락에서

그리고 사건이 종결하면 에너지는 다시 /수렴/된다. 가 아니라, /확산/된다. 가 아닌지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9.08.28 (08:32:08)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8.28 (03:48:25)

"만나지 못하고 관계맺지 못하면 사건을 일으키지 못하면 에너지를 감당하지 못하면 구조를 견디지 못하면 그것은 존재가 아닌 것이다."

http://gujoron.com/xe/1118304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수원나그네

2019.08.28 (11:22:17)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609
6239 모든 종교는 사이비다 김동렬 2023-03-19 3046
6238 한국은 희망이 없다 김동렬 2023-03-19 2611
6237 사랑과 운명 1 김동렬 2023-03-18 2403
6236 공룡은 잘못 그려져 있다. image 9 김동렬 2023-03-17 5052
6235 구조를 알아야 한다 김동렬 2023-03-17 2116
6234 한일관계를 보는 시선 2 김동렬 2023-03-16 2976
6233 공룡은 허벅지가 없다 image 7 김동렬 2023-03-15 3892
6232 구조론의 출사표 김동렬 2023-03-15 2281
6231 새로운 사유 김동렬 2023-03-14 2228
6230 다시 쓰는 구조론 김동렬 2023-03-14 2198
6229 한동훈의 치킨 게임 4 김동렬 2023-03-12 4221
6228 안우진과 돈룩업 김동렬 2023-03-12 2799
6227 열역학과 내시 균형 2 김동렬 2023-03-11 2157
6226 동적구조론 김동렬 2023-03-10 2239
6225 구조론은 어렵고 쉽다 김동렬 2023-03-09 2134
6224 영화 타이타닉에 대해서 김동렬 2023-03-08 2378
6223 인류는 여기까지 김동렬 2023-03-07 2518
6222 인간훈련 1 김동렬 2023-03-06 2864
6221 허무주의에 대하여 김동렬 2023-03-05 2490
6220 진리의 문 김동렬 2023-03-04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