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514 vote 0 2024.03.06 (17:58:16)

    구조론은 수학이다. 우리가 사물의 숫자는 알아도 사건의 숫자는 모른다. 사물의 많고 적음은 헤아려도 사건의 맞물려 있음은 헤아리지 못한다. 헤아린다는 것은 쌓인 것을 풀어서 보는 것이다. 풀어서 헤아릴 줄은 아는데 반대로 맞물리게 쌓을 줄은 모른다.


    푸는 것은 수학이고 풀린 것은 과학이다. 우리는 풀어서 보는 과학적 사고를 배운다. 사건은 맞물려 차원을 이룬다. 낮은 차원의 문제는 높은 차원에서만 풀린다. 풀어서 보는 과학적 사고만으로는 부족하고 사건의 맞물림을 보는 차원적 사고를 배워야 한다.


    과학적 사고는 비판적 사고다. 비판적 사고는 숨겨진 복잡성을 드러낸다. 풀어 헤쳐진 것을 헤아리므로 복잡할 뿐 다시 쌓으면 통합되어 단순하다. 차원적 사고는 직관적 사고다. 복잡한 것을 단순하게 설명하는 직관적 사고방식을 훈련하지 않으면 안 된다.


    ###


    수평에서 막힌 것은 수직에서 타개된다. 수직을 보려면 초월자의 눈을 얻어야 한다. 손님은 수평구조의 밖에 있고 주인은 수직구조의 안에 있다. 안을 보려면 주체자의 눈을 얻어야 한다. 안에 가두면 수직이 만들어져 더 높은 차원의 세계로 가는 문이 열린다.


    바둑돌 밖에서 움직이는 전술은 수평에서 교착되고 바둑판 안에서 움직이는 전략은 수직으로 타개한다. 전략은 자원을 가두어 안을 만들고 전술은 거기서 방해자를 제거한다. 내부에 가두면 수직을 세울 수 있고 더 높은 차원에 올라 수평을 장악할 수 있다.


    내부에 가두어져 장악된 것이 절대성이라면 밖으로 풀려난 것이 상대성이다. 문제해결은 밖을 안으로 바꾸는 것이다. 수평으로 흐르는 물은 수직의 그릇에 담아 통제하는 것이다. 보다 높은 차원에 올라 낮은 차원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우주의 근본원리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384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3447
6748 마이너스가 정답이다. 김동렬 2011-10-27 18945
6747 정몽준 최악의 시나리오 김동렬 2002-11-07 18944
6746 각주구검의 오류 image 3 김동렬 2010-06-10 18937
6745 김동길의 기구한 팔자 김동렬 2002-12-18 18929
6744 저항을 넘어서 자유를 바라보기 2005-08-05 18897
6743 김두관, 참여정부가 암흑기였다? 김동렬 2007-06-28 18843
6742 소통이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7-02-22 18839
6741 신과 인간의 관계 김동렬 2009-02-18 18823
6740 진중권을 불신하게 된 이유 김동렬 2003-05-25 18772
6739 럭스와 카우치 2005-08-03 18770
6738 반갑습니다. 손님이 많아졌네요-.-;;(ㅁㅜ) 김동렬 2002-09-16 18754
6737 김대중 전 대통령 CBS창사 50주년 대담 김동렬 2004-10-22 18739
6736 엘 고어 감독의 불편한 진실 image 11 김동렬 2010-02-17 18728
6735 에너지는 1을 따라간다. image 김동렬 2011-08-27 18720
6734 단일화충격 - 이것이 노무현식 정치다 image 김동렬 2002-11-11 18720
6733 내가 진중권을 고소하는 이유 김동렬 2003-05-24 18717
6732 먹는거 가지고 장난치지 맙시다. image 김동렬 2003-12-02 18708
6731 미녀 응원단을 환영하며 image 김동렬 2003-08-20 18697
6730 송두율은 죽었다 image 김동렬 2003-10-02 18686
6729 몽준을 조질 것인가? 김동렬 2002-10-23 186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