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120 vote 0 2019.07.21 (21:29:05)

    효율의 증가와 감소


    자연은 5로 되어 있다. 인간이 작위하여 만드는 것은 5가 아니다. 5는 시스템의 갖춤이다. 인간이 하는 일은 1에서 시작해서 2, 3, 4, 5로 상승한다. 5에 도달하면서부터 효율적으로 변한다. 그리고 갈수록 효율은 감소한다. 일한다는 것은 외부와 연결하여 관계를 맺는다는 것이며 관계를 맺으면 그 방향은 차단되고 새로 관계를 맺을 수 없다. 즉 일하면 일할 수 없다.

    멈춘 사람은 차를 탈 수도 있고 말을 탈 수도 있고 헤엄칠 수도 있다. 차를 탄 사람은 차에서 내리지 않고 즉 멈춰서지 않고 말을 타거나 헤엄칠 수 없다. 그러므로 일할수록 일할 수 없게 되어 결국 죽는다. 엔트로피 곧 무질서도의 증가다. 인간이 작위적으로 하는 일은 1로 시작하므로 점점 효율성이 증대된다. 아기보다 어린이가 낫고 어린이보다 소년이 낫다.

    소년보다 청년이 낫고 청년보다 장년이 낫다. 더 많은 관계를 맺을 수 있다. 그리고 하락이 시작된다. 효율성은 점차 감소한다. 바둑으로 치면 포석을 완성할 때까지 효율성은 증대된다. 그리고 점차 비효율적으로 된다. 그러므로 사건은 방향성이 있고 우리는 통제할 수 있다. 효율을 증대시킬 수도 있고 감소시킬 수도 있다. 상대보다 효율적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

    상대가 1로 나오면 2로 이길 수 있다. 2가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내가 1로 도전했는데 상대가 빠르게 2로 나오면 그 부분을 포기하고 다른 곳에 새로 전단을 열고 선수를 치면 된다. 내가 포기한 1을 상대가 해치우지 않고 이쪽으로 쫓아오면 그 1과 연결하여 다시 살려내는 방법으로 우위에 설 수 있다. 여러 곳에 전단을 벌리고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5를 도출한다.

    이 방법으로 언제나 이길 수 있다. 전성기의 나폴레옹처럼 말이다. 적은 끊어져서 5가 되지 못하게 하고 아군은 연결하여 5를 이루는 방법으로 언제나 이길 수 있다. 하나의 사건 안에서 다섯 번 세부적인 효율성의 결정이 있다. 엔트로피 감소는 사건 전체로도 일어나지만 사건 안에서도 다시 다섯으로 쪼개진다. 다섯 번 엔트로피의 감소결정이 일어나는 것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7.23 (03:47:13)

"적은 끊어져서 5가 되지 못하게 하고 아군은 연결하여 5를 이루는 방법으로 언제나 이길 수 있다."

- http://gujoron.com/xe/1107946

[레벨:15]오민규

2019.07.23 (12:49:26)

많이 도움이 됐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4781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4470
4550 수렴과 확산 4 김동렬 2019-08-27 4924
4549 속성이 아니라 관계다. 1 김동렬 2019-08-26 3002
4548 세상을 바꾸는 자 1 김동렬 2019-08-26 3384
4547 존재가 있다 1 김동렬 2019-08-25 4031
4546 태초에 사건이 있었다 4 김동렬 2019-08-24 3410
4545 사건의 얼개 1 김동렬 2019-08-22 3763
4544 귀납은 없다 1 김동렬 2019-08-22 4882
4543 연역이 좋다 3 김동렬 2019-08-21 3427
4542 구조론의 희망과 낙관주의 1 김동렬 2019-08-20 3195
4541 진리와의 대화 2 김동렬 2019-08-19 3424
4540 용맹하지 않으면 안 된다 1 김동렬 2019-08-18 3423
4539 몬티홀의 수수께끼 1 김동렬 2019-08-17 3292
4538 구조론의 개요 1 김동렬 2019-08-16 5037
4537 그림의 몬티홀 image 김동렬 2019-08-15 3289
4536 몬티홀의 좋은 소식 1 김동렬 2019-08-15 3992
4535 목적이 아니라 방향이다 1 김동렬 2019-08-13 3460
4534 최적화 원리 1 김동렬 2019-08-12 2884
4533 에너지의 수렴원리 1 김동렬 2019-08-11 4401
4532 최소작용의 원리 1 김동렬 2019-08-09 3864
4531 양자중력이론 1 김동렬 2019-08-08 37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