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207 vote 0 2019.08.20 (16:35:28)


    세상은 사건이다. 사건은 연결된다. 사건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일어난다. 사건은 사물에 대해서 사건이다. 사물은 그저 존재한다. 사물은 낱낱이 조사해봐야 알 수 있지만 사건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서로 연결되므로 하나를 알면 열을 알 수 있다. 머리를 알면 꼬리를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희망적이다.


    세상은 에너지다. 에너지는 계를 이룬다. 에너지는 계에 갇히므로 통제할 수 있다. 에너지는 물질에 대해서 에너지다. 물질은 형태가 있으므로 낱낱이 조사해봐야 알 수 있지만 에너지는 형태가 없는 대신 계를 이루고 입력과 출력이 있으므로 에너지의 입구와 출구를 틀어막으면 계 안에서 법칙대로 간다.


    세상은 구조다. 구조는 얽혀 있다. 공간과 시간이 얽혀 있으므로 공간을 알고 시간을 헤아릴 수 있으며 시간을 알고 공간을 헤아릴 수 있다. 구조의 공간과 시간 중에서 하나를 알면 나머지 하나를 추적할 수 있다. 구조는 속성에 대해서 구조다. 물질은 고유한 속성이 있지만 에너지는 보편적 구조가 있다.


    물질의 속성은 물질마다 다르다. 소금은 짜고 설탕은 달다. 구조는 만유가 동일한 플랫폼을 사용하므로 다르지 않다. 모든 구조는 대칭을 쓴다. 대칭은 둘이 쌍을 이룬다. 이쪽에 없으면 반드시 저쪽에 있다. 이쪽과 저쪽의 대칭이다. 거리를 좁히면 속도가 빨라진다. 거리를 잃고 대신 속도를 얻은 것이다.


    이것이 일어서면 저것도 일어선다. 이것이 사라지면 저것도 사라진다. 이것과 저것 안에 있으므로 우리는 추적할 수 있다. 세상은 사물이 아니고 물질이 아니고 속성이 아니다. 그러므로 낱낱이 추적할 필요가 없다. 세상은 사건이고 에너지고 구조다. 만유는 대칭이라는 하나의 플랫폼을 사용한다.


    최소작용의 원리에 따라 에너지는 효율성을 따르고 엔트로피의 원리를 따라 일방향성을 가지므로 우리는 사건에 개입할 수 있고 에너지를 통제할 수 있다. 구조를 조작할 수 있다. 사건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일어난다. 꼬리와 꼬리 사이에 마디가 있다. 그사이에 완전성이 있다. 시작점과 끝단이 있다.


    머리와 꼬리가 있다. 엔진과 바퀴가 있다. 기관차와 객차가 있다. 그 마디들 사이에 개입하여 통제할 수 있다. 하나를 알아서 열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희망적이다. 세상이 딱딱하게 고착된 물질이 아니라 부드럽고, 움직이는 사건이고, 에너지고, 구조이고, 대칭이라는 점은 인류에게 좋은 소식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8.22 (04:47:37)

"세상이 딱딱하게 고착된 물질이 아니라 부드럽고, 움직이는 사건이고, 에너지고, 구조이고, 대칭이라는 점"

http://gujoron.com/xe/1116282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62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452
4592 양자화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7-10-17 12899
4591 산은 가볍다. image 2 김동렬 2017-04-30 12899
4590 한나라당의 붕괴 김동렬 2006-04-13 12898
4589 서프라이즈가 가야 하는 길 김동렬 2004-07-09 12898
4588 이길 수 있는 이유 세가지 김동렬 2004-04-14 12897
4587 딱 한가지만 이야기하라면 이것을 이야기 할 것 김동렬 2002-10-17 12897
4586 현대의 조직전 image 2 김동렬 2011-01-28 12890
4585 동굴의 비유 image 김동렬 2017-12-16 12883
4584 같음과 다름 image 1 김동렬 2017-01-25 12880
4583 왜 공자의 가르침이 소중한가? image 4 김동렬 2018-01-15 12874
4582 최용식님의 이 글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이영호 2002-10-17 12872
4581 닭이 알을 이긴다 image 6 김동렬 2017-11-27 12870
4580 진실에 도전하라 image 김동렬 2017-02-02 12870
4579 허풍선이들과 싸우며 image 김동렬 2004-11-24 12867
4578 노하우21의 탄생을 축하하며 김동렬 2004-09-09 12866
4577 프랑스철학은 사기다 image 13 김동렬 2014-06-18 12864
4576 에어리언이 고통의 소통에 관한 영화가 아닐까 생각이 드는데 아다리 2002-10-15 12864
4575 웃어라 한국인아 2 김동렬 2010-09-23 12862
4574 상식의 고정관념을 깨라 김동렬 2008-07-01 12861
4573 합리적인 의사결정이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7-11-24 128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