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073 vote 0 2016.01.21 (14:34:05)

     

    문제는 문제가 아니다. 문제의 운용이 문제이다. 차가 가지 않는다면 운전기사 잘못이다. 이 간단한 사실을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다. 국민이 움직이지 않는다면 지도자의 잘못이다. 공무원 복지부동은 상수이고 위정자의 지휘능력이 문제다. 보통은 이 사실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문제가 문제라고 주장한다. 박근혜 놔두고 국민을 탓한다. 이순신 밑에 있는 병졸과 원균 밑에 있는 병졸은 다른 사람이 아니다. 같은 사람이라도 누가 부리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생각의 정석 37회]


    중국은 도르곤,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네 명의 만족 천재 권력자들 때문에 이후 200년을 퇴행했다. 강희제에게는 아들에 손자까지 100여명의 남자 자손이 있었는데 한족의 장자상속제에 얽매이지 않고 그들 100명을 경쟁시켜 100대 1의 확률로 그 중에서 가장 뛰어난 건륭제를 황제로 낙점했다. 소수의 힘으로 다수를 지배하기 위해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은 것이다. 만족은 교활한 수단으로 한족의 존엄을 빼앗고 돈만 아는 벌레로 퇴행시켰다. 중국경제는 번영했지만 대신 의사결정능력을 잃어 태평천국 이래 100년의 전란으로 빠져들었다. 중국만 특별히 아편에 중독된 것은 이유가 있다. 배신만이 중국의 유일한 규칙이었다. 정조의 친청운동으로 중국의 나쁜 점은 한반도로 고스란히 옮겨왔다. 중국에 태평천국이 일어나자 조선에 동학이 일어났고, 중국에 매관매직이 성행하자 조선에서도 벼슬을 사고팔게 되었고, 중국에 서태후가 일어나자 조선에 명성황후가 일어났다. 지도자가 뛰어나면 민중은 되레 바보가 될 위험이 있다. 노무현이 뛰어나자 한국에서 글자 아는 사람은 모두 사고를 쳤다. 선거의 여왕 박근혜가 조작질에 뛰어나니 새누리는 손 놓고 있다. 차가 뛰어나면 운전기술이 퇴행한다. 경제가 발전하니 경제하는 기술을 잊어버린다. 좋은 소식이 나쁜 소식이다. 경계하지 않으면 안 된다. 


[레벨:30]솔숲길

2016.01.21 (20:21:28)

[생각의 정석 37] 미디어의 미래

http://gujoron.com/xe/479399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아란도

2016.01.22 (04:29:57)

훈련이 덜 되어 퇴행한 거겠지요.
가장 빠른건 민중이 세상이 변화한다는 것을 받아들이는 것. 문제는 민중의 안목이 생각보다 느리게 변화 하다는 것. 고로, 에너지 문제가 해결되면, 진화의 족쇄가 풀린다는 것. 단, 진화의 족쇄를 제어할 또 하나의 도악적 진보가 있어야 한다는 것....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322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204
3352 열역학 법칙이란 무엇인가? 4 김동렬 2014-09-26 7313
3351 구조론의 핵심원리 image 1 김동렬 2014-06-12 7312
3350 인간은 비합리적인 존재이다 3 김동렬 2014-08-20 7297
3349 홍상수와 스캔들 김동렬 2018-07-26 7288
3348 착한 거짓말은 없다 image 3 김동렬 2015-06-09 7286
3347 이중의 역설의 예 image 3 김동렬 2014-12-28 7286
3346 인류 최후의 지식은 무엇인가? image 3 김동렬 2014-12-25 7278
3345 삶은 있고 죽음은 없다. image 1 김동렬 2014-11-11 7273
3344 몇 가지 이야기 5 김동렬 2014-09-12 7268
3343 질은 분자간 결합력이다 image 김동렬 2014-06-04 7266
3342 진리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4-10-30 7264
3341 이중의 역설을 훈련하라 image 4 김동렬 2014-12-20 7259
3340 근대인의 사유 image 1 김동렬 2015-10-06 7255
3339 후진국이 가난한 이유 image 13 김동렬 2016-01-26 7252
3338 일관, 주관, 객관 1 김동렬 2014-06-15 7229
3337 의사결정이론과 구조론 1 김동렬 2014-06-29 7218
3336 천지창조의 방법 image 김동렬 2014-10-19 7201
3335 자유 평등 박애 그리고 정의 image 2 김동렬 2014-12-17 7192
3334 고쳐쓴 1인칭 주체적 관점 김동렬 2014-08-01 7182
3333 공자는 무엇을 가르쳤는가? image 7 김동렬 2015-07-16 7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