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812 vote 0 2016.01.20 (14:50:50)

     

    어떤 사람이 피아노를 쳤다면 그 이유는 무엇이겠는가? 어떤 의도나 목적, 혹은 신념 때문이 아니다. 그런 잡다한 이유들은 다른 사람의 물음에 답하기 위해서, 혹은 자기 자신을 납득시키기 위해서 꾸며낸 바 연출된 것이다. 진짜는 따로 있다. 첫째 피아노를 칠 줄 알기 때문이다. 둘째 피아노가 고장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셋째 그 피아노가 거기에 있었기 때문이다. 반면 피아노를 치지 않았다면 그 이유는 첫째 피아노가 없기 때문이고, 둘째 피아노 줄이 늘어져 좋은 소리가 나지 않기 때문이고, 셋째 피아노를 연주할줄 모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피아노를 주고, 조율해주고, 연주하는 법을 알려주면 누구라도 피아노를 연주한다. 세상은 그 자체로 커다란 하나의 악기다. 인간 역시 하나의 악기다. 처음에는 인간이 세상을 연주하지만 다음에는 세상이 인간을 연주한다. 인간이 세상을 어떻게 했는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세상이 인간을 어떻게 했는지가 중요하다. [생각의 정석 36회]


    피아노를 만나면 피아노를 친다. 피아노를 만났는지가 중요하다. 제대로 만나야 제대로 연주한다. 인간이라는 악기가 좋은 환경을 만나면 좋은 소리를 낸다. 나쁜 환경을 만나면 나쁜 소리를 낸다. 우리는 인간이 세상을 어떻게 연출하는가에만 관심이 있고, 반대로 세상이 인간을 어떻게 연출하는가에는 관심이 없다. 깨달음은 세상이 인간이라는 악기를 연주하는 것이다. 좋은 소리를 토해내는 좋은 악기라야 한다. 좋은 만남으로 가능하다. 소리를 토해내지 못하는 깨달음은 가짜다.



aDSC01523.JPG


    세 사람이 같은 방향을 쳐다보고 있으면 지나가는 사람이 모두 고개를 들어 그 방향을 바라본다고 합니다. 소크라테스가 보던 방향을 플라톤이 보고 아리스토텔레스가 보자 모든 사람이 그 쪽을 바라보게 되었습니다. 공자가 보던 방향을 맹자와 율곡이 보자 모두 그 방향을 바라보게 되었습니다. 일찌기 석가와 혜능이 그 방향을 보았고 지금 내가 그 방향을 보고 있고 이제 여기에 한 명만 더 붙으면 됩니다. 그 때는 세상의 모든 사람이 깨닫게 됩니다. 세명이 있으면 축과 대칭이 만들어져 판단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레벨:30]솔숲길

2016.01.20 (19:51:22)

[생각의 정석 36회] 정몽즙, 무슨 맛일까?

http://gujoron.com/xe/477046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295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173
3352 열역학 법칙이란 무엇인가? 4 김동렬 2014-09-26 7313
3351 구조론의 핵심원리 image 1 김동렬 2014-06-12 7312
3350 인간은 비합리적인 존재이다 3 김동렬 2014-08-20 7297
3349 홍상수와 스캔들 김동렬 2018-07-26 7288
3348 착한 거짓말은 없다 image 3 김동렬 2015-06-09 7286
3347 이중의 역설의 예 image 3 김동렬 2014-12-28 7286
3346 인류 최후의 지식은 무엇인가? image 3 김동렬 2014-12-25 7278
3345 삶은 있고 죽음은 없다. image 1 김동렬 2014-11-11 7273
3344 몇 가지 이야기 5 김동렬 2014-09-12 7268
3343 질은 분자간 결합력이다 image 김동렬 2014-06-04 7266
3342 진리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4-10-30 7264
3341 이중의 역설을 훈련하라 image 4 김동렬 2014-12-20 7259
3340 근대인의 사유 image 1 김동렬 2015-10-06 7255
3339 후진국이 가난한 이유 image 13 김동렬 2016-01-26 7252
3338 일관, 주관, 객관 1 김동렬 2014-06-15 7229
3337 의사결정이론과 구조론 1 김동렬 2014-06-29 7218
3336 천지창조의 방법 image 김동렬 2014-10-19 7201
3335 자유 평등 박애 그리고 정의 image 2 김동렬 2014-12-17 7192
3334 고쳐쓴 1인칭 주체적 관점 김동렬 2014-08-01 7182
3333 공자는 무엇을 가르쳤는가? image 7 김동렬 2015-07-16 7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