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092 vote 0 2021.11.18 (19:48:08)

    구조론은 사건을 해석하는 도구다. 인류의 지식획득 방법으로는 사건의 해석과 사물의 관찰이 있다. 형태가 있는 사물은 눈으로 관찰하면 되는데 형태가 없는 사건은 관측된 사실에 해석을 추가해야 한다. 문제는 방향의 충돌이다. 인간은 자연의 맞은 편에 서 있다. 거울의 상이 뒤집혀 보이듯이 거꾸로 보게 된다. 그러므로 우리는 관측으로 얻은 단편적인 사건의 조각들을 모아서 퍼즐을 맞추듯이 자연의 질서에 맞게 재구성해야 한다.


    우주 안의 모든 사건은 하나의 플랫폼을 공유한다. 그것은 닫힌계 안에 축과 대칭의 밸런스를 만들고 축을 이동시켜 하나의 밸런스에서 다른 밸런스로 갈아타는 방법으로 내부의 에너지적 모순을 처리하는 것이다. 사건은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5회에 걸쳐 닫힌계 내부에 대칭을 만들고 축을 움직여 의사결정한다. 사건의 해석은 자연의 의사결정구조를 복제하고 사물의 관찰로 얻은 단서를 플랫폼의 빈 칸에 채워넣는 방법을 써야 한다.


    구조론은 관측된 사실을 수학적으로 재구성한다. 그런데 방향이 다르다. 과학은 사물을 관찰하여 단서를 얻고, 수학은 단서를 조립하여 자연의 원래 모습과 일치시킨다. 관측자 중심으로 보면 거울처럼 뒤집어져 자연과 어긋나는 부분이 있으므로 구조론이 바로잡는다. 자연의 변화를 되짚어 근원으로 다가서는 것이 수학이라면, 자연이 스스로 자신을 펼쳐내는 것은 구조론이다. 자연이 먼저 있고 인간이 목격한다. 구조론이 수학에 앞선다.


    사건이 존재의 본래모습이며 인간은 사건의 통짜덩어리 모습을 직접 볼 수 없고 추론을 거쳐야 한다. 사물의 관찰로 얻은 지식은 추론의 단서가 되는 부스러기들이다. 사건을 해석하려면 퍼즐을 맞추듯이 단서들을 조립하여 자연과 일치시켜야 하는데 그것이 수학이다. 거울에 비친 상은 다 맞는데 결정적으로 한 곳이 안 맞다. 자연의 존재와 인간의 인식은 거울처럼 반대편에서 마주보기 때문이다. 그 부분을 바로잡는 것이 구조론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5259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43121
1365 깨닫는다는 것은? 김동렬 2005-06-06 13251
1364 전여옥에서 황우석까지 김동렬 2005-06-05 12683
1363 와카슈와 대게대게 김동렬 2005-06-03 13957
1362 어떤 책을 읽어야 하는가? 김동렬 2005-06-03 15388
1361 이상주의자가 되라 김동렬 2005-06-02 13172
1360 박근혜의 5.4프로 김동렬 2005-05-31 14266
1359 청맹과니가 된 강준만 김동렬 2005-05-30 14669
1358 혁신의 서프라이즈 김동렬 2005-05-30 13500
1357 힘든 시기를 견뎌내자 김동렬 2005-05-27 13348
1356 위기의 우리당 김동렬 2005-05-27 13903
1355 박승대가 된 임종석 김동렬 2005-05-25 13920
1354 민노당과 부시 그리고 황우석 김동렬 2005-05-23 14177
1353 강준만 대 유시민 김동렬 2005-05-21 13938
1352 한나라당 알바장 황인태의 경우 김동렬 2005-05-21 15552
1351 전두환 특별법 반드시 제정하다 김동렬 2005-05-18 14392
1350 호랑이 등을 탄 우리당 김동렬 2005-05-18 14427
1349 김두관 정무특보의 의미 김동렬 2005-05-18 14098
1348 서프가 리모컨으로 조종하는 박사모 김동렬 2005-05-18 14485
1347 김기덕의 활 김동렬 2005-05-16 13559
1346 강금실을 어떻게 불러낼 것인가? 김동렬 2005-05-16 14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