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618 vote 0 2024.03.06 (17:58:16)

    구조론은 수학이다. 우리가 사물의 숫자는 알아도 사건의 숫자는 모른다. 사물의 많고 적음은 헤아려도 사건의 맞물려 있음은 헤아리지 못한다. 헤아린다는 것은 쌓인 것을 풀어서 보는 것이다. 풀어서 헤아릴 줄은 아는데 반대로 맞물리게 쌓을 줄은 모른다.


    푸는 것은 수학이고 풀린 것은 과학이다. 우리는 풀어서 보는 과학적 사고를 배운다. 사건은 맞물려 차원을 이룬다. 낮은 차원의 문제는 높은 차원에서만 풀린다. 풀어서 보는 과학적 사고만으로는 부족하고 사건의 맞물림을 보는 차원적 사고를 배워야 한다.


    과학적 사고는 비판적 사고다. 비판적 사고는 숨겨진 복잡성을 드러낸다. 풀어 헤쳐진 것을 헤아리므로 복잡할 뿐 다시 쌓으면 통합되어 단순하다. 차원적 사고는 직관적 사고다. 복잡한 것을 단순하게 설명하는 직관적 사고방식을 훈련하지 않으면 안 된다.


    ###


    수평에서 막힌 것은 수직에서 타개된다. 수직을 보려면 초월자의 눈을 얻어야 한다. 손님은 수평구조의 밖에 있고 주인은 수직구조의 안에 있다. 안을 보려면 주체자의 눈을 얻어야 한다. 안에 가두면 수직이 만들어져 더 높은 차원의 세계로 가는 문이 열린다.


    바둑돌 밖에서 움직이는 전술은 수평에서 교착되고 바둑판 안에서 움직이는 전략은 수직으로 타개한다. 전략은 자원을 가두어 안을 만들고 전술은 거기서 방해자를 제거한다. 내부에 가두면 수직을 세울 수 있고 더 높은 차원에 올라 수평을 장악할 수 있다.


    내부에 가두어져 장악된 것이 절대성이라면 밖으로 풀려난 것이 상대성이다. 문제해결은 밖을 안으로 바꾸는 것이다. 수평으로 흐르는 물은 수직의 그릇에 담아 통제하는 것이다. 보다 높은 차원에 올라 낮은 차원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우주의 근본원리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814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8111
6715 추가할 내용 image 김동렬 2010-07-18 18539
6714 슬픈 진중권들과 카우치들 김동렬 2005-10-24 18527
6713 곤충채집 겨울방학 숙제 유비송신 2002-12-04 18520
6712 노무현은 무서운 사람이다 image 김동렬 2004-02-18 18492
6711 예술의 본질 김동렬 2008-08-14 18491
6710 군포 개혁당에 부쳐 image 김동렬 2003-04-29 18477
6709 노무현 잘하고 있는데 왜들 그러는지 모르겠다. 김동렬 2002-09-12 18451
6708 광화문 1만 인파의 외침이 조중동의 귀에도 들렸을까? 김동렬 2002-12-01 18425
6707 이 사진을 보면 결과를 알 수 있음 image 김동렬 2002-12-19 18424
6706 구조의 만남 image 김동렬 2010-07-12 18408
6705 서프라이즈 출판기념회 사진 image 김동렬 2003-01-20 18376
6704 노무현은 부패를 척결할 수 없다? 1 김동렬 2002-09-11 18367
6703 박근혜의 마지막 댄스 image 김동렬 2004-03-31 18363
6702 학문의 역사 -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김동렬 2006-02-03 18352
6701 구조의 포지션 찾기 image 3 김동렬 2011-06-08 18344
6700 걸프전 문답 김동렬 2003-03-19 18309
6699 이회창이 TV토론에서 헤메는 이유 skynomad 2002-11-08 18294
6698 우리들의 대한민국이 어쩌다 이모양입니까? 김동렬 2007-09-10 18288
6697 노무현 죽어야 산다 image 김동렬 2003-08-28 18285
6696 진선미에 대해서 2 김동렬 2010-08-05 18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