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241 vote 0 2023.01.19 (11:15:24)

    인간이 거짓을 말하는 이유는 거짓이 더 쉽기 때문이다. 인간이 나쁜 짓을 하는 이유는 나쁜 짓이 더 비용이 싸게 먹히기 때문이다. 이어진 줄을 자르기는 쉽고 잘린 줄을 잇기는 어렵다. 무엇이든 연결은 어렵고 단절은 쉽다. 모이기는 어렵고 흩어지기는 쉽다.


    진실은 연결이고 거짓은 단절이다. 사람은 움직이기 쉬운 쪽으로 움직인다. 어떤 사람이 어떤 짓을 하는 이유는 그게 더 쉬웠기 때문이다. 그 사람이 할 수 있는게 그것뿐이었기 때문이다. 이건 심리학 이전에 물리학이다.


    비트코인은 모든 정보를 공개하여 거짓이 지는 게임의 구조를 만들었다. 모두 연결해 놓으면 거짓이 진다. 시스템을 유지하는 데는 비용이 들지만 적어도 거짓이 진실을 이길 수는 없다는 사실 만큼은 확실하다.


    진실은 심리적 비용이 든다. 하나도 틀리지 말아야 하므로 꼼꼼하게 검토해야 한다. 반대로 거짓은 포장지만 그럴듯하면 된다. 만화를 그려도 사실주의 그림체는 진입장벽이 높다. 소설을 써도 리얼리즘은 사전조사를 많이 해야 한다.


    문제는 사건의 방향성이다. 첫 단추를 잘못 꿰면 계속 잘못된 방향으로 가게 된다. 에너지의 꼬리에 꼬리를 물고 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성질 때문이다. 진입장벽 때문에 인간은 첫걸음을 잘못 뗀다. 첫 번째 갈림길에서 가기 쉬운 방향을 선택한다. 이후 그 방향으로 계속 미끄러진다. 수렁에 빠져 악순환을 벗어나지 못한다.


    초원에 사는 몽골인은 나무가 시야를 가리면 불안해한다. 몽골인은 뛰어난 시력으로 사방을 감시하고 있는데 주변에 나무가 시야를 가리면 말도둑이 숨어들 수 있기 때문이다. 그들은 나무를 닥치는 대로 뽑아버린다. 반대로 숲에 사는 부족은 나무가 없으면 불안해진다. 몽골인이 침략해오면 숨을 데가 없기 때문이다. 


    진시황은 수천 개의 방을 만들고 자신이 어느 방에서 자는지 모르게 했다. 루이 14세는 많은 귀족을 베르사이유로 불러 모아 자신의 사생활을 모두 공개했다. 진시황의 수천 개 방은 숨기에 좋지만 자객이 숨어들기에도 좋은 것이다. 진시황의 폐쇄지향과 루이 14세의 개방지향은 사유의 방향이 다르다.


    로마인은 도로가 없으면 불안해지고 게르만족은 도로가 있으면 불안해진다. 공격이냐 수비냐로 포지션이 다르다. 로마인은 도로가 있어야 군단병을 불러와서 공격할 수 있고, 게르만족은 도로가 없어야 지리적인 이점을 살려 방어할 수 있다.


    중국인은 뭉쳐야 산다고 믿고 독재자를 중심으로 단결하고, 유태인은 흩어져야 산다고 믿고 디아스포라를 실천한다. 장단점이 있다. 뭉치면 리스크도 같이 커진다. 떨어지면 각개격파 된다. 적당히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면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뭉치기와 헤어지기를 자유자재로 하는 것이 가장 좋다.


    연결지향이냐 단절지향이냐다. 진리는 모두 연결하여 거짓이 끼어들 빌미를 주지 않는 것이다. 나는 모두 연결되어야 편안해지는데 거짓말하는 사람은 단절되어야 편안해진다. 


    17세기 갈릴레이 시절로 돌아가 보자. 당신이 일체의 편견이 없이 중립적인 위치에서 심판을 맡았다면 어떻게 하겠는가? 갈릴레이가 틀렸을 수도 있지만 인류가 모두 한 방향만 바라보고 있다면 어찌 위태롭지 않겠는가? 그것은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는 것과 같다. 이성적인 사람이라면 헤지펀드가 위험을 회피하듯이 인류의 위험을 헤지하기 위해서라도 갈릴레이의 의견을 진지하게 검토할 것이다.


    지식은 연결 아니면 단절이다. 연결모드와 단절모드가 있다. 나는 인류가 모두 한 방향을 바라보고 있는 사실을 폭로한다. 벌거숭이 임금뿐 아니라 인류 모두가 벌거숭이다. 인류 모두가 단절모드를 선택하여 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첫 단추를 그렇게 꿰었고 이후 그 방향으로 쭉 미끄러지고 있다.


    인간은 그렇게 만들어진 동물이다. 원래 한 방향을 보게 되어 있다. 그게 심리적 비용이 싸게 먹힌다. 모르면 일단 잇고 보자가 아니라 모르면 일단 끊고 보자다. 눈이 둘 있는데 그중 하나만 사용한다. 두 눈을 다 쓰면 스트레스를 받는다.


    경찰은 되도록 넓고 평평한 곳에서 조목조목 따져보자고 하고, 도둑은 되도록 좁고 복잡한 지형에 숨어서 지나가는 행인 중에 아무나 하나만 걸려라고 한다. 경찰은 잘 드러내는 사람이 승진하고 도둑은 잘 숨는 사람이 성공한다.


    드러내는 사람도 있고 숨는 사람도 있어야 하는데 어쩌다가 숨는 쪽으로 방향이 정해져서 숨는 사람이 이기는 구조가 만들어졌다. 도둑이 경찰을 이기는 나라가 되었다. 중남미와 아프리카의 실패한 국가들이 그러하다.


    일본 망가는 이세계물이 판을 치고 미국 코믹스는 히어로물만 남아 있다. 리얼리즘이 지는 구조다. 현실의 세계와 상상의 세계가 있는데 그중에서 하나를 없앤다면 인간의 사유는 협량해지고 사회는 왜소해져서 본래의 풍성함을 잃어버린다.


    리얼리즘은 쉽지 않다. 심리묘사를 해야 한다. 사건만 나열하는 외부 관찰자의 시선을 버리고 주인공의 마음속으로 들어가서 꼼꼼하게 빌드업을 해야 한다. 마지막 반전의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사전에 복선을 스무 가지는 깔아야 한다.


    전통적인 소설은 천일야화처럼 독자와 작가 사이에 밀고 당기고 조이고 풀고 흔들고 하는 것이 있다. 이야기가 느슨해지면 작가는 죽는다. 리얼리즘은 자재를 촘촘하게 배치해서 빌드업을 하므로 건축 자체의 긴장을 따라간다. 작가와 독자 사이의 긴장이 없고 1층과 2층 사이에 긴장이 있다. 애초에 관객을 작품에 집중하게 하는 긴장의 조달방식이 다른 것이다.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이 다르다.


    각종 음모론부터 괴력난신과 사이비는 그게 일종의 천일야화다. 매일 새로운 거짓말을 투척해야 한다. 한 번이라도 긴장이 풀리면 죽는다. 빌드업이 있는 문학은 초반에 느슨하게 시작되지만 한 방향으로 계속 조여가는 맛이 있다.


    옛부터 소수의 강철심장들이 고전의 벽을 허물고 리얼리즘의 신세계로 나아가서 세상을 풍성하게 만들었다. 사유에 있어서도 리얼리즘이 필요하다. 빌드업이 있는 사유를 해야 한다. 인류는 첫걸음마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 빈틈없이 모두 연결하여 거짓이 숨을 곳이 없는 세계로 가야 한다. 구조의 눈을 떠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601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553
6195 정치판이 어린애 놀이터인가? 김동렬 2003-05-07 13776
6194 김용옥의 불평 김동렬 2003-05-08 14995
6193 사과문>사과+문>사과와 문 image 김동렬 2003-05-09 22939
6192 박주현수석은 얼굴마담 수석인가? image 김동렬 2003-05-09 17073
6191 [한국일보 시론] 호주제는 위헌이다 김동렬 2003-05-09 14789
6190 흔들리는 영남 (중앙일보) 김동렬 2003-05-09 15008
6189 펀 혈액형별 성격 김동렬 2003-05-09 17172
6188 김민새 요즘 머하노? 김동렬 2003-05-09 15240
6187 잡초들의 운명 image 김동렬 2003-05-10 15316
6186 혈액형에 대한 최근 연구자료(아래는 구버전) 혈액형 박사 2003-05-10 20612
6185 잘못 가고 있는 서프라이즈 김동렬 2003-05-10 14161
6184 이것이 인생 김동렬 2003-05-11 14397
6183 위험한 고양이 김동렬 2003-05-11 16162
6182 서프 사자의 위엄을 배워라 image 김동렬 2003-05-12 14197
6181 '살인의 추억' 화성연쇄사건 김동렬 2003-05-12 18989
6180 앗싸 신기남 - 선혈이 낭자하게 싸워야 한다 image 김동렬 2003-05-12 14502
6179 장신기 씨의 민주당 지지자 모욕.. 스피릿 2003-05-14 13765
6178 YS에게 빠다를 줘라! 김동렬 2003-05-14 14784
6177 박상천과 동교동 떨거지들의 '의도적 오해' 스피릿 2003-05-14 13689
6176 신기남, 정동영, 천정배, 임종석 4인방이 대한민국을 접수한다 image 김동렬 2003-05-14 151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