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823 vote 0 2020.01.06 (22:20:10)

      
   이중의 역설

   
    단순히 찢어진 상처는 잘 봉합해 놓으면 쉽게 아물지만 진피층의 섬유조직이 떨어져 나가면 잘 아물지 않는다. 상처에 딱지가 생기면 상처가 덧나고 감염되는 것을 막아 치료를 돕는다. 아니다. 상처에 딱지가 생기면 산소 유입이 차단되고 세포재생이 중단되어 잘 낫지 않는다. 딱지가 앉은 채로 완전히 낫지 않고 몇 달을 끄는 수가 있다. 


    상처 부위에 모여든 백혈구가 성장인자를 자극하고 육아조직을 발달시켜 세포재생을 돕는 절차가 있다. 딱지는 상처의 진물을 제거하여 그 과정을 방해한다. 상처에 연고를 바르는 이유는 진물을 유지하여 백혈구의 활동을 돕기 위해서다. 세포재생이 시작되면 딱지를 제거해야 한다. 어떤 상처든 2주가 지나면 빠르게 새 살이 돋아난다. 


    잘 넘어지는 다섯 살 꼬맹이는 정강이나 팔꿈치에 딱지 대여섯 개는 달고 사는 법이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 가렵다. 딱지를 떼고 싶다. 무리하게 떼면 피가 난다. 그래도 가능하다면 조심스럽게 제거해야 한다. 딱지는 좋지만 좋지 않다. 치료를 돕지만 돕지 않는다. 이것이 이중의 역설이다. 세상은 항상 이런 식이다. 좋다가도 좋지 않다.


    진보는 오히려 진보의 방해자가 된다. 우리는 혁명을 해야 하지만 동시에 그 혁명을 혁명해야 한다. 우리는 진보를 해야하지만 동시에 그 진보를 진보해야 한다. 우리는 딱지를 씌워 상처의 감염을 막아야 하지만 동시에 그 딱지를 제거해서 새살을 자라게 해야 한다. 세상은 항상 이런 식으로 돌아간다. 보다 정밀한 대응이 요구되는 것이다.


    적절한 때에 엘리트 진보에서 대중의 진보로 갈아타야 한다. 처음부터 그렇게 안 된다. 진보가 진보의 방해자가 되는 시점이 있다. 우리는 옳기 때문에 진보하는 것이 아니라 역량이 있기 때문에 진보하는 것이다. 처음은 옳음으로 시작하지만 나중은 옳음이 역량을 방해한다. 그 반대로 생각할 때도 있다. 역량이 부족해도 옳으면 가야 한다.


    가다 보면 역량이 생긴다. 우리는 역량이 부족하니까 일단 관망하며 기회를 보자는 세력과 우리는 옳으니까 일단 가보자는 세력이 충돌하는게 보통이다. 지금은 진보가 행정권력을 장악하고 의회권력과 실질권력을 넘보는 시점이다. 이런 때는 좌우의 갈림길에서 옳고 그름의 판단보다 고저의 오르막 내리막에서 역량의 문제가 제기된다.


    처음은 첫 단추를 잘 끼워야 하므로 옳고 그름의 판단이 중요하다. 그러나 한 번 탄력이 붙으면 방해자의 제거가 중요하다. 기세로 밀어야 한다. 역량의 제고가 중요하다. 지금은 상처를 보호하는 피딱지를 제거하고 백혈구를 활성화시켜 진피층의 섬유조직 재생을 도와야 한다. 엘리트 진보를 탈피하고 대중적 진보로 저변을 넓혀가야 한다.


    딱지가 오히려 상처의 회복을 방해하는 것이 역설이라면 큰 틀에서 볼 때 그 딱지의 제거과정에서 역량이 강화되는 것이 이중의 역설이다. 엘리트 진보가 도리어 대중적 진보를 방해하는 것이 역설이라면 엘리트 진보를 타격하면서 대중적 진보가 세련되어지는 것이 이중의 역설이다. 엘리트 진보는 제거되는 것이 그들에게 주어진 역할이다.


    진보는 두 번 이겨야 한다. 한 번은 적의 삽질에 기대어 타력으로 이기고 두 번은 대중적 진보가 엘리트 진보를 극복하면서 보다 세련되어져서 자력으로 이긴다. 모든 것이 이런 식이다. 첫 번째는 상대방을 이기고 두 번째는 자신을 이긴다. 첫째는 상대방의 실수를 추궁해서 운으로 이기고 두 번째는 스스로 역량을 강화시켜 실력으로 이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1.07 (08:38:52)

"한 번은 적의 삽질에 기대어 타력으로 이기고 두 번은 대중적 진보가 엘리트 진보를 극복하면서 보다 세련되어져서 자력으로 이긴다."

http://gujoron.com/xe/1155747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582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531
6055 구조론의 가르침 김동렬 2022-02-01 2814
6054 힘의 이해 김동렬 2022-01-18 2816
6053 목줄에 묶인 개 김동렬 2022-03-06 2816
6052 방향성의 이해 5 김동렬 2022-06-08 2816
6051 인간의 진실 김동렬 2023-10-07 2816
6050 강체 유체 강체 김동렬 2021-11-16 2818
6049 신과 인간 1 김동렬 2019-12-30 2820
6048 구조론의 길 김동렬 2021-10-12 2822
6047 지능이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22-07-09 2822
» 진보를 진보하라 1 김동렬 2020-01-06 2823
6045 간섭원리 김동렬 2023-10-17 2824
6044 생각을 하자 김동렬 2022-11-16 2831
6043 방향전환 1 김동렬 2020-03-26 2834
6042 우주는 너무 크다 김동렬 2021-12-02 2834
6041 구조론의 힘 3 김동렬 2021-12-04 2837
6040 잘 사는 방법 김동렬 2022-04-13 2837
6039 현대차가 도요타를 제치는가? 김동렬 2023-07-18 2837
6038 왜 노무현주의가 뜨는가? 김동렬 2020-10-24 2838
6037 배우 강수연에 대한 추억 2 김동렬 2022-05-08 2839
6036 이야기의 단초 2 김동렬 2020-03-08 28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