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685 vote 0 2019.04.14 (15:03:30)



   의미 속에 내가 있다


    심부름을 갔다가 임무를 잊어버렸다. 무엇을 잃어버린 느낌인데 무엇을 잃었는지 떠올리지 못한다. 주머니를 뒤져보지만 생각나는 것이 없다. 나는 내가 아닌 것이 아니다. 내 안에는 내가 없다. 내 안에서 의미를 찾지 마라. 반대로 생각하라. 의미는 내게 있는게 아니라 의미 자체에 있다.


    대승적 사건 속에, 천하 단위의 사건 속에, 커다란 의미 속에 내가 있고 그대가 있다. 개별적인 것에는 의미가 없다. 내게 속하는 나의 의미를 찾으려고 하면 안 된다. 잃어버린 것은 나의 소지품이 아니다. 반대로 커다란 의미 속에서 나를 찾아야 한다. 큰 사건 속에서 나를 찾아야 한다.


    역사의 현장에 내가 있어야 한다. 진리의 현장에 내가 있어야 한다. 내 주머니를 뒤져서, 내 재산목록 속에서, 내게 속하는 나의 소지품들 속에서 무언가를 찾으려 말고 천하의 커다란 사건 속에서, 진보의 커다란 의미 속에서 나를 발견해야 한다. 내가 그곳에 가서 자리 잡고 있어야 한다.


    사건 속에 또 다른 사건이 있고 의미 속에 또 다른 의미가 있으며 우리는 커다란 사건과 의미 속에서 호흡하는 작은 존재다. 사건은 나보다 먼저 있었고 의미는 나보다 먼저 있었다. 우주는 나보다 먼저 있고 진리는 나보다 먼저 있다. 나를 중심으로 사고하면 곤란하다. 삼가야 할 자기소개다.


    의미는 사건을 다음 단계로 연결해가는 것이다. 바둑을 둔다면 다음번에 둘 자리는 바둑판 안에 있다. 내가 바둑판 안으로 들어와 바둑알 하나가 되어 있다. 천하라는 바둑판 안에서 나의 설 자리를 찾을 일이다. 사건은 일어나 있고 나는 사건 속의 존재다. 의미는 사건 속에서 나의 위치다.


    하지 않으면 당한다. 내 자리를 찾지 못하면 남이 그 자리를 빼앗는다. 이다음에 나는 무얼 해야 하지? 자기를 개입시켜 무언가 하려고 하므로 안철수 되고 변희재 된다. 바둑알이 제 자리를 떠나 돌아다니려고 하면 안 된다. 주목받고 보상받고 칭찬받고 무언가를 받으려고 한다. 틀렸다.


    받으려는 것은 어린이의 태도다. 반대로 주는 어른이 되어야 한다. 무언가 받아 챙기고 그것을 의미로 여기면 안 된다. 받는다면 주도권을 잃고 종속된 것이다. 인생에 받아내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무덤으로 갈 뿐이다. 상장을 받고 훈장을 받고 인정을 받고 보상을 받는 건 어린이다.


    받는 것을 의미로 여기는 것은 어린이의 태도다. 사건은 천하 속에 있고 천하의 불은 번져가는 것이며 의미는 거기에 있고 나의 있을 자리도 그곳에 있다. 내가 무언가를 챙겨 받는 것을 의미로 여기면 안 된다. 천하가 제대로 굴러가는 것이 의미다. 천하라는 큰 집에 벽돌 하나 될 수 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4.15 (02:56:38)

"사건은 천하 속에 있고 천하의 불은 번져가는 것이며 의미는 거기에 있고 나의 있을 자리도 그곳에 있다."

http://gujoron.com/xe/1080492

[레벨:30]이산

2019.04.15 (23:30:06)

큰 사건 속에서 나를 찾고 내가 그곳에 가서 자리 잡고 있어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829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8254
4415 폐경이 있는 이유 image 김동렬* 2012-10-21 9095
4414 깨달음은 스타일이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843
4413 깨달음은 이미지다 김동렬* 2012-10-21 9372
4412 관계를 깨달음 김동렬* 2012-10-21 8818
4411 관계를 깨달음 2 김동렬* 2012-10-21 9146
4410 깨달음의 족보 김동렬* 2012-10-21 8251
4409 깨달음의 문학 image 김동렬* 2012-10-21 8992
4408 깨달음에 정답은 있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716
4407 깨달음의 정답은 스타일이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762
4406 삶의 정답은 있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578
4405 삶의 인과법칙은 있다 image 김동렬* 2012-10-21 9311
4404 스타일은 자기다움이다 image 김동렬* 2012-10-21 9258
4403 완전성이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2-10-21 8827
4402 캐릭터의 족보 image 김동렬* 2012-10-21 8765
4401 의미를 버리고 관계를 얻어라 김동렬* 2012-10-21 9533
4400 상호작용의 밀도를 높여라 image 1 김동렬* 2012-10-21 8758
4399 관계란 무엇인가 ? image 김동렬* 2012-10-21 11435
4398 약한 고리는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2-10-21 8658
4397 시의 문법 김동렬* 2012-10-21 10118
4396 관계의 종류 image 1 김동렬 2012-10-22 138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