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577 vote 0 2019.02.04 (21:54:04)

      
    1은 살고 2는 죽는다

    

    부부가 공유하는 토대는 아이다. 둘이 공유하는 하나의 아이에 의해 부부 2는 가족 1로 도약한다. 에너지는 항상 상부구조에서 온다. 부부관계를 유지하게 하는 에너지는 아이를 통해 가족으로부터 오는 것이다. 사회로부터 오고 집단으로부터 오는 것이다. 에너지는 무의식을 통해 은밀히 들어오므로 알아채지 못한다. 


    보다 큰 단위로 올라서지 않으면 안 된다. 에너지가 거기서 오기 때문이다. 명절에 고향을 찾아도 그냥 가지 못한다. 아이를 앞세우고 가는 것이다. 아이라는 말은 알기 쉽게 비유하여 설명하려는 것이고 본질은 계속성이다. 부부는 죽어도 아이는 남아있다. 조상으로부터 현재로 그리고 미래로 이어져 가는 근본이다.


    그것은 반드시 있어야 한다. 그게 아이가 될 수도 있지만 다른 것이 될 수도 있다. 직장이나 이념이나 이상주의나 종교라도 마찬가지다. 사건은 다양하다. 그리고 중첩되어 있다. 부부가 아니라도 친구가 있고 회사도 있다. 회사도 사건을 계속 이어지게 한다. 회사인간이 그렇다. 부부생활보다 회사생활이 더 중요하다. 


    문제는 언젠가 회사를 떠나게 된다는 점이다. 아이가 없어도 살 수 있지만 미래로 계속 이어지게 하는 그 무엇이 없으면 인간은 결코 살 수 없다. 설문조사를 하면 절반이 아이가 없어도 상관없다는 답변을 내놓는다. 그 사람들은 아이가 아니라도 계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 사건을 이어갈 수 있다. 그러나 과연 그럴까?


    아이도 없고, 부모도 죽고, 회사도 떠나고, 친구도 사라지고, 이념도 없고, 종교도 없다면? 그럴 때 인간은 죽는다. 지금은 그럭저럭 형편이 괜찮으므로 아이가 없어도 살 수 있다고 답변하는 것이다. 나이 50이 넘어가면 급속하게 친구와 끊어지고 사회와 단절되어 고립된다. 그래도 이념이 있고 미학이 있으면 살 수 있다.


    나이는 들었는데 이념도 없고, 미학도 없고, 아이도 없고, 친구도 없고, 부모도 없다면? 종교가 최후의 안식처가 된다. 그러나 종교의 사회적 비중은 급속하게 줄어들고 있다. 그래도 당신은 살 수 있을까? 작가는 살 수 있다. 작품이 아이다. 무엇이든 낳음이 있어야 한다. 사건의 다음 단계로 이어가는 무엇이 있어야 한다.


    아이는 없어도 살지만 회사도 부모도 친구도 회사도 종교도 없으면 인간은 죽는다. 그래도 작가는 산다. 미학이 있으면 살고 이념이 있으면 살고 이상주의가 있으면 산다. 내면의 빛이 있으면 산다. 진리를 보는 자는 산다. 그러지 못하는 자는 비참하게 죽는다. 고립되어 죽는다. 단절되어 죽는다. 에너지가 끊겨서 죽는다. 


    1이 되면 살고 2가 되면 죽는다. 둘이 한배를 탄다. 배는 1이다. 배를 잃으면 2다. 여야는 국민이라는 한배를 타고 있다. 국민이 보이지 않고 야당만 보이면 2다. 2가 되면 죽는다. 대칭이 2면 축은 1이다. 그 축을 이동시켜서 에너지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인간은 산다. 계가 없고 에너지가 없고 통제하지 못하면 죽는다. 



[레벨:11]sita

2019.02.05 (00:48:59)

WELL SAID !
I CELEBRATE MY NEW BIRTH!
THANKS TO YOU.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2.05 (04:11:38)

"사건의 다음 단계로 이어가는 무엇이 있어야 한다."

http://gujoron.com/xe/1060105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4281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3962
6369 권영길 후보의 역할분담.. ^6 시민K 2002-12-04 16345
6368 김근태의 날마다 아햏햏 image 김동렬 2004-01-07 16344
6367 구조론적 센스 김동렬 2010-05-10 16343
6366 회담결렬 좋아하시네 2005-09-08 16343
6365 생물의 진화 자본의 증식 2 김동렬 2010-01-14 16336
6364 CEO를 위한 중국보고서 image 김동렬 2003-08-14 16334
6363 펌 만화, 효순아 미선아 황인채 2002-12-03 16333
6362 정치란 무엇인가? 4 김동렬 2010-05-19 16323
6361 욕망의 극복 image 2 김동렬 2010-10-26 16322
6360 부바키키효과 image 1 김동렬 2010-12-09 16318
6359 쥑이는 노래 : 아빠의 말씀 (또한번 디벼짐다) 관운장 2002-12-10 16313
6358 지만원은 솔직한 조선일보 2005-09-06 16312
6357 오마이뉴스가 간당간당한다 image 김동렬 2003-10-15 16312
6356 철학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8-02-10 16311
6355 메기의 추억 image 김동렬 2003-06-01 16311
6354 소유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7-12-12 16309
6353 콜라와 햄버거 치킨과 맥주 아다리 2002-10-05 16308
6352 최홍만이 귀엽다? image 6 김동렬 2011-10-13 16305
6351 허준영은 버텨라 김동렬 2005-12-28 16299
6350 박근혜 대표? 우끼고 자빠졌네 image 김동렬 2004-02-20 16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