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4675 vote 0 2024.06.12 (18:53:29)

    https://gujoron.com/xe/1613493 <- 2편도 있습니다. 


    한국사람은 대부분 갓을 쓸 줄 모른다. 한심한 일이다.


300px-Korea-gat-01.jpg


    갓을 이렇게 쓰면 안 된다. 사극에 나오는 연기자의 갓을 쓴 모습은 거의 대부분 잘못 쓴 것이다. 너무 찐따 같지 않은가? 


AKR20170123126000005_01_i_P4.jpg


    오른쪽 그림을 보라. 멋쟁이들은 갓을 베레모 쓰듯이 삐딱하게 쓴다. 가운데 그림처럼 이마를 드러내는게 중요하다. 갓은 뒤통수에 슬쩍 걸쳐 놓았다. 갓은 모자에 머리통을 집어넣으면 안 된다. 갓은 상투를 감추는 물건이다. 망건은 머리카락을 고정시키는 역할이다. 


eHQ.jpg


    금관을 이렇게 쓰면 안 된다. 머리를 올린 유부녀가 왜 머리를 내리고 있는가? 머리 올린다는 말의 뜻을 모르는가? 머리를 내리면 미성년자다. 선덕이 궁녀인가?

    Q.jpg


    금관을 이렇게 쓰면 안 된다. 한국인들은 갓을 어떻게 쓰는지 모르고 금관을 어떻게 쓰는 지 모른다. 모를뿐 아니라 도무지 생각을 하지 않는다. 딱 봐도 아니잖아. 너무 바보 같지 않은가? 

    11.jpg


        일부 금관은 이런 모습으로 발견되었다. 오해가 빚어졌다. 


2d3c.jpg


    금관은 누워서 쓰는게 아니다. 금관을 머리에 쓴 채로 누울 수 없다. 갓을 쓴 채로 시신을 입관할 수 없는 것과 같다. 시신을 세워서 매장할 수 없으므로 관을 얼굴에 올려놓은 것이다. 금관은 머리에 쓰는 물건이 맞다. 


567.jpg


    갓 쓰는 방법과 금관 쓰는 방법이 같음을 알 수 있다. 금관이 이마를 가리지 않는다. 금관은 머리카락 위에 올려져 있다. 그런데 금관이 너무 높은 위치에 올려져 있지 않느냐고? 


20240612_160706.jpg


    금관 뒤에 상투가 있다. 상투가 높으면 금관도 높아야 한다. 금관은 상투를 가려야 한다. 임금은 상투가 매우 높았다. 왕비도 마찬가지다. 평생 깎지 않은 머리가 금관 안에 들어가 있다. 


금관총금관.jpg


    금관 안에는 관모가 있고 관모로 상투를 고정시키고 다시 비녀 같은 것으로 금관을 고정시켰다. 금관은 이마까지 내려오면 안 되며 머리 위에 높이 올려놓는 것이며 관모와 연결된 것이며 고정장치가 있다. 


    한국인들이 갓을 쓰는 방법도 모르고 금관 쓰는 방법도 모른다면 너무 한심하지 않은가? 한국에 제대로 된 지식인이 있기는 한가? 왜 문제를 제기하지 않는가?


    https://www.danb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300


    이런 헛소리가 나오는 이유는 상투의 존재를 잊어버렸기 때문이다. 금관의 높이는 상투의 높이와 같다. 지름이 작은 초창기 금관은 머리 위에 올려놓고 관모와 비녀로 고정시킨 것이다. 


https://gujoron.com/xe/1613493 <- 2편도 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4.06.12 (19:14:44)

AlWZQFl.jpg


족두리는 몽골 귀족이 쓰는 뾰족모자가 도입된 것이다. 모자를 눌러쓰는게 아니고 머리 위에 올려놓는 것이며 내부에는 평생 깎지 않은 머리카락이 들어 있다.

첨부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4.06.12 (19:21:16)

8.jpg


금관 위로 상투가 돌출해 있다. 금관이 높아야 하는 이유다. 관은 머리카락 위로 올라가야 한다. 


첨부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4.06.12 (19:22:56)

20200525hd2-7.jpg


갓은 이마를 최대한 드러내고 뒤로 약간 기울여서 쓴다.

첨부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4.06.12 (19:24:42)

2010032600553_0.jpg


갓은 상투를 가리려고 머리 위에 올려놓는 물건이다.

첨부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4.06.12 (19:29:57)

Q.jpg


금관은 이렇게 써야 한다. 위치를 높였더니 확실히 보기가 좋다. 

첨부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4.06.12 (19:33:56)

2021120100469751_d.jpg


중국인이 생각한 갓 .. 우습지 않은가? 갓은 그렇게 쓰는게 아냐 하고 알려주려면 똑바로 알아야 한다. 

임금은 최대한 높은 관을 써서 키가 커 보여야 한다. 

첨부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4.06.12 (19:56:15)

6Xg.jpg


교동 금관은 너무 작아서 어린아이의 것이라고 하는데 과연 그럴까? 어린아이가 왜 금관을 쓰지? 머리통이 모자 속에 들어가야 한다는 생각은 잘못된 것이다. 갓은 원래 머리가 모자 속에 들어가지 않는다.

첨부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4938
»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4675
6150 작은수의 법칙 김동렬 2022-12-29 3169
6149 사건의 수학 구조론 김동렬 2022-12-28 2572
6148 한국인에게 주어진 역할 1 김동렬 2022-12-27 3257
6147 변화의 세계관 김동렬 2022-12-27 2391
6146 동양의 직관과 서양의 직관 김동렬 2022-12-27 2492
6145 원론과 공자 합리주의 김동렬 2022-12-26 2601
6144 초이성의 부름 김동렬 2022-12-25 2516
6143 이성이냐 본능이냐. 김동렬 2022-12-25 2431
6142 선비가 본 기독교 image 1 김동렬 2022-12-25 4164
6141 예수의 초대 김동렬 2022-12-24 2496
6140 뒤집어 생각하기 김동렬 2022-12-23 2403
6139 찰리 멍거의 방법 1 김동렬 2022-12-23 2316
6138 아바타 볼만하냐? 1 김동렬 2022-12-22 2479
6137 아프리카의 주술사들 김동렬 2022-12-22 2414
6136 존재의 족보 김동렬 2022-12-21 2285
6135 신데렐라 이야기 1 김동렬 2022-12-21 2526
6134 연역과 귀납 1 김동렬 2022-12-20 2240
6133 구조론의 출발점 2 김동렬 2022-12-19 2539
6132 스티브 잡스와 일론 머스크의 기행 김동렬 2022-12-18 2457
6131 벌거숭이 인간들 김동렬 2022-12-18 2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