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665 vote 0 2020.04.23 (18:09:31)



    구조론의 출발점


    자연의 많은 것은 각자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그 성질을 관찰하여 지식을 획득한다. 성질은 내부의 속성이다. 성질을 알려면 내부를 들여다봐야 한다. 내부에는 작은 것이 있다. 작은 것이 모여서 큰 것이 이루어졌다. 가장 작은 것은 무엇인가? 거기에 해답이 있다.


    그것을 원자라고 치자. 여기서 딜렘마다. 어떤 것을 알려면 내부를 들여다봐야 하는데 작은 것의 내부는? 만약 내부가 있으면 작은 것이 아니다. 만약 내부가 없다면 성질도 없다. 역시 곤란하다. 얼버무리자. 작은 것은 원자이며 쪼개지지 않지만 성질을 가진다. 이것은 억지다.


    앞뒤가 안 맞는 주장이다. 작은 것은 어떤 하나다. 어떤 하나는 성질을 가지지 않는다. 쪼개지지 않는 원자가 있다면 그것은 성질이 없다. 그러므로 의미가 없다. 원자론은 하나의 아이디어다. 플로지스톤설, 칼로릭설, 에테르설은 모두 틀렸음이 확인되었다. 원자론도 틀렸다.


    그러나 잠정적으로 기여한다. 폴로지스톤은 없지만 있다고 치고 계산해보니 계산이 맞다. 안 맞는게 있어서 그렇지 맞는 것은 맞다. 화학의 발전에 상당히 기여했다. 원자론도 마찬가지다. 잠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개념이지만 그런 식으로 따지면 음양오행설도 일부 기여했다.


    서양의 사원소설이나 주역도 약간의 도움을 준다. 종교도 마음의 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나 과학의 진보를 위해서는 틀린 것은 틀렸다고 말해야 한다. 더 좋은 설명법이 나오면 낡은 것을 버려야 한다. 아인슈타인의 우주상수나 암흑물질, 암흑에너지가 그런 신세다.


    우리가 찾으려는 것은 물질의 성질이다. 그 성질의 최초 출발점이다. 그것은 원자와 같은 하나의 개체에 없다. 개체는 성질이 없다. 성질은 수학적으로 성립한다. 숫자가 1이면 성질이 없지만 숫자가 여럿이면 성질이 얻어진다. 소수가 대표적이다. 3이나 7은 인기있는 수다.


    나뉘지 않고 균형적이기 때문이다. 두 사람이나 네 사람이면 갈라질 수 있지만 3은 삼총사처럼 의지가 된다. 하나는 성질을 갖지 않지만 여럿이면 성질을 가진다. 하나이면 성질이 없고 여럿이면 흩어지므로 여럿이 하나처럼 행세하는 데서 답을 찾을 수 있다. 에너지다.


    에너지는 개체가 아니다. 여럿이다. 여럿이지만 일정한 조건에서 하나처럼 행세하는데 그것은 에너지의 방향전환이다. 모든 성질은 에너지의 방향전환에 필요한 조건을 충족시키는 데서 얻어졌다. 어떤 1은 방향전환이 불가능하다. 2도 마찬가지다. 3도 4도 불가능하다.


    반드시 5라야 한다. 그 조건에서만 방향전환이 가능하다. 여기서 실마리가 잡힌다. 3은 나뉘지 않지만 4는 나눠진다. 고스톱을 칠 때는 최소 세 사람이 해야 전략을 짤 수 있다. 숫자는 분명히 성질을 가진다. 에너지는 집합이므로 성질을 가진다. 단, 마이너스라야 한다.


    플러스는 어떤 성질을 부여하는 즉시 그것을 상쇄시키는 다른 우회로가 생겨나므로 안 된다. 다른 우회로의 개설을 차단하려면 계를 정하고 마이너스시켜야 한다. 그 방법으로 우리가 얻으려는 물질의 성질에 도달할 수 있다. 그것이 구조론이다. 그룹을 만들고 방향전환 한다.


    그 안에 모든 것이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92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892
6173 인간의 권력의지 김동렬 2021-03-17 2660
6172 방향전환 1 김동렬 2020-02-24 2662
6171 개인주의 시대의 세대전쟁 3 김동렬 2022-06-27 2663
6170 원인 중심의 사유 2 김동렬 2023-04-16 2663
6169 속임수를 간파하는 기술 김동렬 2023-08-10 2663
» 구조론의 출발점 김동렬 2020-04-23 2665
6167 우주가 5인 이유 1 김동렬 2020-04-25 2668
6166 마크 저커버그 승 일론 머스크 패 김동렬 2023-07-13 2670
6165 쉬운 엔트로피 김동렬 2021-12-12 2671
6164 연역과 귀납 1 김동렬 2021-05-05 2672
6163 어주니랑 거니랑 김동렬 2022-06-01 2672
6162 미인계 하다가 망한 정의당 김동렬 2022-09-20 2672
6161 LG야구의 몰락 이유 2 김동렬 2022-10-29 2673
6160 아인슈타인은 치매인가? 김동렬 2023-08-22 2673
6159 생태주의를 제압하라 김동렬 2022-03-23 2675
6158 힘의 매력 김동렬 2022-11-07 2676
6157 여혐과 혐한 김동렬 2022-10-10 2677
6156 돈키호테 윤석열 1 김동렬 2022-06-29 2680
6155 생각의 단서 김동렬 2022-11-15 2682
6154 이승만 김구 김일성 박헌영 김동렬 2023-09-01 26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