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686 vote 0 2019.01.31 (11:17:18)

33de0ce40d0aae98ef994f6312f16d7d.gif


계를 만들면 살고 대칭을 만들면 죽는다.

자전거를 연습하든 수영을 연습하든 비행기를 날리든 원리는 같다.


밧줄과 드럼통의 2가 대칭되면 죽고 둘이 하나의 계를 이루면 통제할 수 있다.

대칭되면 상대성이 작동하여 힘이 반대쪽으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수영을 배우든 자전거를 배우든 비행기를 날리든 항상 이 문제에 부딪힌다.

웨이터가 쟁반을 날라도 마찬가지인데 약간 흔들면서 리듬을 타야 흔들리지 않는다.


오히려 수평을 잘 맞추면 쟁반과 와인잔 사이에서 대칭이 작동하여 망한다.

움직이면 1이 되어 계를 이루지만 수평을 맞추려면 오히려 움직여져서 계가 깨진다.


축을 이루는 대칭의 접점이 밖에 있느냐 안에 있느냐인데 밖이면 죽고 안이면 산다.

하지 말라는 자기소개, 이분법, 흑백논리, 이원론 모두 같은 것이다.


동물이라면 본능적으로 균형을 잡을 줄 알기 때문에 빠지지 않는다.

처음부터 답을 알고 가야 하는 것이며 애초부터 나는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밧줄을 잡지 말아야 하는데 그러나 혹시나 빠지면 망하기 때문에 그러지 못한다.

이러한 딜렘마를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인간은 깨달음을 얻지 않으면 안 된다.


1) 밧줄을 잡으면 - 에너지 중심이 둘로 쪼개져서 반대쪽으로 움직이므로 통제불가로 망한다.

2) 밧줄을 잡지 않으면 - 에너지 중심이 통합되어 통제에 성공하지만 만의 하나 삐끗하면 옷 버리고 망한다.


정답은 - 물에 빠질 각오를 하고 밧줄을 잡지 않아야 하는 것이며

그러므로 시행착오와 오류시정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성공할 수는 절대로 없으며 


진보가 좌절하는 이유는 무오류주의 망상에 빠져 시행착오를 거치지 않으려고 하기 때문이다.

진보는 옳고 옳으므로 다 된다는 망상을 버리고 진보는 당연히 실험이고 


실험은 원래 10개 시도해서 한 개 먹는다는 관점을 얻어야 한다.

진보의 정책이 다 옳은게 아니고 도전자의 관점에서 이것저것 시도해보는 거다.


방향이 옳으면 확률을 믿고 가는 것이며 부분적으로 틀릴 수 있지만 

계속 확률을 높여가다 보면 언젠가 정상에 도달하는 것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챠우

2019.01.31 (19:27:33)

1즉생, 2즉사.
살려고 하면 살 수 없고, 죽으려고 하면 죽고, 통찰하면 통찰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2.01 (03:52:35)

"방향이 옳으면 확률을 믿고 가는 것이며 부분적으로 틀릴 수 있지만 계속 확률을 높여가다 보면 언젠가 정상에 도달하는 것이다."

http://gujoron.com/xe/1058798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수원나그네

2019.02.01 (11:41:28)

"진보가 좌절하는 이유는 무오류주의 망상에 빠져 시행착오를 거치지 않으려고 하기 때문이다."

내부 권력투쟁에서 누가 더 잘하느냐로 싸우는 게 아니라 누가 결점이 없는가로 전개되다보니 체질화되어서 그런가 아닌가 싶군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825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99
6080 목줄에 묶인 개 김동렬 2022-03-06 2703
6079 구조의 눈 1 김동렬 2019-11-07 2705
6078 본질과 현상 김동렬 2022-02-25 2705
6077 윤석열의 운명 김동렬 2022-05-03 2705
6076 구조는 에너지의 구조다. 1 김동렬 2019-11-06 2708
6075 완전한 진리 1 김동렬 2021-09-21 2708
6074 구조론이 5로 설명되는 이유 1 김동렬 2020-08-14 2709
6073 통제가능성으로 사유하기 1 김동렬 2019-11-13 2710
6072 차원의 전개 1 김동렬 2020-03-27 2712
6071 자유는 에너지의 방향성이다 1 김동렬 2021-01-13 2713
6070 구조론의 개념들 1 김동렬 2020-07-25 2715
6069 바문회동에 유탄 맞은 기시다 김동렬 2022-05-04 2715
6068 비겁한 지식인들 1 김동렬 2020-08-17 2717
6067 신유물론 김동렬 2022-10-25 2717
6066 차원의 해석 image 1 김동렬 2020-04-02 2718
6065 벤투축구의 승산 1 김동렬 2022-12-04 2718
6064 경상도, 전한길, 혐오정치 김동렬 2023-09-07 2719
6063 과학 하기 싫다? 김동렬 2022-01-05 2721
6062 왜 진화론이 문제인가? 김동렬 2020-11-24 2722
6061 개념미술은 사기다 김동렬 2022-10-04 2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