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2273 vote 0 2016.12.05 (11:01:53)

    깨달음은 

    ‘눈에 보여지는 것’을 넘어
    배후에서 ‘작용하는 것’을 보는 역설이며
    다시 그 역설을 넘어
    배후의 배후라 할 ‘에너지의 방향성’을 보는 이중의 역설이며
    그 에너지와 그 에너지에 의해 작용하는 존재와
    그 존재에 반응하여 인간의 신체감관에 인식되는 사실 사이의
    메커니즘을 보는 것이며 그 메커니즘이 일하는 즉
    의사결정관계를 보는 것이다.
    사건을 보는 눈을 얻어 그 사건을 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무질서에서 질서를 유도할 수 있고 그 질서를 통해 이익을 얻어낼 수 있다.


    1) 에너지.. 사건의 바운더리를 결정하니 계를 이룬다.
    2) 물질.. 사건의 시작점을 결정하니 축과 대칭의 구조를 이룬다.
    3) 공간.. 사건의 공간적 진행방향을 결정하니 대칭을 작동시킨다.
    4) 시간.. 사건의 시간적 진행순서를 결정하니 변화로 나타난다.
    5) 정보.. 사건에 따른 감각반응이니 뇌에 기록되는 데이터다.



555.jpg


    세상은 뭐든 나빠집니다. 마이너스입니다. 그렇게 빠져나간 만큼 반대편 어딘가에 더해지는 것이 있어야 합니다. 그 빠져나간 부스러기들을 한 곳으로 모을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53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476
4355 양자의 관점에서 보는 우주 image 김동렬 2013-10-03 12332
4354 권력이 에너지다 image 김동렬 2017-07-22 12326
4353 이신론과 구조론 image 7 김동렬 2018-02-07 12325
4352 중요한건 구조론의 관점 김동렬 2011-05-26 12325
4351 성철과 숭산 image 1 김동렬 2012-11-13 12320
4350 그림으로 보기 image 1 김동렬 2010-10-06 12319
4349 단상 - 징병제가 낫다 김동렬 2006-12-26 12319
4348 구조론은 비경쟁이다. 4 김동렬 2011-03-21 12306
4347 완전체의 이미지 image 김동렬 2012-11-01 12296
4346 인력중심적 사고를 버려라. image 3 김동렬 2017-01-12 12295
4345 구조론적 사고방식 3 김동렬 2009-04-14 12294
4344 개혁 국민정당에서 김동렬 2002-10-14 12290
4343 6월 7일 구조론 강의 5 김동렬 2009-06-05 12287
4342 달마실 이야기 김동렬 2006-06-13 12283
4341 굿데이가 된 오마이뉴스 김동렬 2005-03-31 12277
» 깨달음의 눈 image 김동렬 2016-12-05 12273
4339 왜 신을 이해해야 하는가? image 4 김동렬 2018-02-09 12273
4338 가치지향의 세계관 김동렬 2007-02-15 12271
4337 에너지는 이야기다 image 1 김동렬 2017-11-10 12266
4336 새로운 문명은 우리가 주도한다 김동렬 2005-11-28 12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