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388 vote 0 2018.12.07 (14:35:14)

      
    주관과 객관


    둘이면 상대성이 성립하고 셋이면 절대성이 성립한다. 무인도에 두 사람이 있다면 거기에 선악은 없다. 하나가 다른 하나를 죽여도 옳다 그르다는 판단은 불성립이다. 그러나 셋이면 달라진다. 하나가 다른 하나를 죽이려고 하면 세 번째 사람의 대응이 문제로 된다. 여기서 선악이 판정된다.


    그림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예술은 객관적 판정이 불가능한 주관적 세계라고 흔히들 말하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 바둑을 두어도 그렇다. 아무 데나 두어도 된다. 그러나 정석대로 두지 않으면 진다. 거기에 두어도 되지만 거기에 둘 수는 없다. 그림은 관객이 주관적으로 판단한다? 아니다.


    그림을 중개하는 화랑과 평론가들이 객관적으로 판단한다. 큐레이터도 밥 먹고 살아야 한다. 생산자인 화가가 있고 그림을 사는 소비자와 관객이 있고 중개하는 화랑과 미술 평론가와 박물관 큐레이터가 있다. 화가와 소비자 둘뿐이라면 상대성의 세계이므로 주관적인 판단이 성립한다.


    그러나 절대 둘이 아니다. 순진하지 말자. 이 바닥이 전쟁터다. 셋 이상이면 방향성이 성립하고 절대성의 세계로 도약한다. 그림을 중개하는 화상들과 평론가들과 큐레이터들은 누구의 작품을 죽이고 누구의 작품을 살릴지 모의하고 결정한다. 시장의 트렌드를 만들어낸다. 주식투자와 같다.


    아무 주식이나 사도 되지만 아무 주식이나 사면 당연히 망한다. 객관적으로 그렇고 확률적으로 그렇다. 운이 좋으면 눈감고 사도 대박이 나지만 그 경우 확률적으로 망한다. 바둑을 두어도 그렇다. 운이 좋으면 아무 데나 두어도 이기지만 이세돌 앞에서 운을 기대하면 당연히 망하는 것이다.


    관객의 주관적 판단에 맡기면 이발소 그림만 흥하고 미술은 총체적으로 망한다. 뽕짝만 흥하고 음악시장은 무너진다. 관객이 좋은 그림이라고 판단하는 그림은 중국 그림공장 전문가들이 붙으면 포드시스템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다. 중국 그림공장은 1만 원짜리 모나리자를 대량생산한다.


    미술시장은 바로 붕괴된다. 그림이나 예술이 관객의 주관에 달렸다고 믿는 사람은 시장에 대한 개념이 없는 사람이다. 그런 수준으로 이 험난한 세상을 어떻게 살아갈 수 있겠는가? 이 바닥이 전쟁터라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치열한 피아의 상호작용이 커다란 방향성을 만들어내는 거다.


    물론 주관에 달린 부분도 있기는 하다. 그것은 시장이 덜 발달되었다는 증거에 불과하다. 조선시대 화가 최칠칠은 자기 그림을 알아주는 사람에게는 오히려 싸게 팔고 그림을 모르는 밥통들에게는 비싸게 팔았다고 한다. 시장이 약하고 평론가의 활약이 없다 보니 그런 일이 일어난 것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8.12.08 (03:18:36)

"치열한 피아의 상호작용이 커다란 방향성을 만들어내는 거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257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1775
4326 신은 누구인가? image 1 김동렬 2018-02-08 12230
4325 깨달음의 눈 image 김동렬 2016-12-05 12227
4324 새로운 문명은 우리가 주도한다 김동렬 2005-11-28 12226
4323 노짱방 다른생각님의 글에 대해 김동렬 2005-12-18 12212
4322 구조주의 역사 김동렬 2008-06-25 12205
4321 김한길 뻘짓 김동렬 2006-04-18 12204
4320 이번에도 서프가 이겼다 김동렬 2006-01-16 12204
4319 시간의 전개에서 공간의 충돌로 image 6 김동렬 2012-01-09 12199
4318 김인 9단의 일침 김동렬 2006-09-25 12198
4317 우리당 위기 인식해야 한다 image 김동렬 2004-05-04 12197
4316 만남 사랑 결혼 image 10 김동렬 2011-11-07 12195
4315 "인간이 대세다" 김동렬 2005-12-21 12193
4314 구조론 학교 image 김동렬 2009-01-08 12187
4313 구조론 총론 김동렬 2008-02-13 12187
4312 왜 이 시대에 공자인가? image 2 김동렬 2016-12-20 12174
4311 말을 배우자 image 김동렬 2018-01-25 12173
4310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 image 7 김동렬 2011-11-10 12172
4309 "이명박-약하다 약해" 김동렬 2007-05-02 12171
4308 엔트로피를 파훼하라. image 김동렬 2017-12-30 12170
4307 만남으로 통제되어야 한다. image 2 김동렬 2017-10-30 12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