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챠우
read 1604 vote 0 2019.11.14 (16:33:23)

https://youtu.be/oAlmpXS9wPw

기생충은 번식을 더 잘하고자 숙주를 이용한다?
보통 이렇게 설명하는데, 기생충 아이큐가 200 이상인 것도 아닌데, 이렇게 큰 그림을 그릴 리 없다고 의심해야죠.

관점은 곧 관측 범위의 문제입니다. 기생충 한 마리를 보고 그 의도를 파악하려고 하니 기생충 유전자 풀이 안 보이고, 그 위의 생물 유전자 풀이 안 보이고, 그위의 그 위의 생태계가 안 보이고, 우주가 보이질 않는 거죠.

기생충이 다른 생물을 이용하는 건 기생충이 머리가 좋아서 그런게 아니라 유전자 풀에서 발생한 수많은 확률 조합 중 대부분이 사라지고 일부가 전해지고 있는 것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그래야 말이 맞죠. 주어를 기생충 개체가 아닌 생태계로 두고 말을 만들어야 이치에 맞다는 말입니다.


우리가 흔히 관찰하는 "복잡해보이는 사건"은 그걸 누군가가 복잡하게 생각한 것이 아니라, 수많은 계가 역사적으로 축적된 결과라고 생각해야 합니다. 인간의 배아 발생과정이 마치 진화과정처럼 보이는 것도 이유가 있는 거죠. 


http://www.str.or.kr/main/sub.html?Mode=view&boardID=www18&num=384&page=5&keyfield=&key=&bCate=


"태아의 발생과 관련된 주장과 반론을 보면 발생의 모습이 진화를 증거한다는 주장에 많은 잘못과 무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어류를 진화시켜 양서류, 파충류, 조류가 생기게 하여, 그 발생과정을 실험적으로 관측하거나 그 유사성이 실험적으로 증명된 바가 없다. 따라서 배아발생이 척추동물의 진화를 증거한다는 주장은 과학적 사실이 아니다."


발생 과정 자체를 진화의 증거로 삼으려는 건 무리수고, 오히려 왜 실험실에서 진화를 재현할 수 없는지를 생각해봐야 합니다. 실험실에서 진화를 재현할 수 없는 이유는 과학자들이 개체를 가져다가 진화를 시키려고 했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진화는 과학자들이 생각하듯이 무한 가능성을 가지고 일어나는 게 아니라, 환경에 대하여 가능한 방향으로만 가능한데, 어느 한 쪽으로만 바라보고 진화를 재현하려고 하니, 짝이 맞질 않아서 불가능 한 것이 아닐까 하는게 제 생각.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11.15 (04:00:01)

실험실에서 자연만큼의 다양한 개체들과 환경조건들 그리고 매우 많은 경우의 수(시간)를 동원할 수 있다면 진화가 일어나겠지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19.11.15 (07:40:29)

감사히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9517
1639 '과학하고 앉아있네'와 라그랑주 역학 3 이금재. 2020-06-29 2279
1638 김기식 낙마 유감 수원나그네 2018-04-18 2280
1637 윤석열이 대통령이 된 것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이상우 2022-03-21 2282
1636 <이 달의 가짜뉴스·나쁜뉴스> 공모 image 11 수원나그네 2021-02-04 2283
1635 초등학교 6학년 여학생들 사이의 다툼 2 이상우 2020-11-18 2301
1634 중국을 통제할 수 있는 유일한 나라 1 ahmoo 2020-11-11 2304
1633 진화의 비밀 image 김동렬 2018-07-25 2309
1632 구조론 번역 게시판 올린 번역물에 대한 의견을 기다립니다. 3 오리 2022-01-28 2314
1631 이 분 구조론과 상당히 유사한 주장을 하는 것 같네요 1 다음 2020-11-23 2315
1630 2021-12-30 목요일 구조론 송년 온라인 모임 2 오리 2021-12-29 2315
1629 한국이 브라질을 작살내는 법 chow 2022-12-04 2321
1628 [제민] 소유의 비극을 넘어 1 ahmoo 2018-04-24 2331
1627 땅값 집값 문제 1 - 디카프리오의 선택 image 수원나그네 2018-01-11 2337
1626 영문번역 해주실 분을 찾습니다. 3 수원나그네 2019-06-03 2338
1625 말 안 듣는 시바견 길들이기 이금재. 2020-10-14 2340
1624 전체와 부분 사이 systema 2019-02-03 2349
1623 변이의 그나마 적절한 설명 1 chow 2023-02-01 2357
1622 주최자의 관점 image SimplyRed 2023-02-10 2358
1621 영남일보 살아있네. 김동렬 2018-03-19 2365
1620 구조론으로 익힌것 2 존재-확율 눈마 2017-01-06 2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