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5]다음
read 2552 vote 0 2021.10.14 (07:15:36)

단어를 어떻게 정의하는 것이 옳은가? 효율적으로 정의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할 수 있다. 무엇이 효율적인가? 길이가 짧은 정의가 효율적인가? 상황에 따라 다르다. 효율성은 체계에 따라 달라지는 상대적인 개념이다.


그러나 '정의의 낙차'는 절대적인 개념이다. 예컨대 1을 정의한다고 하자.

'2 - 1'로 정의할 수도 있고 '가장 작은 자연수'로 정의할 수도 있다.

후자가 더 낙차가 크다. 후자가 더 큰 개념에서 작은 개념을 가르켰기 때문이다.

만약 1을 '수 체계에서 가장 먼저 배우는 수'라고 하면 이전의 그것보다 더 큰 개념인 '체계'를 언급했으니 낙차가 더더욱 크다.


필자는 정의의 효율성에 대해서 고민하다가 효율성이라는 개념이 상당히 복잡하다는 것을 알았다. 사용할 때의 효율성인지 정의할 때의 효율성인지 부터... 해서 무한한 수렁에 빠진다. 그런데 '정의의 낙차' 개념은 직관적이고 간단하여... 이렇게 글로 옮긴다.


[레벨:15]다음

2021.10.14 (07:53:26)

이 사이트에서 어떤 시를 본 적이 있다. 꽃 한송이가 피기 위하여 온 지구가 꽃 한송이를 품었다는 시다. 이는 각기 다른 두 개의 낙차로 '꽃 한송이'를 정의한 것이다. 이는 최근 글에 언급된 '담론'에 해당된다. 인간이 알고 있는 가장 작은 낙차는 그것을 단지 원자의 배열로 정의하는 것이고 가장 큰 낙차는 그것이 온 우주과 연관되어 있다고 보는 시적인 정의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1.10.14 (08:28:31)

정의를 하려면 먼저 언어를 규명해야 하고

언어는 사건을 반영하므로 그 전에 사건을 규명해야 하고

언어는 의미를 연결하므로 의미를 규명해야 하는데

언어가 뭔지, 사건이 뭔지, 의미가 뭔지 모르면서 정의한다는것은 어불성설

정의는 수학이나 컴퓨터 프로그램 작업에 필요하겠지만 

대부분 정의를 못하고 그냥 납득하는 수준에서 끝나버립니다.

모두가 동의하는 한 개의 의미를 찾아내야 하는데 현실은 여러 의미로 사용함.

여러 의미는 파생된 것이고 한 개의 근거가 있다는 사실을 아는게 중요합니다. 

언어는 사건 속에서 성립하므로 사건을 이해하는게 중요하고

수학적 정의는 가만 놔둬도 수학자들이 알아서 잘 합니다.

그렇게 정의하지 않으면 계산이 안 되고 컴퓨터가 뻗어버리는 수가 있는데

컴퓨터가 뻗으면 정의가 잘못된 것이고 계산이 잘 되면 정의가 잘 된 것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600
1915 구조론 번역 게시판 올린 번역물에 대한 의견을 기다립니다. 3 오리 2022-01-28 2231
1914 푹신한 거 찾지마라. image chowchow 2022-01-20 3237
1913 목요 격주 공적모임 공지 image 2 김동렬 2022-01-19 2383
1912 재벌에 붙잡힌 남한 dksnow 2022-01-15 2762
1911 NFT는 무엇인가 1 chowchow 2022-01-14 2892
1910 자이로볼의 원리 image chowchow 2022-01-13 5483
1909 적신호 우회전? chowchow 2022-01-13 2159
1908 코로나 2년 남짓 후 dksnow 2022-01-07 2099
1907 유럽순례 소식은 이곳에 연재합니다~ 수원나그네 2022-01-01 2032
1906 2021-12-30 목요일 구조론 송년 온라인 모임 2 오리 2021-12-29 2226
1905 형식의 의미 chowchow 2021-12-29 1889
1904 유럽 순례를 재개합니다~ image 3 수원나그네 2021-12-29 2184
1903 종로에서 뺨맞고 1 chowchow 2021-12-28 2171
1902 구조론 사이트 접속 방식 변경 http -> https 4 오리 2021-12-28 2036
1901 멍청한 설명 4 chowchow 2021-12-27 2362
1900 수학적 직관주의에 대하여 1 오민규 2021-12-18 2793
1899 미적분과 통계 그리고 에너지 이금재. 2021-12-14 2491
1898 현대 수학의 실패 (미적분과 확률) 이금재. 2021-12-10 2666
1897 가속팽창과 시공간 우선순위 문제 1 바람21 2021-12-03 2415
1896 대칭중첩 1 바람21 2021-12-03 2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