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는 벌어질 수 있는 일이 벌어지는 일련의 연속적인 사건이며, 시장참여자들은 각자 선제대응할 수 있는 역량의 경쟁력에 따라 사건의 머리측과 꼬리측을 담당하게 됩니다.
기사의 제목대로 국제유가가 초급등하니 원료비용 증가에 따른 생산력 감소를 막기위해, 미국이 이자율을 충분히 내리는 맞대응을 할 것이란 일차원적 초짜분석은 미국이 만능적인 주도권을 지녔다고 여겨진다는 자기소개에 불과하죠.
실제로는 미국 역시도 완화적 통화정책이라는 통제권을 행사할 땐 물가상승 압력이라는 비용을 청구 받습니다. 이것이 비용인 이유는 집단이 또다른 경기적 악재에 직면했을 시 쓸수 있는 카드의 여력을 현재 소모하는 것은 사실이기 때문입니다. 기름값 상승이 이미 인플레를 거드는 상황인데 말이죠.
자칫 쓸 카드가 떨어져서 계획을 벗어나는 수준의 인플레를 용인하게 되면 장기적으로 시장 구성원들이 보유한 실질적인 총 구매력 하락이 야기되므로 심사숙고 해야할 사안입니다. 이를 반증하듯이 오히려 최근 스마트머니들은 요번 통화정책 발표를 앞두고서 기준금리 인하 기대치의 축소를 금리선물 시장에 반영시켜 왔지요.
물론 여기엔 미중 무역협상 훈풍에 따른 경기적 기대감도 크게 반영되었겠습니다만요. 아무튼 금융시스템의 주최측은 경기부양보다는 물가관리를 최우선적으로 여깁니다. 먼저 경제에 필요한 동력을 민간 산업규모의 확장이라는 외력으로부터 조달받는 것이 정상적인 전략이며, 불가피할 땐 재정 및 통화정책을 통해 내부를 쥐어짜는 거죠.
조금 다른 이야기입니다.
학교 다닐때 태백산백인가 아리랑인가에 지주의 일을 대신 보는 "마름"의 문제가 나옵니다.
마름은 지주의 토지를 소작인한테 분배하여 농사를 짓게 하는 데
마름의 농간으로 소작지 분배를 자기의 마음에 맞거나 친인척 위주로 돌아가고
또 마름의 중간착취로 소작농이 어려움에 처하는 것이 나옵니다.
예산을 시, 군, 구 내려보내면 중간에 마름의 농간이 있는지 봐야 합니다.
시골은 거의 노인들이라 공공근로 배정을 동네 이장이 하는 것 같은데
이것이 이장의 친인척위주로만 같은 분만 해마다 계속 하게 되면서
시골에 불만이 쌓이고 있습니다.
공공근로 배정을 군청에서 한다고 하는 데
같은 분만 해마다 공공근로를 하는 지 확인하고
시골주민이 골고루 돌아가게 해야 합니다.
작년 추석부터 듣는 이야기 입니다.
왜냐하면 이장이 해마다 친인적 위주로만 공공근로를 배정하면서
소외 된 분들이 이장을 욕하는 게 아니라 대통령을 험담하는 경우를 자주 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