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158 vote 0 2024.06.04 (13:51:12)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데카르트의 유명한 코기토 논증이다. 안타깝게도 이 말의 의미를 아는 사람이 인류 중에 없다. 무언가를 느낀 사람은 있다. 그것은 직관이다. 직관과 논리 사이에 연결고리가 빠져 있다. 어색하다. 뇌가 가렵다. 사유가 격발된다.


    왜 이 말이 유명해졌을까? 내가 느낀 것을 당신도 느꼈기 때문이다. 과학은 의심에서 시작된다고 한다. 틀렸다. 과학은 직관의 산물이다. 무언가를 느낀 사람이 그것이 무엇인지 자기 자신에게 질문하는 것이 의심이다. 의심은 추론인데 직관이 추론에 앞선다.


    의심은 거짓을 찾는다. 직관은 참을 찾는다. 무언가를 느꼈으면 그것을 언어로 표현해야 한다. 표현법을 찾는 것이다. 그런데 찾지 못한다. 생각하는 것은 주체다. 의심되는 것은 객체다. 존재는 객체다. 객체는 나와 분리된다. 주체와 단절되어 맞은편에 있다.


    생각하는 내가 주체이면 존재하는 나는 객체다. 내가 생각할 때 동시에 존재하는 것은 주체 속의 객체다. 객체는 나의 밖에 있지만 몸뚱이 밖이 아니라 자아의 밖이다. 생각하는 존재는 자아 안에 있다. 내 속에 내가 있다. 주체 나 속에서 객체 내가 복제된다.


    뒤따르는 것은 선행하는 것을 의심할 수 없다. 진술은 전제를 의심할 수 없다. 아기는 엄마를 의심할 수 없다. 엄마는 자궁 속의 아기를 의심할 수 없다. 활 속의 화살을 의심할 수 없다. 총 속의 총알은 의심할 수 없다. 증명한다는 것은 곧 복제한다는 것이다.


    지식의 출발점은 복제다. 우주는 복제된 존재이므로 우리는 추론하여 진리를 파악할 수 있다. 코기토 논증은 하나의 액션이 주체와 객체로 복제될 때 증명된다는 것이다. 엄마의 출산에 의해 복제된 아기의 존재는 증명된다. 이러한 본질을 아는 사람은 없었다.


    ###

    액션이 먼저다. 주체가 먼저고 객체는 그다음이다. 여기에 층위가 있다. 차원이 있다. 매개가 있다. 메타가 있다. 선행하는 것이 있다. 주체와 객체를 연결하는 에너지가 있다. 실존이 먼저고 존재는 그다음이다. 생각하는 것은 실존이고 존재는 관측된 것이다.


    주체 - 주는 사람, 원형, 결정, 능동, 전략, 유체, 권력, 문제, 민주, 사건, 동動, 에너지, 마이너스


    객체 - 받는 사람, 원자, 전달, 수동, 전술, 강체, 신분, 답안, 독재, 사물, 정靜, 물질, 플러스


    객체 중심적 사고를 버리고 주체 중심적 사고로 갈아타야 한다. 에너지가 있는 쪽이 주체다. 주지 않으면 받을 수 없다. 주는 사람이 결정하고 받는 사람은 전달만 한다. 원형은 액션을 취하고 원자는 관측된다. 에너지를 태운 원형론적 사고로 갈아타야 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chow

2024.06.04 (14:38:51)

내가 그것을 생각한다는 것을 생각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81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647
6892 구조론 동영상 1 김동렬 2010-03-22 197146
6891 LK99 과학 사기단 image 김동렬 2023-08-07 71669
6890 진보와 보수 2 김동렬 2013-07-18 58766
6889 진화에서 진보로 3 김동렬 2013-12-03 58659
6888 '돈오'와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3-01-17 56618
6887 소통의 이유 image 4 김동렬 2012-01-19 56032
6886 신은 쿨한 스타일이다 image 13 김동렬 2013-08-15 55588
6885 관계를 창의하라 image 1 김동렬 2012-10-29 49225
6884 답 - 이태리가구와 북유럽가구 image 8 김동렬 2013-01-04 46093
6883 독자 제위께 - 사람이 다르다. image 17 김동렬 2012-03-28 45317
6882 청포도가 길쭉한 이유 image 3 김동렬 2012-02-21 42760
6881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image 3 김동렬 2012-11-27 42618
6880 구조론교과서를 펴내며 image 3 김동렬 2017-01-08 42481
6879 아줌마패션의 문제 image 12 김동렬 2009-06-10 42359
6878 포지션의 겹침 image 김동렬 2011-07-08 41800
6877 정의와 평등 image 김동렬 2013-08-22 41404
6876 비대칭의 제어 김동렬 2013-07-17 39439
6875 구조론의 이해 image 6 김동렬 2012-05-03 39428
6874 비판적 긍정주의 image 6 김동렬 2013-05-16 38552
6873 세상은 철학과 비철학의 투쟁이다. 7 김동렬 2014-03-18 38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