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968 vote 0 2023.01.30 (19:34:56)


    황당한게 자연발생설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발생'이라는 개념이다. 그런데 발생이 뭐지? 미생물에 의해 생물이 번식한다면 쉽다. 발생이 뭐냐고? 그건 미생물에게 물어봐. 문제를 떠넘기면 된다. 그런데 자연발생설로 가면 발생론이라는 새로운 과학과 철학이 태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한다는 거야? 발생의 메커니즘이 뭐야? 이거 대박이다. 창조설 찜쪄먹고 진화론 압도하는 새로운 학문으로 발생학이 등장해 주시는 거다. 그런데 왜 아무도 자연발생설을 뒷받침하는 발생론을 논하지 않는가?


    언어가 과학에 앞선다는 말은 이런 의미다. 얼버무리기 없다. 인간들이 말을 애매하게 한다. AI 하는 사람들이 창발이라는 단어를 쓴다. 그런데 창발이 뭐지? 뜻을 알고 쓰는 사람은 없다. 비겁한 짓이다. 이런 것을 끝까지 물고 늘어져야 한다. 말을 똑바로 하라는 공자의 정명사상에서 배워야 한다.


    어떤 사람이 혼자 길을 간다면 지구와 대칭이다. 두 사람이 함께 간다면 옆사람과 대칭이다. 대칭이라는 본질은 변하지 않지만 대칭이 자리를 바꿨다. 창발은 자리바꿈이다. 무에서 유가 출현한 것이 아니라 숨어 있던 것이 드러난 것이다. 궁극적으로 우주 안의 모든 변화는 자리바꿈이고 방향전환이다.


    변화는 계를 중심으로 일어난다. 계 내부에 밸런스가 있다. 그것은 갑자기 개입한다. 사람들은 깜짝 놀라서 창발이라는 말을 한다. 창발은 계의 존재를 깨닫지 못하다가 뒤늦게 알아채는 것이다. 자연의 모든 변화는 밸런스의 재조립이다. 창발은 기존에 없던 다른 형태의 밸런스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것은 생겨난 것이 아니라 복제된 것이다. 닫힌계 안에서 밸런스의 격발에 의해 존재는 기능을 획득한다.


    격발 이전에 전달이 있다. 발생론을 쓰려면 먼저 전달론을 써야 한다. 전달은 대칭을 따라간다. 첫 번째 도미노의 쓰러짐이 발생이라면 두 번째 도미노의 쓰러짐은 발생한 기능의 전달이다. 도미노가 둘이면 전달과 발생이 구분된다. 창발은 전달과 발생의 구분이다. 불을 켜는 것이 발생이면 불이 옮겨붙는 것은 전달이다. 인류의 대부분의 착오가 발생과 전달을 헷갈린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472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4402
6230 서프 논객들이 증발한 이유 김동렬 2007-09-20 16045
6229 민주당은 식객정당에서 논객정당으로 확 바꾸라! 김동렬 2002-12-24 16044
6228 훗 ^^ 덜덜이 2002-12-18 16039
6227 정씨와 김씨는 누군가? 과자 2002-11-30 16037
6226 알면 보인다 2 김동렬 2010-02-24 16036
6225 석유전쟁 김동렬 2003-03-31 16036
6224 Re..51번 버스 주차장이 본가에서 500미터에 있는데 아다리 2002-11-01 16035
6223 자람의 성공과 이현세의 실패 image 김동렬 2009-01-14 16035
6222 권정생, 이오덕, 김용택의 진정성? 김동렬 2008-09-05 16021
6221 터놓고 이야기하는 조선일보 잡도리 image 김동렬 2003-07-26 16015
6220 왜 지금 전여옥이 문제인가? 김동렬 2007-09-17 16012
6219 새 구조론이란 무엇인가? 4 김동렬 2010-05-19 16008
6218 하고싶은 욕은 산더미 같지만, 탱글 2002-12-19 16006
6217 Re.. 굿 아이디어 김동렬 2002-11-22 16006
6216 정확하지만 제대로 읽을 줄을 알아야 합니다. skynomad 2002-10-18 16005
6215 여론흐름 펌 깜씨 2002-12-04 16004
6214 진승의 실패 김동렬 2010-09-20 16003
6213 깨달음의 룰 김동렬 2006-08-09 15993
6212 추미애총리 정동영대표 체제는 어떠한지요? 김동렬 2003-01-08 15992
6211 미학은 과학이다 image 김동렬 2008-12-18 15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