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아동학대의 기준을 논할 때
교사는 아슬아슬하고 억울할 때도 있고,
부모에게는 관대하고 심하지 않으면 넘어간다.
아동학대는 있어서는 안되는 일이지만, 잣대 또한 일관될 필요는 있다.

집에서는 학대당하니 애가 학교에서 강하게 하지 않으면 말을 듣지 않는 경우도 흔하다. 이 부분을 풀지 않고 교사에게만 책임을 물으면 교육은 간데없고 가르치는 시늉만 하거나 학생의 잘못된 행동도 교사가 모른 척 할 가능성이 높다.

애가 뭔 죄인가? 결국 부모의 학대예방에 손놓은 국가와 생활지도 스트레스가 높은 교사를 제대로 돕지 못한 교육부와 교육청, 관리장의 책임이 크다.

아이에게 책임을 물어서 답이 안나오듯, 교사와 부모 개인에게만 잘못을 물으면 답이 없다. 결국 교사와 개인이 자신들의 행동에 책임을 지지만 이미 그때는 늦었다.

https://news.v.daum.net/v/ksdwbcqQiO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1.09.23 (03:55:48)

네. 아동학대는 사회적 스트레스가 가장 약한 둑인 아이들에게서 터지는 현상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6659
1877 우리 몸의 6가지 미스터리 4 김동렬 2012-11-23 6054
1876 짜증나는 그림 image 김동렬 2015-08-03 6052
1875 전제를 의심하라. 4 김동렬 2013-12-11 6044
1874 이런 친구들과 일해볼수 있다면... 1 눈내리는 마을 2009-12-12 6037
1873 '괴벨스의 13대 어록' 비판 10 챠우 2015-01-06 6036
1872 여와복희도. 2 아제 2010-02-06 6019
1871 개념없는 인공지능 image 2 chow 2023-06-05 6018
1870 역사의 밀물을 불러들인다. 3 오세 2009-12-20 6009
1869 구조는 같다. image 20 김동렬 2014-04-03 5991
1868 우리말과 힌디어의 유사성 3 김동렬 2013-07-23 5988
1867 스타워즈가 망하는 이상한 나라 한국 8 김동렬 2015-12-21 5968
1866 구조론적 사유란 무엇인가? image 14 김동렬 2016-12-01 5952
1865 잘못 알려진 과학상식 image 김동렬 2014-03-04 5945
1864 정치는 박근혜처럼 해라. image 1 김동렬 2015-04-29 5938
1863 과학 속의 비과학 image 3 김동렬 2009-04-16 5938
1862 구조론적 개입 -양육- 3 오세 2010-07-12 5936
1861 TV의 발명 image 1 김동렬 2013-11-26 5929
1860 개 한 마리에 592억 image 2 김동렬 2014-06-30 5927
1859 야심만만한 설정 ░담 2010-04-28 5926
1858 나이들면 알게 되는 비밀 image 6 김동렬 2014-12-17 5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