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702 vote 0 2020.03.18 (21:16:00)

      
    사건의 마이너스 통제


    세상이 사건이고 사건이 의사결정의 집합이라면 실제로 의사결정이 일어나는 부분만 통제하면 되지 않겠는가? 그런데 결정은 이곳에서 일어나고 결과는 저쪽에 축적된다면 어찌 헷갈리지 않겠는가? 이것이 인간이 맞닥뜨리는 모든 문제의 진상이다. 


    저쪽에서 보고 이쪽에서 막아야 하는데 그러려면 이쪽과 저쪽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그 메커니즘을 파악해야 한다. 세상은 사건의 연결이며 사건은 일련의 의사결정으로 이루어진 에너지 회로다. 의사결정은 두 갈래 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형식이다. 


    그것은 자원을 잃어 먹는 마이너스다. 대칭된 둘 중의 하나를 선택하므로 다른 하나를 잃는 점에서 마이너스다. 그러한 의사결정을 통해 에너지가 외력의 작용에 대응하여 계 내부에서 방향을 틀어 내부의 모순을 처리하고 자기를 유지하는 것이 존재다.


    의사결정은 언제나 무언가를 잃는 형태로 일어난다. 지출 부분만 통제하면 수익은 저절로 계좌에 모인다. 계를 마이너스 한 방향으로 통제하면 우왕좌왕하며 동선이 엉킬 일이 없어 진행이 순조롭다. 둘이 엮인 메커니즘 안에서 마이너스를 판단하기다.


    원인과 결과, 머리와 꼬리, 입력과 출력, 전체와 부분, 시작과 종결이 이쪽과 저쪽의 대칭을 이룬다. 의사결정은 대칭으로 엮인 둘의 메커니즘 안에서 작동한다. 언제나 원인이 이쪽이고 저쪽이 결과다. 머리가 이쪽이고 입력이 이쪽이고 전체가 이쪽이다.


    이쪽에서 잃은 원인이 저쪽에 결과로 쌓인다. 머리에서 잃은 것이 꼬리에 쌓이고, 입력에서 잃은 것은 출력에 쌓이고, 전체에서 잃은 것은 부분에 쌓이고, 시작에서 잃은 것은 종결에 쌓인다. 이쪽저쪽의 메커니즘에서 에너지를 잃는 쪽을 통제해야 한다.


    사건은 전자제품의 회로기판이나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같다. 그것은 연속적인 갈림길들의 집합이다. 우리는 사냥꾼이 길목을 지키듯이 갈라지는 부분만 주시하고 있다가 상황이 발생하면 적절히 대응하면 된다. 원인에서 갈리고 결과에서 합쳐진다.


    원인의 발사에서 활과 화살이 갈라지고 결과의 명중에서 과녁에 화살이 합쳐진다. 갈라지는 쪽을 통제해야 한다. 합치는 쪽을 통제한다면 과녁을 옮겨 날아오는 화살에 맞추는 식의 거짓이다. 거짓말을 하는 자는 과녁을 옮겨놓고 명중이라고 주장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3.19 (13:47:37)

"의사결정은 언제나 무언가를 잃는 형태로 일어난다. 지출부분만 통제하면 수익은 저절로 계좌에 모인다."

http://gujoron.com/xe/1180659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775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724
6152 인류의 모든 사상 김동렬 2022-03-27 2685
6151 호남 가서 약자혐오 이준석 1 김동렬 2024-02-01 2686
6150 변화 질서 전략 김동렬 2020-12-01 2689
6149 아베의 죽음 1 김동렬 2022-07-09 2693
6148 모든 이론의 이론 김동렬 2023-05-14 2693
6147 지능은 권력이다 2 김동렬 2022-07-16 2694
6146 낳음 김동렬 2023-07-18 2694
6145 존재론의 태도 1 김동렬 2020-03-15 2696
6144 구조론 간단정리 image 김동렬 2020-12-22 2699
6143 한국은 희망이 없다 김동렬 2023-03-19 2699
6142 최악의 언론. 최악의 지식인 1 김동렬 2022-03-24 2701
6141 김훈 장미란 노사연 김종민 김동렬 2023-08-28 2701
» 사건의 통제 1 김동렬 2020-03-18 2702
6139 2등인류 중국 2 김동렬 2022-04-28 2703
6138 지능은 질문이다 1 김동렬 2022-07-17 2703
6137 젤렌스키와 푸틴 김동렬 2022-04-10 2708
6136 셀럽놀이 김건희 김동렬 2022-06-13 2708
6135 바람이 분다 김동렬 2023-08-22 2709
6134 구조론의 길 김동렬 2021-05-02 2711
6133 사색문제와 차원 김동렬 2020-12-09 2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