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2272 vote 0 2016.12.05 (11:01:53)

    깨달음은 

    ‘눈에 보여지는 것’을 넘어
    배후에서 ‘작용하는 것’을 보는 역설이며
    다시 그 역설을 넘어
    배후의 배후라 할 ‘에너지의 방향성’을 보는 이중의 역설이며
    그 에너지와 그 에너지에 의해 작용하는 존재와
    그 존재에 반응하여 인간의 신체감관에 인식되는 사실 사이의
    메커니즘을 보는 것이며 그 메커니즘이 일하는 즉
    의사결정관계를 보는 것이다.
    사건을 보는 눈을 얻어 그 사건을 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무질서에서 질서를 유도할 수 있고 그 질서를 통해 이익을 얻어낼 수 있다.


    1) 에너지.. 사건의 바운더리를 결정하니 계를 이룬다.
    2) 물질.. 사건의 시작점을 결정하니 축과 대칭의 구조를 이룬다.
    3) 공간.. 사건의 공간적 진행방향을 결정하니 대칭을 작동시킨다.
    4) 시간.. 사건의 시간적 진행순서를 결정하니 변화로 나타난다.
    5) 정보.. 사건에 따른 감각반응이니 뇌에 기록되는 데이터다.



555.jpg


    세상은 뭐든 나빠집니다. 마이너스입니다. 그렇게 빠져나간 만큼 반대편 어딘가에 더해지는 것이 있어야 합니다. 그 빠져나간 부스러기들을 한 곳으로 모을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97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943
4353 엔트로피를 이해하라. image 김동렬 2017-07-24 12327
4352 이신론과 구조론 image 7 김동렬 2018-02-07 12325
4351 중요한건 구조론의 관점 김동렬 2011-05-26 12325
4350 권력이 에너지다 image 김동렬 2017-07-22 12321
4349 성철과 숭산 image 1 김동렬 2012-11-13 12317
4348 그림으로 보기 image 1 김동렬 2010-10-06 12317
4347 단상 - 징병제가 낫다 김동렬 2006-12-26 12315
4346 구조론은 비경쟁이다. 4 김동렬 2011-03-21 12299
4345 구조론적 사고방식 3 김동렬 2009-04-14 12292
4344 완전체의 이미지 image 김동렬 2012-11-01 12291
4343 인력중심적 사고를 버려라. image 3 김동렬 2017-01-12 12289
4342 개혁 국민정당에서 김동렬 2002-10-14 12284
4341 달마실 이야기 김동렬 2006-06-13 12283
4340 6월 7일 구조론 강의 5 김동렬 2009-06-05 12282
4339 굿데이가 된 오마이뉴스 김동렬 2005-03-31 12276
» 깨달음의 눈 image 김동렬 2016-12-05 12272
4337 왜 신을 이해해야 하는가? image 4 김동렬 2018-02-09 12272
4336 가치지향의 세계관 김동렬 2007-02-15 12269
4335 에너지는 이야기다 image 1 김동렬 2017-11-10 12264
4334 새로운 문명은 우리가 주도한다 김동렬 2005-11-28 12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