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755 vote 0 2023.07.23 (21:13:45)


    사람이 쓰러졌다면 날아온 화살 때문인가, 아니면 그 화살을 날려보낸 활 때문인가, 혹은 그 활을 쏜 사람 때문인가? 우리는 원인을 찾으려고 하지만 원인의 원인이 있기 마련이다. 근인近因도 있고 원인遠因도 있다. 사람들은 여러 원인 중에 하나를 찾으면 더 이상 생각하지 않으려고 한다.


    - 집합이 원소를 쏜다.
    - 유체가 강체를 쏜다.


    원소가 아니라 집합이 진짜다. 강체가 아니라 유체가 진짜다. 활이 집합이라면 화살은 원소다. 집합이 원소를 쏜다. 유체가 강체를 쏜다. 화살은 활에 묶인다. 원소는 집합에 묶인다. 강체는 유체에 묶인다. 묶었다가 풀어주는 것은 유체다. 존재는 묶여서 단위를 이룬다. 존재의 단위는 유체다.


    - 존재는 단위다.
    - 유체가 단위를 만든다.


    우리는 원소 중심의 사고에 빠져 있지만 원소는 힘이 없다. 집합 중심의 사고로 도약해야 한다. 강체는 힘이 없다. 유체 중심의 사고로 도약해야 한다. 망치는 힘이 없다. 망치를 휘두르는 사람의 근육에 힘이 있다. 근육은 유체다. 우주의 모든 변화는 유체의 몰아주는 성질로 설명되어야 한다.


    집합 - (조건) - 원소
    유체 - (밸런스) - 강체


    강체는 스스로 움직일 수 없으나 유체는 스스로 움직인다. 단 조건이 있다. 유체를 묶어주는 것이 있다. 내부의 밸런스가 묶는다. 집합과 원소 사이에 조건이 있다.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집합이 깨진다. 밸런스가 일치하지 않으면 유체는 흩어진다. 밸런스가 유체를 가두면 힘이 발생한다.


    유체 - 풀어주는 자발성이 있다.
    강체 - 묶이는 상호의존성이 있다.


    원소가 묶이면 집합이 되고 강체가 묶이면 유체가 된다. 강체가 묶인 것은 상호의존성이고 유체가 풀어주는 것은 자발성이다. 근원의 힘은 유체의 자발성에서 비롯된다. 묶인 것을 풀어주는데 드는 비용을 자체조달할 수 있는 형태로만 풀 수 있다. 그러므로 법칙이 있다. 그것이 이기는 힘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90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872
6435 노무현 비판자들이 간과하고 있는 것.. 시민K 2002-10-23 16552
6434 5분으로 정리하는 구조론 image 1 김동렬 2010-04-08 16549
6433 천재형과 노력형 김동렬 2014-07-21 16544
6432 조갑제 쑈하는 거 아닐까요? 심리학도 2002-12-09 16543
6431 행정수도 이전 대박이다 김동렬 2002-10-04 16537
6430 진짜 골 때림 깜씨 2002-12-08 16536
6429 부시형 나 이쁘지? 김동렬 2003-04-16 16532
6428 부산경남사람들이 노무현이 좋아한다 걱정마라 김동렬 2002-10-30 16532
6427 DJ가 인기없는 이유는 김동렬 2002-09-18 16530
6426 주사위 모형 image 1 김동렬 2011-08-15 16522
6425 우리당의 욱일승천지세 image 김동렬 2004-02-16 16522
6424 마지막 초읽기, 초조할땐 옆차기 한방 관우 2002-12-18 16521
6423 너무 웃기 잖아. (i-i) 돌팅이 2002-12-04 16513
6422 노/정 단일화게임 누가 승자인가? image 김동렬 2002-11-17 16509
6421 대철이형 어리버리 하다가 지뢰 밟았지! image 김동렬 2003-07-12 16503
6420 최신극장영화 똥개 image 김동렬 2003-07-08 16503
6419 Re.. 황수정 아님 김동렬 2002-12-01 16497
6418 강마에의 호통이 필요한 이유 김동렬 2008-10-14 16494
6417 지도 image 김동렬 2003-04-20 16484
6416 초딩은 KIN~! image 김동렬 2003-12-22 164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