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599 vote 0 2021.12.02 (15:30:15)

    구조론은 사건을 해석하는 도구다. 사물이냐 사건이냐다. 사물은 그냥 관찰하면 되는데, 사건은 여럿이 모여서 계를 이루고 이차적인 변화를 일으키므로 퍼즐 맞추기가 만만치 않다. 사건은 해석이 필요하므로 도구를 써야 한다.


    소금이 짜고 설탕이 단 것은 사물의 성질이다. 성질은 변하지 않으므로 믿을 수 있다. 그런데 구름이 비가 되어 내리고 과일이 썩는 것은 사건이다. 구름이 조금이면 괜찮은데 많이 모이면 비가 된다. 상자에 담긴 과일 중에 하나가 썩으면 순식간에 죄다 썩는다. 사건은 일정한 조건에서 갑자기 격발된다. 사건은 고유한 속성이 결정하는게 아니라 이차적인 조건이 결정하므로 헷갈리게 된다.


    사건은 원인과 결과, 전체와 부분, 연결과 단절이 머리와 꼬리로 나누어 대칭을 이루고 톱니가 맞물려 돌아간다. 우리는 사물을 관찰하는 방식으로 퍼즐 맞추기를 시도하지만 사건의 복잡성이라는 장벽에 막혀 좌절한다. 사건은 진행하면서 열린계가 닫힌계로 바뀌고, 강체가 유체로 바뀌면서 객체의 고유한 속성은 의미가 없고 수학적 확률이 지배하게 된다. 완전히 다른 세상이 열리는 것이다.


    사물이 재료라면 사건은 요리다. 요리사는 지지고 볶고 데치고 삶아서 원재료에 없는 새로운 맛을 도출해 낸다. 그것은 속성이 아니라 관계, 성격이 아니라 궁합이다. 사물을 보는 단순한 시선으로 복잡한 사건을 감당할 수 없다. 그런데 복잡한 것은 추려서 역으로 단순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 구조의 힘이다.


    구조론은 수학화 시켜서 보는 방법이다. 사건에 닫힌계를 걸어 외부 변수의 개입을 차단하고 판을 키워서 유체의 성질을 부여하면 자원이 가진 고유한 속성은 사라지고 수학적인 관계가 성질을 결정한다. 사건 내부에서 대칭을 이루고 토대를 공유하며 나란히 맞물려 돌아가는 것이 있다. 사건의 메커니즘을 끌고 가는 핸들이 있다. 그 핸들을 잡아야 한다. 비로소 정상에서 전모를 볼 수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892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854
6235 30퍼센트 정권은 뭐를 해도 비정상 김동렬 2023-09-10 2605
6234 구조와 자연 3 김동렬 2019-11-07 2606
6233 영혼의 의미 김동렬 2023-10-25 2608
6232 구조론의 차원개념 김동렬 2020-12-10 2609
6231 벤투축구의 수수께끼 김동렬 2022-11-29 2611
6230 도구가 있어야 한다. 2 김동렬 2020-08-27 2612
6229 넌센스 정국 2 김동렬 2022-05-22 2612
6228 인간에 대한 환멸 김동렬 2024-03-02 2612
6227 원자론에서 구조론으로 1 김동렬 2021-02-03 2613
6226 무뇌좌파 멸망공식 김동렬 2022-06-21 2613
6225 과학은 간이 크다 김동렬 2022-09-18 2613
6224 구조론과 엔트로피 image 김동렬 2020-12-27 2614
6223 인간의 실패 김동렬 2023-01-01 2614
6222 플라잉카의 마이너스 1 김동렬 2019-11-18 2615
6221 사유의 법칙들 김동렬 2021-12-09 2616
6220 민주당의 원죄 김동렬 2022-04-05 2616
6219 창발주의 등판 1 김동렬 2020-08-18 2618
6218 양향자의 배신 1 김동렬 2022-04-27 2620
6217 윤석열 잘 들어라. 2 김동렬 2024-03-27 2621
6216 자궁과 도구 1 김동렬 2021-11-26 2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