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7]눈마
read 1629 vote 0 2018.09.25 (00:02:36)

한마디로, 돈이 없습니다.

현대의 국제기구의 기원이 미국의 2차대전 승리 (1945)로 인한 승전보상금과, 유럽의 견제 (NATO)로 이뤄진 것이죠.


반기문은 노무현 대통령이 의도적으로 뛰워준거고, 강경화는 노쇠화된 관료인 외교통상부의 비주류라 국제기구쪽에 밀려나있던 케이스죠. 서울대출신도, 외무고시출신도 아닌 강경화를 외교통상부에서 좋아할 이유가 없습니다.


여기서 중요한데, 남한은 IMF이후 정확히는 YS시절의 세계화이후, 많은 국제 분담금을 국제기구에 냅니다. 여기서, 기획재정부가 관여하는거죠. 외통부와 기재부는 라이벌 관계이지만, 노른자위는 기재부가 갖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기구가 힘을 못쓰는 이유는, 중국의 일대일로만큼의 자본력도 갖추고 있지 못하고 있고, 그럴 생각도 없다는데 있죠. 국제기구의 탄생후 50년이 흘렀다면, 그 조직 내부관리도 안되고 있다고 봐야합니다.


결론은, 중국의 일대일로의 자금을 국제연대쪽으로 넣어야하는데, 돈을 달라고 하는데는 항상 명분이 따라야합니다. 


현대의 국제기구의 돈의 흐름은, 정확히, US International Aid (USAID)를 따라 갑니다. 전세계의 권역별로  사무실을 두고 있죠. 물론 손대는 족족 말아먹습니다. 여기서, 전세계 국가가 200여개 입니다. 민주화도 되고 자본주의도 정착된 나라가 몇나라나 될까요?


종교가 설치거나, 마피아가 설치고, 아이들 유괴하고 부녀자 강간하고, 추장노릇하고, 마약밀매하는 나라들이 태반입니다. 여기다가, 원조 조금 하면서, 잘되기를 바라는게 현대 국제기구의 수준이구요. 


종교나 마피아국가로 퇴행하는게 아니라, 절대 최악에서 벗어나려고 선택한게 종교국가 내지 깡패국가가 되는거지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0]수원나그네

2018.09.25 (07:27:06)

돈은 세상에 널린게 돈입니다.
없으면 찍어내면 되지요.
그게 구조론이지요.

돈 없으니 유학가지 말자는 거나 마찬가지군요.
유학도 돈 쌓아놓은 후 가야한다는 얘기 군요.
눈마님은 아마도 미국에 계신 분 같은데,
초기 미국유학파들 얘기 못들었나요?
[레벨:6]파일노리

2018.09.25 (21:02:34)

현재 국제기구의 위상이 낮아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큰형님이 있어야 분쟁이 조율되는건데 전혀 그런 역할을 못하고 있죠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7861
2137 지성인이 되고 싶습니다. 1 빨간풍차 2008-12-28 4386
2136 백년해로할 배우자를 만나는 방법 1 빨간풍차 2008-12-28 5005
2135 대표적인 지성인을 꼽아주시겠습니까. 2 빨간풍차 2008-12-29 4591
2134 이건 수준이 낮은 이야기인지도 모릅니다. 1 빨간풍차 2008-12-30 4458
2133 <연구공간 수유+너머>라는 공간에 대해서는 어떤 생각을 가지고 계신가요. 1 빨간풍차 2008-12-30 4637
2132 거짓말에 대하여 2 빨간풍차 2009-01-01 4565
2131 질문합니다. 4 도플솔드너 2009-01-03 4672
2130 [질문] 개념도에 나오는 모래시계의 사례에서. 3 르페 2009-01-06 5062
2129 질 입자 운동 량 찾기 image 2 dallimz 2009-01-06 6433
2128 과제물 제출 2 꼬치가리 2009-01-07 4431
2127 구조분석의 문제. 2 김동렬 2009-01-08 4669
2126 구조론이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09-01-11 4459
2125 문화발전의 5단계 1 르페 2009-01-11 5569
2124 아무님의 교육 5단계론에 대한 생각. 3 르페 2009-01-11 4717
2123 파일업로드 테스트 image 1 김동렬 2009-01-14 4757
2122 큰넘을 잡았구려. image 2 dallimz 2009-01-14 4972
2121 만나기 1 ahmoo 2009-01-14 4532
2120 허전함과 뻑적지근함 2 르페 2009-01-16 5266
2119 서늘한 날. image 3 참삶 2009-01-16 5303
2118 질이라 함은.. 9 도플솔드너 2009-01-20 4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