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인트:113576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언론개혁은 민생을 살피는 길이다.
왜구의 작당모의나 보수의 작당모의를 대낮에 모든 사람이 알 수 있도록
널리 전국방방곡곡에 소문을 내는 것은 언론이다.
보수의 작동모의를 그냥 작당모의로 아무일 아니게 잊혀지게 할 수 있는 것은
언론이 보도를 하지 않는 것인데 언론이 보수와 한편이 되어
모든 부문에서 거짓과 오보를 쏟아내기 때문에
부동산 현안문제, 방역 방해문제, 이명박근혜 찬양 등이 전국으로 빠른시간안에
소문이 나는 것이다. 언론개혁이 민생의 길이다.

![포인트:41655point (50%), 레벨:21/30 [레벨:21]](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1.gif)
트위터 ID @NYjjNY 님의 트윗...
삼천동 놀러가면 한국경제기자들 꽤 본다. 다들 영화배우같이 반듯하게 생겼는데 주한미군이 55만명 이라는데 데스크가 고치지도 않고 기사 내보낸다
그냥 하루하루 살기 싫은가 보다?
삼천동은 아마 삼청동의 오타인 듯....
한국경제신문은 기자 얼굴 보고 뽑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포인트:113576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우리나라도 무조건 우기는 사람들부터 목소리 큰 사람이 이기려고 하는 경우가 많다.
이 번에 백신접종 시작하면서 언론들이 백신을 맞은 환자의 모든 증상을 백신부작용과 연결하여 보도하면서
백신접종율도 떨어지고 백신을 기피하는 사람들도 나왔다.
언론을 그대로부면 한국에서 개발한 백신이 나올 때에도 언론이 가만히 있을까?
그나저나 언론개혁이나 하자!!

![포인트:8381point (63%), 레벨:9/30 [레벨:9]](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9.gif)
북한이 미사일 쏘면 전세계가 들썩이는데, 정작 서울사람들은 멀쩡하게 일상생활하는 것과 동일한 분위기가 이스라엘 분위기.

![포인트:113576point, 레벨:30/30 [레벨:30]](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0.gif)
행복타령하면서 '패배 미학'을 전파시키는 긴장 풀린 사람이 한국에도 많습니다.
그리고 방송국에도 많습니다.
일단 시작하면 적극적으로 열정적으로 세계1위를 하겠다는 목표가 있어야 합니다.
이제는 예능PD들도 열정이 줄었는 지 겁이 늘었는 지 시청자들 눈치만 보는 건지
댓글 무서워서 예능을 만들지 못하고
트로트에 똑같은 포맷으로 배기기만 하고 있습니다.
K-한류가 늙어가면서 포맷이 하나로 변하고 있습니다.

![포인트:779point (93%), 레벨:2/30 [레벨:2]](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2.gif)
패배에 미학, 철학따위는 없죠. 이기는 것만이 미학과 철학이 있습니다.
장기적이고 대국적 관점에서는 이기는 방향만을 추구하는게 옳죠.

![포인트:868point (9%), 레벨:3/30 [레벨:3]](https://gujoron.com/xe/modules/point/icons/default/3.gif)
수행자 종교인들에게 저런경향이 많더군요 궁색함에 자부심을 느낀다랄까....
고생 많았네. 박영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