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10]다원이
read 1722 vote 1 2018.08.21 (00:53:37)

선문답 - 질문에 답하려 하면 실패. 물었으니 답해야 한다는 이 프레임에 빠지면 즉시 패배. 묻는다는것 그 자체를 복제하는게 갈 길이다.
선승이 물을 때는 답을 바라는 게 아니라, (너같은 초짜에게 답을 바라지도 않는다 마는) 너도 나처럼 깨달은 경지에서 물음을 던지는 입장이 되어야 한다. 라고 외치는 것. 그걸 모르고 질문에 대한 정답을 맞추려 하는 순간, (스승이 이미 예견한 대로) 당신은 이미 졌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8.08.21 (09:11:18)

거대한 산을 작은 플라스틱 모형에 잡아가두면 곤란합니다.

물음에 답하려는 무의식을 보라는 관점은 하나의 단서에 불과합니다. 

그게 작은 힌트 하나는 되겠지요.


복제는 깨달음이 아니라 모방이고 표절입니다.

복제를 할 수 있는 복제의 자궁을 건설해야 깨달음입니다.


셰익스피어 소설을 읽고 그것을 복제하여 적과 흑을 쓰면 깨달음이지만

셰익스피어 햄릿을 읽고 햄릿 2부나 속편을 쓰면 그냥 표절입니다.


산이 '야 나는 얼마나 높냐?' 하고 물으면 

에베레스트 형님은 높이가 8848미터인데요? <- 이렇게 받으면 오백방을 맞아야 합니다.


질문에 답을 했으니까 질문의 관점을 획득하지 못한 거지요.

바다가 '야 나는 얼마나 깊냐?' 하고 받아야 좀 아는 거지요.


산과 바다는 대칭을 이루어 호응이 됩니다.

질문에 답하지 않고 대칭을 이루어 호응시키는 방법으로 완성해야 합니다.


그런게 없이 그냥 따라하는건 호응이 아니지요.

시인이 댓구를 쳐도 운을 띄우면 라임을 맞추어야 합니다.


그림의 반을 그리면 나머지 반을 채워서 완성시키는 것이 호응입니다.

그냥 똑같이 따라하는건 어린이 행동입니다.

[레벨:10]다원이

2018.08.21 (15:15:09)

감사합니다 !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392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4-07-25 1742
391 구조론과 벡터 image 2 이금재. 2020-02-28 1741
390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4-08-22 1738
389 부암동출범. 구조론 목요 열린방송 image ahmoo 2017-03-16 1736
388 안희정이 민주당 대표로? 2 스마일 2017-12-30 1735
387 비트코인에 대한 큰 착각 1 부루 2018-01-11 1734
386 8월 1일 구조론 모임 후기 3 오리 2019-08-02 1733
385 당대표 이해찬 !! 1 다원이 2018-08-25 1733
384 토요 춘천 팟캐스트 모임 재공지 image 3 김동렬 2017-11-24 1732
383 존 제이콥 에스더 (모피상인) 눈마 2019-04-30 1730
382 비문증이란... TED_ed image 3 텡그리 2018-10-25 1729
381 구조론 목요 열린 방송 image ahmoo 2016-09-29 1726
380 구조론 목요 강론회 image ahmoo 2015-11-26 1724
» 선문답은 복제다 - 작은 깨달음 2 다원이 2018-08-21 1722
378 하나 혹은 1의 가치와 무게 다원이 2016-10-30 1723
377 구조론 목요 강론회 image ahmoo 2015-11-05 1723
376 금본위제가 아닌 부동산 본위제 유가 증권 혁명 제안. 3 노매드 2018-09-17 1721
375 극단적인 자유주의(지방분권)으로 강대국이 못 되는 인도네시아 부루 2017-11-10 1721
374 2018년 2부 함께가는 대한민국 토론을 보며 1 달타냥(ㅡ) 2018-01-01 1720
373 122회 4.16 Boston Marathon 대회 참가 4 wisemo 2018-04-17 1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