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금재.
read 1826 vote 0 2020.10.21 (16:05:18)

https://youtu.be/OG3XkRIBbCI

"유클리드 > 비유클리드"가 베이스를 평면이나 곡면이냐로 구분하는 것이었다면,
"뉴턴 > 아인슈타인"도 베이스를 다루기 때문에 아인슈타인이 시공간이 휘었다는 표현을 한 거였군요.

재밌는 지점은 "곡률"이라는 표현인데, 왜냐하면 어떤 비율이라면 "무엇이다"라고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인슈타인이 시공간 혹은 빛의 속도라고 얼버무린 거시기는 무려 비율을 가진 가상의 전제가 되는 것입니다.


영상 중간에 미적분이 나오는데, 미적분이 나오는 이유는 수학에서 미분이 하방추론으로, 적분이 상방추론으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미적분의 연산 자체는 대수학적인데, 그 연산의 베이스는 당연히 기하학입니다. 


참고로 미분은 나눗셈의 일반화 연산으로, 적분은 곱셈의 일반화 연산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나눗셈과 곱셈은 대수학적으로 정의된 것으로 차원을 전제하지 않으나 미적분은 기본이 기하학이므로 차원을 전제하여 계산하되, 다만 그 결과는 대수학적으로 표현됩니다. 


일각에서 미분을 나눗셈으로 생각하면 안 된다고도 하는데, 이는 반만 맞는 말입니다. 미분은 나눗셈이 아니나 나눗셈은 미분에 속한다고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우리가 사용하는 나눗셈은 미분의 특수한 형태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미적분에서 곱셈을 하는데 뜬금없이 덧셈이 보이는 이유는 행렬곱을 할 때 뜬금없이 덧셈이 튀어나오는 이유와 정확히 같습니다. 차원간 연산을 할 때 곱셈은 차원간연산으로 덧셈은 차원내연산을 표현하는데, 차원을 이동할 때는 둘 다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아무튼 기하학은 행렬을 다루고, 행렬은 곧 텐서로 확장되므로 상대성이론에서 텐서를 사용했다는게 대강 연결이 되죠. 좀 더 나가면 양자역학이 행렬을 주로 다루고 퀀텀 점프를 다루는데, 퀀텀점프는 계를 다루는 표현이고.. 하는 식으로 가다보면 언젠가는

Drop here!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7598
1797 땅값 집값 문제 14 - 재건축 문제의 해법 image 수원나그네 2018-01-25 1816
1796 땅값집값 24 - 미래가치의 현재화 3 수원나그네 2018-09-09 1821
1795 관료를 다루는 법 1 수원나그네 2018-09-25 1822
1794 왜 마이너스인가. 2 아제 2018-06-04 1823
1793 [제민] 주거복지정책의 성공을 기원한다 2 ahmoo 2017-12-13 1824
1792 처음은 결합이다 13 현강 2020-08-02 1827
» 유클리드-리만-아인슈타인의 기하학 이금재. 2020-10-21 1826
1790 인간은 바보다. 1 아제 2018-01-06 1829
1789 생명로드45- 원전안전기술문제 아카데미 image 수원나그네 2019-09-11 1831
1788 게임의 복제 systema 2021-02-12 1831
1787 사회주택 이야기 1 ahmoo 2017-10-24 1833
1786 흥미로운 고지도 dksnow 2022-02-18 1835
1785 생명로드 26 - 생명,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image 1 수원나그네 2018-07-16 1836
1784 시간의 인과율에서 공간의 인과율로 1 systema 2017-11-08 1839
1783 자른 흔적도 붙인 흔적도 없다. 아제 2017-11-12 1840
1782 물리학의 철학 대체 가능성 1 다음 2020-08-22 1840
1781 [뉴시스] 사학비리를 비호하는 검찰 - 5개 대학 교수협의회 기자회견 image 수원나그네 2018-05-26 1844
1780 [제민] 연약한 공유지를 지켜라 2 ahmoo 2018-09-04 1845
1779 어떤 둘은 만나지 않는다 챠우 2019-08-08 1845
1778 생명로드 28 - 탈원전, 우리의 양심을 찾는 길 image 2 수원나그네 2018-10-08 1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