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9776 vote 0 2018.05.15 (21:33:04)

  

    독자의 질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컨대 테니스공으로 단단한 벽을 친다면 어떨까? 공은 0~180도 사이의 어떤 각도로 방향을 바꾸어 진행한다. 벽에 맞아 각도를 꺾어 튕겨 나간다. 이때 벽은 움직이지 않는다. 아니다. 이때 벽이 공을 향해 진행한다. 정지해 있는 벽이 달려와서 공을 냅다 후려치는 것이다. 이렇게 말하면 이해가 되지 않을 독자들이 다수일 것이다. 벽이 살아서 막 돌아다니고 그러는가? 그렇다.


    벽이나 공의 겉보기 형태를 떠올리면 곤란하고 이면의 에너지를 봐야 한다. 구조는 에너지의 구조다. 작용반작용의 법칙은 A가 B를 치면 같은 크기의 힘으로 B도 A를 친다는 거다. 그런데 말이 그렇지 실제로 B가 A를 치는 것은 아니다. 단지 그렇게 표현을 하는 것이다. 움직이지 못하는 벽이 누군가를 때린다거나 하는게 있을 수 없다. 그런데 구조로 보면 실제로 B가 A를 친다.


    에너지의 방향이 그렇다. 그런데 실제로 전자기력으로 보면 B가 A를 밀어낸다. 그게 전기의 속성이다. 극이 바뀐다. 양자단위에서 전기적 반발력이 작용한다. 우리가 손으로 무엇을 만지거나 하는게 사실은 전자기력이고 전기적 반발력이다. 인간이 경험하는 자연계의 힘은 중력 아니면 전자기력이고 미시세계에서 작용하는 강력이나 약력은 아마 경험할 기회가 없을 것이다.


    구조론으로는 여기에 공간 그 자체의 힘이 하나 추가된다고 본다. 빛이 A에서 B로 진행할 때 동시에 B에서 A로 진행하는게 분명히 있다. 아직 과학자들이 알아내지는 못했지만 말이다. 우주 안에 일방적으로 A에서 B로 가는건 없고 모두 자리바꿈이다. 이는 물리가 궁극의 단계에서는 수학적으로 존재한다는 의미다. 수학으로 보면 빈 칸이 있어도 그것이 없는게 아니고 있다. 



asd.jpg

  A가 B를 밀 때 B도 A를 민다. 시간차 없이 둘은 동시에 작용한다. 왜냐하면 닫힌계 곧 장이 먼저 만들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장이 먼저 만들어지고 그 다음에 코어가 도출되고 마지막으로 힘의 방향성이 결정된다. 정보전달과 장의 성립>코어 성립>에너지 성립과 작용반작용 두 힘의 작용>운동에너지 전달>외부관측으로 가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495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420
4132 구조론의 대의 image 3 김동렬 2013-12-23 8487
4131 어린 신부 잔혹사(추가버전) 6 김동렬 2013-12-25 9850
4130 영화 미스트의 부족민들 image 2 김동렬 2013-12-29 9786
4129 인간의 자유의지와 선택 1 김동렬 2013-12-31 8900
4128 자유의지란 무엇인가? image 9 김동렬 2013-12-31 11056
4127 파리대왕과 로빈슨 크루소 김동렬 2013-12-31 10323
4126 모형으로 이해하라 김동렬 2014-01-02 8786
4125 마르크스와 케인즈 극복하기 9 김동렬 2014-01-05 9555
4124 소통으로 출발하라 1 김동렬 2014-01-06 8377
4123 운명을 디자인하기 1 김동렬 2014-01-08 10661
4122 존재의 원형 image 김동렬 2014-01-08 8298
4121 완전한 모형을 품기 1 김동렬 2014-01-09 8792
4120 러셀의 찻주전자 4 김동렬 2014-01-10 10799
4119 강신주의 이발소그림 7 김동렬 2014-01-13 10947
4118 유태인의 조용한 죽음 1 김동렬 2014-01-13 9951
4117 완전한 사랑에 이르기 3 김동렬 2014-01-14 9613
4116 노무현이 천재인 이유 5 김동렬 2014-01-16 13366
4115 파리대왕의 나라 8 김동렬 2014-01-17 9336
4114 정상을 포착하라 1 김동렬 2014-01-18 9471
4113 하버드 교수식당 3 김동렬 2014-01-22 9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