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조영민
read 5637 vote 0 2010.05.18 (03:55:50)

 




『 영단어 아기처럼 생각하라 』 

네번째 글입니다.  
저작자 표시 비영리 변경 금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Creative Commons License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0.05.18 (10:14:52)

 

skin은 짐승의 털을 깎아서 맨살의 가죽을 노출시킨다는 뜻이 있습니다.
scale과 같은 뿌리인데 section+ cut의 느낌, 
scissors와도 관련된 말

skill, scar, sketch도 사촌.

scale.. 짐승의 털을 자른다(scissors질을 한다) 스케일이 크다는 것은 대범하게 싹둑싹둑 가위질을 해버린다는 뜻.(잘려진 비늘이나 그 비늘을 사용한 천칭접시는 2차적인 의미)

skill..scissors질을 잘 했다. 가위질 하는, 잘라내는 기술이 뛰어나다. (스킬이 있냐? 너도 한 가위 하냐? )

skin.. scissors를 한 결과 노출된 살갗.. 가위질을 했더니 살갗이 노출

scar.. 양털깎는 가위에 긁힌 상처

sketch.. 표면을 대강 긁어서(잘라서) 그림. 가위로 테두리를 오리듯이 그려낸 그림.

중요한 것은 이 대부분의 중심에 '가위'가 있다는 것.
가위는 둘로 가른다는 뜻.

우리나라 사람은 털이 별로 없어서 스킨의 본래 느낌을 잘 모르오.
털북숭이에다 양털깎기가 직업인 게르만족에게 익숙한 단어.

한국인 피부는 항상 그대로이기 때문에 변하지 않는다, 고유하다는 느낌인데
저넘들은 원래 피부가 지랄이라 감춘 것을 드러낸다 혹은 뭔가 변하게 한다는 뜻이 더 강한듯.

한국인은 고유한 정체성을 나타내는 피부를 바꾼다는 것이 이상하지만
그넘들은 원래 그런 넘들이라 당연히 스킨을 바꾸지.

어쨌든 가위로 깎는다(자른다-고로 변화한다)는 느낌이 항상 따라다니오.

[레벨:17]눈내리는 마을

2010.05.18 (10:23:35)

관계로서 받아들이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27]오리

2010.05.18 (14:10:59)

skinhead 는 자연 대머리가 아니라. 가위로 머리를 짧게 깎아서 skinhead 가 보군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504
375 대진화, 포화진화, 환경 변화 3 wson 2011-05-08 4551
374 현대물리학의 개념들에서 질에 해당하는 것이 무엇일까요? 11 wson 2011-05-04 4250
373 성과를 두 배로 늘리는 법 있나요? 4 김신웅 2011-05-04 4125
372 마인드맵의 진화단계 7 juseen 2011-04-26 5083
371 경쟁에 반대한다 3편: 죽음의 사다리를 걷어치워라! image 5 오세 2011-04-06 4633
370 나는 가수다 - 경쟁은 상생을 위한 보조수단 이라는 것이 '원칙' 이다. image 3 아란도 2011-03-28 5143
369 경쟁에 반대한다 1편: 경쟁은 무의식이다 image 6 오세 2011-03-23 10306
368 경제와 주가의 구조론적예측툴에 관해서 질문 2 갈구자 2011-03-23 4091
367 부바키키 언어 계통수 발견하기. ░담 2011-03-23 5375
366 미학(美學)은 기(起) 입니까? 1 함성한 2011-03-23 3864
365 나는 가수다, 당신이 분노해야 할 이유 image 2 조영민 2011-03-21 4565
364 겨루기, 싸우기. 살림, 죽음. ░담 2011-03-20 4207
363 경쟁에 반대한다 Intro: 나는 가수다? image 14 오세 2011-03-14 6752
362 근원의 표정 image 8 ahmoo 2011-03-09 4974
361 존엄과 욕망 사이 4 양을 쫓는 모험 2011-03-09 4194
360 게임에 모든 것을 건 사람 1 기준님하 2011-03-02 4357
359 [일 내는 이야기] 있다 이야기. ░담 2011-03-02 4450
358 가스실 밖으로 나와야 한다. 3 오세 2011-03-01 3903
357 창의적 사고의 단계들 lpet 2011-02-27 19957
356 바깔로레아 5 양을 쫓는 모험 2011-02-27 43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