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1614 vote 0 2017.11.15 (06:47:36)


 진실은 진실 그 자체로 존재할 뿐이지만, 진실을 대하는 사람의 반응은 정치적이오.

 중세시대 과학의 등장은 수 많은 종교인들의 상호작용 공간을 빼앗는 것이었소.

 진리가 사회 관계망속의 여러 역할을 실제로 필요없는 것으로 만들고, 그러한 역할 말고 다른

 역할로 관계를 맺는 연습이 안된 수많은 사람들에게는 사형선고나 다름 없는 것이오.


 돌도끼를 쇠도끼로 바꾸는 문제는, 돌도끼에 신성한 권능을 부여하는 주술사를 쓸모없는 존재로

 만들고, 이는 주술사를 모시는 사회제도 전체를 개편하는 문제가 되고, 주술사가 새로 개편된

 사회에서 기존의 기득권을 보존하지 못하게 된다면, 이는 기득권을

 빼앗는 것이나 마찬가지고, 곧 원주민 사회를 전쟁상태로 이끌게 되오.


 그러나, 인간이 진리에 맞추어 변화해야지 진리가 인간에 맞출수는 없소.

 결국 새로운 진리를 받아들이는 사람들은, 그 진리가 바꾸어갈 사회관계망속에서

 새로운 상호작용 공간과 역할을 얻을 수 있다고 자신하는 사람들이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563
346 이상우님이 학생들을 잘 지도하는 방법 기준님하 2010-02-02 5684
345 왜란 무엇인가? image 4 김동렬 2013-02-07 5688
344 이런 저런 대화 지여 2009-08-05 5695
343 트레일러 파크 보이즈 image 1 김동렬 2019-04-12 5699
342 어느 쪽이 낫소? image 13 김동렬 2013-05-02 5718
341 kbs 심야토론 정관용진행자의 하차에 대해서 1 가혹한너 2008-11-01 5722
340 독립형 엔지니어 image 1 눈내리는 마을 2009-11-21 5733
339 소그드인의 뿌리 3 김동렬 2016-04-01 5733
338 감자 보급과 이중의 역설 SimplyRed 2023-05-06 5749
337 기존의 마음 이론의 한계 오세 2010-11-12 5756
336 트럼프의 미국을 예언한 영화 이디오크러시 image 김동렬 2016-11-10 5771
335 굿바이 송진우 눈내리는 마을 2009-08-31 5772
334 이상적인 정자의 구조는? image 2 김동렬 2014-07-14 5788
333 선풍기 괴담의 비과학성 1 김동렬 2011-07-04 5791
332 구조론 문제 김진태 화백의 경우 image 31 김동렬 2012-12-24 5791
331 오자병법 대 손자병법 image 3 김동렬 2016-04-25 5794
330 구조의 의미. 1 아제 2010-09-17 5800
329 시간의 강가에 앉아 image 1 ahmoo 2010-08-02 5805
328 브라질 땅콩 효과 image 김동렬 2016-06-03 5807
327 토요일 구조론 토론모임에 초청합니다. image 2 김동렬 2010-03-18 5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