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1966 vote 0 2017.11.02 (18:45:36)

 

   에너지는 맞선다.

   
    세상이 에너지로 되어 있다는건 참으로 좋은 소식이다. 누구든 컴퓨터 자판을 두들겨 자기 우주를 창조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세상을 통제하는 것은 게임이다. 세상은 양자역학적 확률에 지배되지만 게임은 확률이 낮은 것을 제껴버린다. 양자역학의 여러 현상은 인간을 당혹하게도 하고 혹은 황홀하게도 한다. 양자역학은 기계처럼 톱니가 딱딱 들어맞는 우주관을 깨부수고 물처럼 부드러운 세계관을 제시하지만, 그 부드러운 물이 기계보다 더 정확하게 돌아간다는 아이러니.


    세상은 절대주의 기계론에서 확률적인 상대론으로 갔다가 다시 확실한 기계론으로 돌아가는 것이며 그 기계는 업그레이드된 기계다. 불확실한 확률이 기계보다 더 정확하며 오히려 기계를 넘어선다. 그게 게임이다.


    기계론으로 가면 한국팀은 절대 축구로 브라질팀을 이길 수 없다. 손흥민은 메시를 절대 이길 수 없다. 확률론으로 가면 혹시 한번쯤 기적이 일어나 한국이 브라질을 이길 수 있지 않을까? 아니다. 못 이긴다. 그게 게임의 법칙이다. 기계는 어쩌다 고장날 수 있지만 게임은 고장나지 않는다.


    한국팀과 브라질팀이 붙으면 도박사들은 브라질팀에 베팅한다. 브라질의 승리가 결정된다. 배심원들의 판단을 참고하면 혹은 숙의민주주의를 하면 이상한 결과가 나오지 않을까? 천만에! 안 나온다. 배심원 중에 이상한 넘이 끼어 있어서 살인왕 심슨이 무죄를 받는 사태가 일어나지 않을까? 안 일어난다. 배심원 숫자를 충분히 늘려두기 때문이다.


    세상을 게임으로 이해하는 세계관을 얻어야 한다. 맞대응이다. 우리는 진보나 보수를 기차 철로처럼 궤도를 선택하는 것으로 여긴다. 그런게 아니다. 게임은 집요하게 맞대응한다. 상대가 어떤 선택을 하든 내가 따라가며 대응한다. 진보는 집요하게 대응하는 것이다. 에너지가 센 쪽이 이긴다. 진보는 젊고 젊은이는 에너지가 세므로 이기는 것이다.


    진보는 평화를 선택하고 보수는 전쟁을 선택한다는 식으로 선택한다는 관점은 양자역학적 이해가 아니다. 에너지의 이해가 아니다. 진보는 대응한다. 정은이 전쟁으로 나오면 전쟁으로 맞대응한다. 진보가 전쟁을 회피하지 않는다. 옳고 그름으로 판단하는게 아니라 에너지로 판단한다.


    진보의 답은 에너지의 통제가능성이다. 무엇인가? 재벌도 통제되어야 하고 군부도 통제되어야 하고 뭐든 통제되어야 한다는게 진보다. 무작정 자유를 외치는 게 아니라 존엄을 해치지 않는 한도 안에서 자유는 통제되어야 한다. 차별할 자유, 깽판칠 자유, 일베충 자유는 없다.


    진보는 평화도 통제하고 전쟁도 통제한다. 전쟁을 통제한 결과 평화를 얻는 거지 전쟁을 회피하고 도망쳐서 평화를 얻는게 아니다. 완전히 다른 관점, 다른 세상이 열린다. 그 신세계로의 항해는 즐겁다.


   0.jpg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390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291
3972 에너지가 꼬여 포지션을 이룬다. image 김동렬 2015-06-01 5511
3971 관념론과 구조론 image 김동렬 2016-04-17 5516
3970 인과율과 구조론 image 1 김동렬 2015-07-22 5522
3969 다음 단계로 나아가라 image 김동렬 2016-04-07 5524
3968 중국을 망친 노자 image 김동렬 2016-05-30 5524
3967 구조론은 간단하다 image 김동렬 2015-09-21 5539
3966 사랑 95, 자신을 죽이는 방법 image 1 김동렬 2016-04-12 5543
3965 말을 들어야 깨달음이다 2 김동렬 2018-08-16 5548
3964 사랑 108, 인류의 전쟁 image 1 김동렬 2016-05-17 5550
3963 논어는 일높이 교육이다 image 3 김동렬 2016-03-17 5554
3962 공자와 니체 image 1 김동렬 2016-03-21 5554
3961 두 번의 살인 image 김동렬 2015-10-02 5556
3960 나머지의 나머지 6 김동렬 2016-07-13 5556
3959 사랑 125, 빛과 그림자 image 1 김동렬 2016-07-26 5559
3958 도덕경 3, 환빠의 절망 image 1 김동렬 2016-02-06 5566
3957 사랑 112, 종교의 출현 image 2 김동렬 2016-05-26 5566
3956 중국무술의 몰락이유 1 김동렬 2019-07-04 5566
3955 구조론으로 시작하자 image 김동렬 2015-03-26 5569
3954 노자 9, 중국의 몰락법칙 image 3 김동렬 2016-02-15 5573
3953 두 개의 역설을 공부하라 image 김동렬 2016-04-13 55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