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2017 vote 0 2017.07.19 (11:58:40)

     

    구조론은 깨달음이다.


    존재론과 인식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존재론은 자연의 본래 모습이요, 인식론은 인간의 인식방법이다. 인간의 인식은 언어에 의존한다. 언어는 타인과의 약속을 목적으로 한다. 언어는 명명되는 것이며 명명된다는 것은 약속한다는 것이다. 공간의 약속은 쉽고 시간의 약속은 어렵다. 약속된 공간의 표지는 찾기가 쉽고 약속된 시간의 표지는 찾기가 어려우니 각주구검이 되기 다반사다. 약속을 지켜도 공간의 위치는 정확히 그 자리를 찾아가지만, 시간의 타이밍은 애매해서 어느 한쪽이 먼저 와서 다른 한쪽을 기다려주는 게 보통이다. 더욱 시계가 없던 고대사회라면 약속을 지키기 어렵다. 인간의 언어는 철저히 약속에 맞추어져 있으며 그 때문에 많은 한계를 가진다. 인간끼리의 약속을 지키려 할수록 자연의 존재와 어긋나게 된다. 말 잘하는 사람이 거짓말을 잘하게 되는 이치다. 말에 맞출수록 사실과 어긋난다. 자연의 사실과 일치시키려면 사건의 결을 따라가야 한다. 에너지의 통제가능성을 따라가야 한다. 인간끼리의 약속과 전달에 맞추어진 언어의 한계를 극복하고 자연의 에너지 흐름과 일치시키는 사유의 방법론이 깨달음이다.



00.jpg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834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8308
4275 확률을 믿어라 2 김동렬 2018-11-28 4263
4274 닫힌계를 이해하라 1 김동렬 2018-11-27 3380
4273 세상은 마이너스다 4 김동렬 2018-11-26 3296
4272 음모론의 권력욕 1 김동렬 2018-11-26 3606
4271 새로운 지평을 열다 1 김동렬 2018-11-25 4115
4270 답은 경계선에 있다 1 김동렬 2018-11-23 3835
4269 자연의 언어는 구조다. 2 김동렬 2018-11-22 3425
4268 왜 전라도 군사가 강한가? 3 김동렬 2018-11-20 4703
4267 자연은 가난하다 5 김동렬 2018-11-19 4359
4266 김용의 영웅문 1 김동렬 2018-11-16 3975
4265 에너지의 이해 1 김동렬 2018-11-15 3146
4264 구조론은 도구다 1 김동렬 2018-11-15 3117
4263 단순한게 좋다 2 김동렬 2018-11-14 4024
4262 차원의 이해 1 김동렬 2018-11-13 3661
4261 구조론의 세계 7 김동렬 2018-11-12 4027
4260 구조와 언어 1 김동렬 2018-11-09 3395
4259 연역과 귀납 4 김동렬 2018-11-06 3733
4258 존재론과 인식론 1 김동렬 2018-11-06 3579
4257 구조론 한 마디 2 김동렬 2018-11-04 3535
4256 영혼이 있다 2 김동렬 2018-11-03 4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