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280 vote 0 2017.04.08 (08:22:54)

http://movie.daum.net/moviedb/main?movieId=105569

 

존 허쉘 글렌 주니어(영어: John Herschel Glenn, Jr., 1921년 7월 18일 ~ 2016년 12월 8일)는 미국 최초로 우주 궤도를 돈 우주인이다. 과거 미국 해군 파일럿,우주인이었으며, 미국 항공 우주국(NASA)에 들어가기 전에는 미 해군에서 근무하다가, 미국 항공 우주국의 머큐리 계획에 일원으로 참가하여 1962년에 프렌드쉽 7호를 타고 지구 궤도를 3바퀴 돌아 미국에서 세 번째 우주인이 되었다. 그 후 정치에 입문해 1974년부터 1999년까지 미 오하이오주 대표로 미국 상원 의원(미국 민주당)을 지냈다. 1998년에 미국 디스커버리 호(STS-95)에 탑승해 최연로 우주인이 되었다. 2016년 현재 그는 머큐리 계획에 참여한 7명중에 유일한 생존자였으나, 2016년 12월 8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

 

영화 히든 피겨스의 캐서린 존슨이 존 글렌을 우주에 보낼때 우리의 기대주 김웅용도 나사에서 수학계산을 하고 있었다.

존 글렌이 우주에 간 때는 1962년, 김웅용이 나사에 가서 존 글렌을 우주에 보낸 때는 1970년대, 타임머신을 사용했음이 분명하다.

 

영화에서는 62년부터 IBM컴퓨터가 여성전산원을 대신하게 된다. 나사의 수학계산은 필요없는 일이 된 거. 그러나 김웅용은 이로부터 15년 세월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혼자서 줄기차게 나사에 빌붙는뎅. 존재하지 않는 직업을 가지고 일하는 유령직원.


프로필 이미지 [레벨:13]아나키

2017.04.08 (12:27:52)

김웅용은 한국에 돌아오고 나서

1981년 충북대 토목공학과에 입학하여 석박사를

받았으며,

2006년 충북개발공사 기획처 직원으로 입사하여

사회생활을 시작하였다

동일 지역에 살면서 종종 회자되곤 했지만

조용하며 신중한 직원으로 기억된다

일과 병행하며 논문을 100편정도 써냈는데

대단한 열정으로 평가됨

그러나,  나사에서의 그동안 행적이 궁금하긴함?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7.04.08 (13:15:31)

그 논문을 검증해봐야겠죠.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9627
1399 한국인, 당신들은 누구인가? 1 김동렬 2015-10-16 4288
1398 바다는 육지다 1 이성광 2012-12-26 4288
1397 망하는 길은 버리는 것이 맞다 2 이성광 2012-12-21 4288
1396 진짜 쉬운 문제 image 5 김동렬 2013-01-12 4287
1395 맹자의 가르침 image 2 김동렬 2015-11-11 4285
1394 김우중이 왜 죽일놈인가? 2 김동렬 2014-08-29 4284
1393 재미있는 사건 2 김동렬 2015-08-27 4283
» 김웅용의 도전 2 김동렬 2017-04-08 4280
1391 당당한 눈빛을 물려주라 - 제민칼럼 12 ahmoo 2013-06-27 4274
1390 천경자의 실패 image 2 김동렬 2014-08-19 4273
1389 작금의 단상 6 눈내리는 마을 2012-12-21 4270
1388 제국의 위안부, 무엇이 문제인가? 1 김동렬 2016-01-13 4263
1387 왜, 스티브 잡스는 인류의 재앙인가? 2 이성광 2013-01-22 4263
1386 겨루기, 싸우기. 살림, 죽음. ░담 2011-03-20 4261
1385 생각의 정석 123회 1부 당선자 소식 image 5 오세 2016-04-16 4260
1384 내가 나가수를 보는 법 (2) image 1 Beholder 2011-07-09 4250
1383 지하철의 패러독스 image 11 김동렬 2013-02-19 4247
1382 아타리 쇼크 김동렬 2015-09-07 4244
1381 구조론의 마음이론 (논문발췌) 3 오세 2010-11-12 4243
1380 지능은 확률에 의한다 chow 2022-07-16 4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