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3637 vote 0 2017.03.17 (11:16:41)

d.jpg


e.jpg



   

    펜타그래프 구조론


    한동안 잊었는데 펜타그래프야말로 구조론을 설명하기에 좋은 도구다. 딱 봐도 질, 입자, 힘, 운동, 량, 다섯 매개변수가 보인다. 축이 다섯 개 있다. 지하철 지붕 위에도 있다. 마름모꼴로 되어 있지만 한쪽 팔을 빼도 된다. 축이 여섯 개로 보일 수 있지만 하나는 고정장치라 빼도 된다.


    원본이 되는 상부구조와 복제본이 되는 하부구조 사이의 방향성을 알 수 있다. 하부구조로 갈수록 상호작용총량이 증가하므로 서로 충돌하여 상쇄되는 손실을 막으려면 집단은 원본의 방향으로 움직여야 한다. 엔트로피의 비가역성을 알 수 있다. 구조론의 여러 풀이들을 확인할 수 있다.


    펜타그래프는 A와 그 변화에 B와 그 변화가 연동될 때 그 둘을 통일하는 C와 그 변화다. 곧 구조의 복제다. 이것으로 완성되어 있다. A와 B는 상대적이지만 하나의 축에 꿰어져 있으므로 절대성이 성립한다. A와 B는 외부의 관측자에 대해 상대적이지만 서로에 대해서 절대적이다.


    아인슈타인이 맥스웰 방정식을 뒤지다가 로런츠 변환을 보고 이 구조를 적용하면 공간과 시간이 상대적이지만 그러므로 광속이 절대적이어야 한다는 일반상대성이론이 자동으로 튀어나와 주시는 거다. 아인슈타인 정도만 되면 5초 안에 일반상대성이론을 깨달을 수 있다. 복제한다.


    생각하고 자시고 할 필요도 없다. 그냥 찍어내는 거다. 포드시스템이다. 세상이 상대적이라니 어쩌구 하는 넘은 웃긴 넘이다. 상대성 둘이 만나면 곧 절대성이 성립하는 것이다. 상대성은 관측자에 대해 상대적이며 관측자는 외부에 있으므로 빠져! 남북한이 서로에 대해서는 절대적이다.


    남북한이 중국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행동하지만 서로 총질하는건 절대적이다. 남한이 한미합동군사훈련을 하면 북한은 미사일을 쏜다. 이건 절대적이다. 근데 중국 입장에서 보면 남이나 북이나 이랬다 저랬다 한다. 하여간 상대성 타령을 하는 넘들은 아직 이것을 못 본 것이다.


    손가락을 보지 말고 달을 보라고 말을 하지만 진짜로 봐야 하는 것은 달과 손가락 사이에 성립하는 불변성이다. 달과 손가락 사이에 펜타그래프를 둔 사람만이 똑바로 보고 있다. 손가락을 보지 말고 달을 보란다고 달을 보는 넘은 여전히 깨닫지 못한 넘이다. 펜타그래프를 보라.


   20170108_234810.jpg


    고수는 문제에서 답을 찾는 귀납이 아니라 답에 문제를 꿰어맞추는 연역법을 씁니다. 답은 정해져 있으니 그것이 펜타그래프입니다. 저울이기도 하고 모래시계이기도 한데 펜타그래프가 더 쉽게 이해될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35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7320
3775 인생의 의미 image 2 김동렬 2015-10-09 6137
3774 동의 동을 아는 것이 아는 것이다 image 2 김동렬 2015-01-04 6146
3773 공자와 예수, 소크라테스 image 2 김동렬 2016-03-02 6146
3772 구조론의 관점부터 받아들이자. image 4 김동렬 2016-05-03 6149
3771 빚이 있어야 경제가 발전한다 4 김동렬 2018-08-30 6154
3770 영화의 대칭과 비대칭 image 2 김동렬 2015-10-09 6155
3769 사건을 일으키는 방법 image 2 김동렬 2015-01-06 6160
3768 진짜 이야기는 이런 거다 김동렬 2016-07-09 6166
3767 구조론 사람 1 김동렬 2018-08-02 6175
3766 구조론은 업그레이드 된 인과율이다. image 6 김동렬 2015-07-24 6177
3765 더 높은 층위의 세계가 있다 image 3 김동렬 2016-04-19 6180
3764 방향성으로 보라 image 김동렬 2015-01-02 6184
3763 소크라테스의 해명 image 3 김동렬 2015-01-19 6184
3762 한국이 강한 이유 image 김동렬 2016-06-07 6184
3761 선진국이 되면 행복해질까? 3 김동렬 2018-08-20 6188
3760 대칭축을 찾아라 image 김동렬 2015-06-22 6189
3759 깨달음 시험문제 image 1 김동렬 2016-03-05 6190
3758 의사결정의 총 3 김동렬 2014-08-11 6192
3757 승리자의 길로 가야 한다 김동렬 2016-06-29 6196
3756 진중권의 수구꼴통 논리 image 3 김동렬 2016-06-05 6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