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이란
read 4972 vote 0 2008.12.31 (00:39:44)

 

부자와 어부

“왜 고기잡이를 나가지 않고 놀고 있는 것입니까?”

한 부자 사업가가 바닷가를 지나던 중 배 옆에 드러누운 채 노래를 흥얼거리며 놀고 있는 어부를 보았습니다.

그 모습을 본 부자는 어처구니가 없는 듯 물었습니다.

어부가 대답했습니다.

“오늘 몫은 넉넉히 잡아놓았으니까요.”

“그러면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이 잡으면 되잖습니까?”

“그래서 뭐 하게요?”

“그러면 돈을 더 벌 수 있지 않습니까? 그 돈으로 지금 당신의 배보다 더 좋은 배도 살 수 있고, 그러면 고기가 많은 깊은 바다까지 나가 그물질을 해서 돈을 더 많이 벌 수 있지요. 그 돈으로 더 좋은 그물을 사고 더 많은 배를 거느리게 될지도 모르는 일 아닙니까? 그렇게 되면 당신도 나처럼 커다란 부자가 될 수도 있지 않습니까?”

그러자 어부가 되물었습니다.

“그러고 난 후에는 무엇을 하죠?”

“편안히 당신의 삶을 즐길 수 있는 것이지요.”

어부는 흐뭇한 미소를 지으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당신은 지금 내가 무엇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이 이야기는 언뜻 그럴듯해 보이지만 결정적으로 ‘사랑’이라는 동기부여가 빠져 있다. 사람들이 편안히 낚시를 즐기기 원하는 것은 그렇게 하여 잡은 고기를 누군가에게 자랑하기 위해서다.

그렇게 낚은 물고기를 돼지에게 던져줄 것인가?

좋은 친구를 얻지 못한다면 그 낚시조차도 지루한 일이 된다. 이 유머를 읽고 잠시 동안 행복해 한 많은 독자들이 이 유머의 교훈을 받아들여 어부가 되는 일 따위는 절대로 일어나지 않는 이유가 거기에 있다.

유머에서 어부의 성공은 작은 것이며, 밀도가 낮은 것이며, 불완전한 것이다. 유머에서의 부자는 그 성공으로 만족해 하겠지만 자기위안에 불과하다. 결정적으로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둘 다 실패다.

반면 진정으로 이해하는 친구가 있다면 설사 그 바닷가에 초대하지 못하다 해도 그러한 계획을 세우는 것만으로도 이미 충분히 성공한 것이다. 그대와 내가 그 바닷가에서 낚시를 하는 상상을 하는 것만으로도 이미 월척을 낚은 것이다. 의미로 보면 그러하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90 나는 무엇을 믿는가? 김동렬 2008-12-30 2889
89 구도문학에 있어서의 성 역할 김동렬 2008-12-30 2892
88 사람과 사람 김동렬 2008-12-30 2895
87 세상은 자신을 비추는 거울이라 했소 김동렬 2008-12-30 2899
86 시조창을 처음 들으러 갔을 때 김동렬 2008-12-30 2900
85 존 레넌의 Imagine에서 김동렬 2008-12-30 2900
84 가치의 언어들 김동렬 2008-12-30 2901
83 나의 계획은 둘이다 김동렬 2008-12-30 2923
82 구원에 대하여 김동렬 2008-12-31 2927
81 20세기 들어 혁명이 일어난 나라들의 공통점 김동렬 2008-12-31 2935
80 깨닫는다는 것은 김동렬 2008-12-30 2949
79 미학 김동렬 2008-12-31 2950
78 사랑은 깨달음이다 김동렬 2008-12-31 2954
77 세상 어딘가에 신의 언어가 있다면 김동렬 2008-12-30 2958
76 무릇 깨달음이란 김동렬 2008-12-30 2975
75 예술은 진리의 보편성에서 가치를 유도하고 김동렬 2008-12-30 2978
74 영혼은 있을까? 김동렬 2008-12-30 2985
73 옛 작가의 명화를 보고 김동렬 2008-12-30 2989
72 불평하기 없기 김동렬 2008-12-30 3012
71 절대고독 속에서 김동렬 2008-12-30 3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