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996 vote 0 2017.02.21 (11:39:19)

goo.gl/lMDkSU


천재들만 모아놓으면 

창의가 될거라고 생각하는건 망상입니다.


모으면 모을수록 플러스가 되고 

비빔밥이 되고 짬뽕이 되고 다양성이 사라져서 망하는 거죠.


구조론은 마이너스입니다.

벽을 세운 다음 그 벽을 허물때 그 마이너스에 의해


창의가 일어나는 것이며 

그러려면 벽을 설치해서 서로 간절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에너지의 낙차를 유도해야 하는 것이며

그러려면 비슷한 사람을 모아놓으면 안 되고 


성별이 다르고 학력이 다르고 

출신지역이 다르고 피부색이 다른 사람 사이의 


장벽을 허물어야 하는 것이며 

그 허물어지는 한 순간에만 빛나는 창의가 일어납니다.


계속 그 허물어진 상태로 두면 다시 망함.

모아 두면 서로 견제하고 시기해서 결국 멸망.


결국 리더의 조정능력이 중요한 것이며

리더가 팀을 장악하고 쥐어짜서 마이너스 시켜야 합니다.


시간제한을 걸어서 서스펜스를 조달해야 합니다.

공간의 대칭을 조직하여 경쟁시켜야 합니다.


공간이 대결과 시간의 서스펜스로 조여야 하는 것이며

그러려면 여러 단계에 걸쳐 벽을 허물어야 합니다.


근데 벽이 있어야 그 벽을 허물 수 있죠.

잡탕을 만들면 한 가지 맛 밖에 나지 않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아나키

2017.02.22 (17:40:50)

재택근무가 업무 효율성이 높다는 의견에
동의하기 어렵다.
동료간 의사 소통의 어려움과 최소한의
공공의 눈이 없다면 곧 사적 게으름의 영역으로
빠져들고 만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9512
919 호빗족의 입장 6 김동렬 2017-01-11 3940
918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4 김동렬 2013-01-10 3941
917 섬강에 배를 띄우면 image 8 김동렬 2013-02-19 3942
916 새로운 학문의 체계를 건설해야 1 김동렬 2013-12-26 3950
915 확증편향의 예 1 김동렬 2014-07-23 3956
914 검은백조는 없다. 3 르페 2011-06-16 3958
913 나쁘거나 죽거나. 2 아제 2011-01-07 3961
912 가스실 밖으로 나와야 한다. 3 오세 2011-03-01 3963
911 김기덕이 영화 "아리랑"으로 한 일 2 ░담 2012-10-26 3967
910 검은 사제들에서 봐야할 것 김동렬 2015-12-15 3968
909 A Gain 최선최석규 2023-09-25 3968
908 다르다는 맞고 틀리다는 틀리다? 11 김동렬 2016-09-08 3972
907 중력인가? 4 챠우 2016-01-03 3973
906 소설 쓰는 방법 김동렬 2015-01-05 3985
905 의견을 말해보시오. image 6 김동렬 2013-04-22 3988
904 정글의 법칙 거짓말 찾기 image 1 김동렬 2013-02-13 3991
903 Design Thinking과 구조론 2 ahmoo 2015-10-22 3995
902 비관론과 낙관론 김동렬 2016-01-25 3995
901 우째 이런 일이 image 7 김동렬 2016-08-23 3995
» 개방형 사무실의 실패 1 김동렬 2017-02-21 3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