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일화 하나,

친구하나가 연락이 왔다. 6년만에 판사시험에 합격했다고. 만으로 서른둘. 나이란 상대적인것이지만, 이 거친 한국사회에서 그 좁은 문을 통과한걸 축하해주었다. 물론 상식과 정의에 입각한 법조인이 되길 당부하는것도 잊지 않았다. 우리 둘이, 십대에서 이십대초입에 만났으니, 10년 남짓의 세월을 그곳에 부운셈이다.

일화 둘,
국내 대기업의 상사에서 근무하는 친구가 출장차 워싱턴 디시에 왔다. 오랜만에 만나, 술잔을 기울이며, 이야기에 여념이 없었다. 아직 끊지 못한 담배와, 피로감으로 나에게 말을 건네는 친구의 모습이 유학생인 내가 보기에도 안스러워 보였다. 곧 결혼한다니 행복하기를...

일화 셋,
고3시절 마지막, 대학을 다 떨어지고 나서, 재수할 시절에, 열심히 해야한다고 남들이 말하던 그 시절에 미안하지만, 나는 교보문고 서가 1번 구석에 박혀서 신간도서를 헤아리고 있었다. '너도 할수 있다.',  '공부가 쉬웠어여',  '우리아들 이렇게 키웠다.' 같은 유치한 책들이 마구 마구 눈에 들어왔다. 나도 할수 있을것 같은 망상이 들면서도, 허무해지는 감정을 지울수 없었다. 그래서 피워댔던, 종로쪽 교보문고 출입구 바위 벤치였으리라....

일화가 아닌 현실. 그리고 한국의 이십대.
학교 선생님도 답해주지도 않고, 선배는 더 모르는, 그리고, 실은 자신도 알지못해 방황하는 '진로'에 대해서 '구조론'은 답해주어야한다. '시야', '만남', '길', '노력', '결실'이라는 추상화된 테마에서, 개인에게 연역된 삶의 도면이 제시되어야한다.

구조론이 20대초반의 한국 젊은이들에게 '냉전해체이후의 이 글로벌 다단계 시대에' 간절히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면?...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191
228 김동렬님 제가 구조론에 입각하여 쓴 글입니다 4 가혹한너 2009-02-04 6613
227 당신들이 밉습니다. 10 가혹한너 2008-08-28 6614
226 모든 구조의 구조 (서점리뷰) 6 lpet 2010-09-27 6636
225 뜨거운 물이 찬물보다....? image 7 꼬치가리 2011-01-10 6639
224 올드보이 원작만화 해설 김동렬 2017-02-18 6639
223 아빠 어디가, 사승봉도가 무인도? image 1 김동렬 2013-08-19 6648
222 솔로들은 못맞추는 문제 image 19 오세 2012-12-24 6660
221 구글이 이러고 있다 하오. image 3 ░담 2009-12-08 6686
220 존재의 이유 image 13 양을 쫓는 모험 2010-03-18 6694
219 오랑캐와 오랑우탄 김동렬 2012-10-30 6704
218 나스카 지상화의 비밀 image 김동렬 2017-03-16 6719
217 경쟁에 반대한다 Intro: 나는 가수다? image 14 오세 2011-03-14 6724
216 문자 사용하는 유인원들 8 LPET 2009-12-02 6728
215 덧붙이는 이야기 image 김동렬 2009-04-10 6732
214 연역과 귀납 5 아제 2010-02-20 6737
213 설국열차의 진실은? image 4 김동렬 2013-07-31 6754
212 깨달음을 그리다 영어번역에 관하여 image 1 ahmoo 2010-01-18 6760
211 구조론부흥대성회 image 17 양을 쫓는 모험 2011-12-13 6761
210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7-01-02 6761
209 한국의 커뮤니티 눈내리는 마을 2010-04-04 67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