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이란
read 2969 vote 0 2008.12.30 (22:59:32)

옛 작가의 명화를 보고

감동을 받는 사람은 잘 없다.

사실이지 모나리자를 보고

가슴이 뛰는 사람은 없다시피 하다.

박물관을 견학하는 소년들의 행렬.

아이들의 눈에는 지루함이 넘쳐나고 있다.

자신을 보호하는

심리의 방어막을 치기 때문이다.

만약 소년이 명화의 아우라에 유혹되어

감동을 받기로 결정하는 찰나

(그렇다. 그것은 의도되고 결정되는 것이다.)

그 한순간에 너무나 많은 것이 동시에 연동되어

한꺼번에 결정된다.

그러므로 소년은 유혹을 물리치는 쪽으로 결정한다.

YES와 NO의 선택지가 주어진다면

NO를 선택하는 것이다.

함부로 유혹당하지 말기를 결심하는 것이다.

그 한순간에 자칫 자신의 일생이 결정될 뻔 했다고

아찔해 하며 안도의 한숨을 내쉬는 것이다.

그 때문에 그 소년의 삶은 평범한 소년으로 끝나고 만다.

인류의 0.01프로에 속할 비범한 소수는

그 상황에서 용기있게 신의 유혹에 넘어간 사람이다.

용기있게 신의 유혹에 넘어가보기

그것이 사랑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50 사랑은 구원이다 김동렬 2008-12-31 3116
49 해부학적인 의미에서의 깨달음 김동렬 2008-12-30 3115
48 최고의 사치 김동렬 2008-12-30 3115
47 사람의 생각은 바꾸기 어렵다 김동렬 2008-12-30 3107
46 신의 수수께끼를 풀어가는 과정 김동렬 2008-12-30 3093
45 철학은 질문하고 미학은 답한다 김동렬 2008-12-31 3069
44 삶 전체를 관통하는 하나의 컨셉 김동렬 2008-12-30 3045
43 [ 사랑 ] 김동렬 2008-12-30 3045
42 더 높은 가치를 바라보려는 희망 김동렬 2008-12-30 3028
41 너에게 김동렬 2008-12-30 3025
40 절대고독 속에서 김동렬 2008-12-30 3020
39 불평하기 없기 김동렬 2008-12-30 2997
38 영혼은 있을까? 김동렬 2008-12-30 2974
» 옛 작가의 명화를 보고 김동렬 2008-12-30 2969
36 예술은 진리의 보편성에서 가치를 유도하고 김동렬 2008-12-30 2968
35 무릇 깨달음이란 김동렬 2008-12-30 2966
34 깨닫는다는 것은 김동렬 2008-12-30 2945
33 사랑은 깨달음이다 김동렬 2008-12-31 2944
32 세상 어딘가에 신의 언어가 있다면 김동렬 2008-12-30 2939
31 미학 김동렬 2008-12-31 2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