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이란

세상은 자신을 비추는 거울이라 했소.

그러므로 자신이 본 세상은

곧 ‘자기 자신의 모습이 비친’ 세상이오.

당신이 본 세상은 당신이 본 자기자신의 모습이오.


당신이 어떻게 보았든

당신이 화내는 혹은 당신이 슬퍼하는 그것은

타인이 아니라 당신 자신의 모습이오.

자기 자신이 본 것은

결국 자기 자신의 모습에 지나지 않으므로.

자신이 본 것을 잘 표현하거나

혹은 잘 표현하지 못하거나

우리는 언어를 만들어 가는 사람이며

언어는 있는 것이 아니라 이제부터 만들어야 하는 것이며

언어는 기호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쌓아가는 신뢰 그 자체이오.

이 그림을 보오.

붉게 빛 나는 바다.

그러나 진실로 말하면 붉은 바다는 없소.

어떤 그림이든 당신의 눈이라는 필터로 걸러진 것에 지나지 않소.

신은 세상을 아름답게 창조하지 않았던 것이오.

대신 볼품없는 세상을 한 차례 걸러서 아름답게 볼 수 있도록

당신의 훌륭한 눈을 창조하였소.

이 이치를 바로 알아야 하오.

세상이 아름다운 것이 아니라

내 눈이 세상을 아름답게 보고 있다는 사실을.

색맹에게는 저 푸른 산이 빨갛게 보이고

멍멍이에게는 당신의 모습이 흑백으로 보인다는 사실을.

그 흑백으로 된 자연도,

빨간 산으로 된 자연도 당신이 본 진실과 마찬가지로,

대등하게 진실의 한 가지 형태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그러므로 우리는 본받아 재현하는 것이오.

신이 세상을 대강 만들어놓고 그것을 백배 아름답게 볼 수 있는

인간의 눈이라는 형태로 뽀샵질을 하여 기어코 완성시키듯이,

인간 또한 자기 자신을 뽀샵질 하지 않으면 안되오.

부단히 자신을 향상시켜 가지 않으면 안되오.

어쩌면 인간에게는 더 많은 가식이 필요한 것이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90 매력이 있어야 한다 김동렬 2008-12-31 3865
89 진정한 아름다움에 관하여 김동렬 2008-12-31 3328
88 미학 김동렬 2008-12-31 2961
87 사랑은 미학이다 김동렬 2008-12-31 3149
86 모든 욕망은 사랑에 관한 욕망이다 김동렬 2008-12-31 3377
85 철학은 질문하고 미학은 답한다 김동렬 2008-12-31 3093
84 긍정어법에 대하여 김동렬 2008-12-31 3286
83 자아에 대하여; 셋 김동렬 2008-12-31 3586
82 자아에 대하여; 둘 김동렬 2008-12-31 3180
81 자아에 대하여; 하나 김동렬 2008-12-31 2884
80 단어들 김동렬 2008-12-31 2896
79 원하는게 뭐야? 김동렬 2008-12-31 3372
78 사랑은 깨달음이다 김동렬 2008-12-31 2965
77 부자와 어부 김동렬 2008-12-31 4983
76 구원에 대하여 김동렬 2008-12-31 2934
75 사랑은 구원이다 김동렬 2008-12-31 3143
74 구원 김동렬 2008-12-31 2878
73 멀린스키 드라마 김동렬 2008-12-31 3202
72 ● 마음보고 반하기 김동렬 2008-12-31 3155
71 나쁜 남자의 엔딩 김동렬 2008-12-31 36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