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2203 vote 0 2017.01.17 (10:33:02)

구조론적 직관이 머리에 열내서 생각하는 것보다 쉬운것을 보고 깨달은 것들이오.


생각하지 말고 느껴야 합니다.

대칭은 긴장의 전선을 느끼는 것이고,

호응은 긴장의 전환에 시원해지는 것이다.


타자성의 감각이 왜 중요하냐면, 타자성이야말로 안/밖의 긴장을 최초로 느끼는 경험이기 때문입니다.

사건은 큰 긴장을 해소하기 위해 작은 긴장으로 옮겨가는 것입니다.


구조론적 감각의 상당부분은 긴장을 오래 느낄수 있는 것입니다.

처음만난 사람에게도 마치 가족처럼 친근하게 대하면 긴장이 떨어지는 사람이라고 생각됩니다.


우리편과 적군의 긴장은 리더와 무리의 긴장으로 옮겨갑니다. 무리가 리더에게

힘을 몰아주는 순간에도 긴장해야 합니다. 이 자식이 권력잡고 뒷통수 치지는 않을 까?


중심이 이동해야 하는 상황 역시 긴장해야 합니다. 왕이 전장의 장수에게 병사를 줄때는

회군해서 반역을 일으키지 않을까? 걱정합니다.


긴장이라는 것은 1이 아닌 2사이에서 느껴지는 일종의 전선입니다.

즉 처음부터 1인 것은 없으며 2가 마치 하나로 행세할때 외부에서 보기에 1로 느껴지는 것이며

내부에서 2사이에는 여전히 긴장이 존재하는 것입니다. 

다른 말로 바꾸면, 처음 부터 우리편인 것은 거짓말 이라는 것입니다. 국가도 없고, 가족도 없습니다.

그러나 사건이 발화되면서 큰 긴장이 작은 긴장으로, 2 에서 1로, 타인에서 가족으로 옮겨갈수는 있습니다. 


호응은 긴장의 전선이 옮겨가면서 느껴지는 시원함입니다.

혹은 다음단계가 보이는 것이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김정은과 박근혜를 보면 답답합니다. 시진핑과 트럼프 역시 답답합니다.

답답함은 특정한 긴장의 전선이 계속해서 유지되어서 짜증나는 것입니다.

긴장이 전환되지 못하면 사건은 기어이 깨져버립니다.

돈이 부족한 부부라면, 데이트라도 해야합니다. 하나의 긴장을 다른 긴장으로 옮겨가는 것입니다.

전쟁은 경제로 풀고 경제는 문화로 풀어야 합니다. 역시 긴장의 전선이 옮겨갑니다.


긴장 자체가 사라지는 것은 죽음 뿐입니다. 안느끼려고 할수는 있어도 기어이 긴장은 존재합니다.

그 긴장의 끈을 놓지않고 기어이 사건의 끝까지 긴장을 전환시키는 것이 구조론자의 미덕이라고 생각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9]id: 배태현배태현

2017.01.17 (14:50:06)

글이 갈수록 쉬이 읽혀 집니다.

잘 읽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2]wisemo

2017.01.18 (23:03:05)

대칭,

긴장과 호응,

다음단계를 볼 수 있는 

호연지기를 생각합니다.


생사의 긴장을 풀어내는 수단.

'신의 완전성과의 소통'수단...

프로필 이미지 [레벨:18]챠우

2017.01.19 (02:55:00)

글쓴이 사진이 필요할듯 하네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992 구조론 목요 열린방송 image ahmoo 2017-01-12 1653
991 이명박을 생각한다 14 배태현 2017-01-13 1962
990 [운명] 덴마크달마 2017-01-13 1838
989 구조론교과서 책 잘받았습니다. 2 벼랑 2017-01-14 1983
988 [생명보험] AND [이혼] AND [경험] 덴마크달마 2017-01-15 1945
987 21일 토요일 서강민박 모임 공지 image 14 김동렬 2017-01-16 2447
» 대칭과 호응은 감각입니다. 3 systema 2017-01-17 2203
985 구조론 목요 열린방송 image ahmoo 2017-01-19 1572
984 법이 대두되고 있고-비로소, 법이 권력자들 위로 올라서는 시절이다. 해안 2017-01-19 1908
983 2월 2일 영화 '판도라'를 리뷰하는 세미나가 열립니다~ image 수원나그네 2017-01-20 1965
982 구조론 목요 열린방송 image ahmoo 2017-01-26 1627
981 포켓몬고 image 아나키 2017-01-26 1835
980 한살림의 살림이야기에 게재된 저의 글 - 오염된 흙에서 유기농은 없다 image 3 수원나그네 2017-01-28 2132
979 1만1천km를 2년동안 걸어가는 '생명·탈핵 실크로드'를 소개합니다 image 2 수원나그네 2017-01-29 1804
978 밀도차와 평형복원 그리고 시장. systema 2017-01-30 1817
977 블록체인 혁명 ahmoo 2017-01-31 2126
976 챠우님께! 4 dharma 2017-02-01 2221
975 표창원 단상 아란도 2017-02-01 1936
974 숙제 수원나그네 2017-02-02 1757
973 구조론 목요 열린방송 image ahmoo 2017-02-02 1630